아틀라스 일본사 - 일본사학회 지음/사계절 01 고 대 02 중 세 03 근 세 04 근현 대
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2012.9 강의29강: 스콜라 철학 후기, Scotus, Ockham, Nikolaus von Kues30강: Nikolaus von Kues: docta ignorantia(무지의 지), Deus absconditus[지성적 신비주의], identitas oppositorum(대립의 일치), 르네상스 시대의 사상가들: Machiavelli, Luther, Bacon, Hobbes31강: 르네상스 시대의 혼재성 또는 다종성. Machiavelli의 새로운 정치학, Luther의 내면성, More의 유토피아32강: Bacon: 철학개념의 재정의와 학문방법론의 전환에 의한 적정사회 건립, Hobbes: 유물론적 이론체계와 규범현실주의의 ..
현대 일본을 찾아서 2 - 마리우스 B. 잰슨 지음, 김우영.강인황.허형주.이정 옮김/이산 12장 메이지 국가의 건설 13장 일본제국 14장 메이지 문화 15장 전간기의 일본 16장 다이쇼 문화와 사회 17장 중일전쟁 18장 태평양전쟁 19장 요시다 시대 20장 독립 이후의 일본 지은이 주 더 읽을거리 화보출처 찾아보기 654 메이지 천황은 응석부리기나 좋아할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처음에는 기도 다카요시를 비롯한 여러 사람들을 걱정시켰으나, 성년에 이르러서는 지도자 집단의 일원이 되어 당당히 제몫을 해냈다. 그토록 격동적인 변화를 겪은 일본의 통치자는 아무도 없었다. 메이지 천황의 삶은 외부세게와 철저히 차단된 궁중의 어두운 음영 아래 그림과 시문에 심취한 기품있는 전통의 후계자로 시작되었다. 또한 시끄..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 근현대사 2 - 한중일3국공동역사편찬위원회 지음/휴머니스트 1장 헌법 - 국가의 구조와 민중 1. 국가의 근대화와 헌법의 탄생 2. 현대국가의 전개와 헌법 3. 오늘날의 헌법-통치 구조와 인권의 규정 2장 동아시아의 도시화 - 상하이ㆍ요코하마ㆍ부산 1. 개항과 도시의 성장 2. 세 도시의 산업화와 노동자 3. 도시화에 따른 농촌 사회 경제의 변화 4. 전후 도시의 변모 3장 철도 - 근대화와 식민지 통치 및 민중 생활 1. 동아시아의 철도 도입 2. 식민지 통치와 동아시아 철도 3. 철도와 민중의 생활 4. 1945년 이후 동아시아의 철도 4장 이민과 유학 - 사람의 이동과 교류 1. 들어오고 나간 사람들의 역사 2. 유학을 통한 문화 교류 3. 종전과 귀환, 그리고 소수자로서..
보수는 어떻게 지배하는가 - 앨버트 O. 허시먼 지음, 이근영 옮김/웅진지식하우스 추천사│허무주의는 우리의 적이다 _ 우석훈 서문│그들에게 매혹당하지 않기 위하여 1장. 시간을 거꾸로 돌리려 했던 사람들 _ 지난 200년을 지배해온 반동 레토릭 2장. “오히려 정반대의 결과를 낳을 것이다”_ 역효과 명제 3장. “그래 봐야 기존의 체제가 바뀌지 않을 것이다”_ 무용 명제 4장. “그렇게 하면 우리의 자유와 민주주의가 위태로워질 것이다”_ 위험 명제 5장. 세 명제의 불편한 동거 6장. 보수에게서 배우는 진보 레토릭 7장. 어떻게 새로워질 것인가 후기 주 찾아보기 21 나와 함께 포드재단의 모임에 참여했던 랠프 다렌도르프는 모임을 여는 개막사를 통해, 영국 사회학자 토머스 마셜이 1949년에 했던 서유럽의..
비잔틴 제국의 신앙 - 메리 커닝엄 지음, 이종인 옮김/예경 1장 그리스도교를 신봉한 로마제국(330-843) 2장 동서교회의 분리(843-1453) 3장 교회와 국가 4장 공동체를 위한 봉사 5장 은둔자의 이상 6장 성스러운 장소, 성스러운 사람들 7장 지상에 세운 하느님의 왕국 8장 교회와 7차례의 일반 공의회 9장 신앙과 세계관 10장 신앙의 표현으로서의 예술 11장 유산 참고자료 연대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그림 출처 옮긴이의 말 머리말 팔레스타인에서 처음으로 연약한 뿌리를 내렸던 그리스도교는 서서히 지경을 넓히더니 마침내 로마제국에 이르러서는 제국의 전 영토 및 그 너머에서 지배적인 영향력을 가진 종교로 성장했다. 당시의 초대교회는 단일한 공동체를 이루어 구성원 전체가 하나의 신조, 하나의 성..
한·중·일 근현대사 연표 1권 1592 임진전쟁 1597 정유전쟁 1603 일본, 에도 바쿠후 개설 1616 중국, 후금 건국 1623 조선, 인조반정 1627 정묘전쟁 1636 후굼, 청으로 국호 변경, 병자전쟁 1644 명 멸망 1684 청, 해금 정책 중단 선언 1811 조선통신사 중단 1840 중국, 제1차 아편전쟁 1842 중국, 영국과 난징조약 체결 1854 미일화친조약 체결 1856 중국, 제 2차 아편전쟁 1858 일본, 인세이5개국조약 체결 1864 조선, 고종 즉위, 흥선대원국 집정 1868 일본, 메이지 유신, 메이지 정부 성립 1871 청일수호조규 체결 1872 일본, 류큐왕국을 폐지하고 류큐번 설치 1874 일본, 타이완 침공 1875 강화도 사건 발발 1876 조일수호조규 체결 ..
현대 일본을 찾아서 1 - 마리우스 B. 잰슨 지음, 김우영.강인황.허형주.이정 옮김/이산 1장 세키가하라 전투 2장 도쿠가와 국가 3장 대외관계 4장 신분집단 5장 도시화와 교통 6장 서민문화의 발전 7장 교육. 사상. 종교 8장 변화. 저항. 개혁 9장 개국 10장 막부의 멸망 11장 메이지 혁명 65 도쿠가와 시대 혹은 에도 시대 일본 정치체제의 성격은 언제나 활발한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다. 18세기 일본의 학자들은 중국의 국가제도의 특징에 대해 조예가 깊었고, 일본의 그것이 중국과는 매우 다르다는 것을 충분히 인식하고 었다. 중국에서 정치체제는 '봉건'에서 중앙집권화된 제국으로 발전했다. 일본인들은 이런 중국의 정치체제를 표현하는 한자단어를 이해하기 위해 봉건제(封建制)와, 군현(郡懸)을 기본으로..
필사본이 있어서 별도로 강의 내용을 요약하지 않았다.
필사본이 있어서 별도로 강의 내용을 요약하지 않았다. 강유원 "책과 세계" 강의노트 3 | 2004 인용된 책들:나카자와 신이치: 신화, 인류 최고의 철학움베르토 에코: 해석의 한계움베르트 에코: 푸코의 진자강유원: 근대 실천 철학 연구에른스트 카시러: 르네상스 철학에서의 개체와 우주자크 르 고프: 중세의 지식인들 제 3 강 : 매체, 물음이 없는 단순한 세상, 지상과 천국, 두 세계의 갈등 2004. 7. 20. 지금까지는 주로 개념에 대해 이야기했는데 오늘은 방법에 대해 얘기하겠다. 방법은 굉장히 중요하다. 학을 한다고 할 때에는 학의 출발점, 즉 학의 최소 단위는 개념이다. 개념을 풀어내면 명제가 되고, 이를 논리적으로 전개해 나가는 것, 이것이 논리학이다. 논리학적으로 전개하는 것은 '논리야 놀자..
필사본이 있어서 별도로 강의 내용을 요약하지 않았다. 강유원 "책과 세계" 강의노트 2 | 2004인용된 책들:헤겔: 정신 현상학브루노 스넬: 정신의 발견W. K. C. 거스리: 희랍철학입문F.M.콘퍼드: 종교에서 철학으로피에르 레베크: 그리스의 문명의 탄생(시공디스커버리총서)박홍규: 형이상학 강의2 제 2 강 : 인간과 사회 2004. 7. 13. 이소룡의 절권도를 아는가. 그는 영춘권부터 시작하여 한 20년 정도 몸을 단련했다. 이렇듯 이소룡의 절권도가 오랜 기간의 기초 체력 단련으로부터 나왔듯이 우리가 듣는 강의도 그저 듣기만 해서는 안된다. 만일 어떤 강의를 듣고 "이게 맞는 것 같애"하는 정도에서 끝내버리면 딱 거기서 끝이다. 그건 강의를 소비하는 일이다. 이소룡 영화를 보고 고양이 울음소리 밖..
필사본이 있어서 별도로 강의 내용을 요약하지 않았다. 강유원 "책과 세계" 강의노트 1 | 2004인용된 책들: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칼 폴라니: 사람의 살림살이운명의 아트레우스 家(제임스 미치너의 [소설]) 이 책은 서양문명의 바탕이 되는 몇몇 고전들을 골라내어 서양 사상사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압축되어있다. 190*120mm 의 크기에 96쪽으로 쓰여진, 한손에 잡히는 아주 얇은 분량의 책이다. 그야말로 압축되어진 책이기에 그것을 좀더 쉽게, 그리고 자세하게 알고 싶어하는 이들의 부탁이 있었고 저자는 이를 흔쾌히 응해주었다. 이로써 네 차례에 걸친 강의가 무료로 제공되게 되었다. 수강을 원하는 사람은 자신이 여태껏 공부해온 성과와 왜 이 강의를 들으려고 하는가에 대한 답을 미리 제출함으로써 수강의..
* 2012-12-24 일본 역사 연표 * 2013-02-01 아틀라스 일본사 연표를 참고하여 내용 추가 중. * 2013-02-07 아틀라스 일본사 연표를 참고하여 내용 완료. 1 고대 일본열도가 탄생하고 '일본'이라는 국가가 형성된 시기이다. 기원전 1만년을 전후해 오늘날의 모습으로 형성된 일본열도는 조몬 시대와 야오이 시대를 거치며 문명을 발달시켜나간다. 야오이 시대에 등장한 소국들은 고분 시대를 거치며 점차 통합되고, 그 결과 등장한 야마토 정권이 다이카 개신을 거쳐 천황제와 '일본'을 확립시킨다. 이후 일본은 나라 시대와 헤이안 시대를 거치면서 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영향을 받아 국가 시스템을 정비한다. 율령제도와 공지공민제, 그리고 문화적으로는 불교를 통한 국가 통합이 그 예이다. 헤이안 시대 ..
책과 세계 - 강유원 지음/살림 1. 책과 세계 또는 텍스트와 컨텍스트 2. 세계의 근본 문제 3. 인간과 사회 4. 매체 : 또 다른 컨텍스트(Ⅰ) 5. 물음이 없는 단순한 세상 6. 지상과 천국, 두 세계의 갈등 7. 매체 : 또 다른 컨텍스트(Ⅱ) 8. 세속세계의 폭력적 완결 9. 에필로그 관련 공부 글 보기 강유원의 책과 세계 | 2004 | 01 책과 세계 또는 텍스트와 컨텍스트, 세계의 근본문제 강유원의 책과 세계 | 2004 | 02 인간과 사회 강유원의 책과 세계 | 2004 | 03 매체, 물음이 없는 단순한 세상, 지상과 천국, 두 세계의 갈등 강유원의 책과 세계 | 2004 | 04 세속세계의 폭력적 완결 3 이 지구에 살고 있는 사람들 중의 절대 다수가 책을 읽지 않는다. 그들은 평..
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2012.8 강의25강: 토마스 아퀴나스, 보편개념실재론의 의의, 사상사에서의 방법론적 전환: 한 사례로서의 소크라테스(Phaidōn읽기) 26강: 송명이학(宋明理學)의 성립 배경: 유교의 체제교학화(體制敎學化), 삼교일치론(三敎一致論)27강: 사대부(士大夫)와 남송도학운동(南宋道學運動), 주희(朱熹)와 사서(四書), 체제교학으로서의 주자학(朱子學)28강: 송명이학의 형이상학(性卽理, 天命之謂性), 조선 성리학의 전개, 전승된 정신사적 유산 20120824 28강: 송명이학의 형이상학(性卽理, 天命之謂性), 조선 성리학의 전개, 전승된 정신사적 유산* 성리학 性理學, 송명이학성性 이 곧 리理 다. 인간 내면에 있는 성품이 곧 참다운 본..
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2012.8 강의25강: 토마스 아퀴나스, 보편개념실재론의 의의, 사상사에서의 방법론적 전환: 한 사례로서의 소크라테스(Phaidōn읽기) 26강: 송명이학(宋明理學)의 성립 배경: 유교의 체제교학화(體制敎學化), 삼교일치론(三敎一致論)27강: 사대부(士大夫)와 남송도학운동(南宋道學運動), 주희(朱熹)와 사서(四書), 체제교학으로서의 주자학(朱子學)28강: 송명이학의 형이상학(性卽理, 天命之謂性), 조선 성리학의 전개, 전승된 정신사적 유산 20120817 27강: 사대부(士大夫)와 남송도학운동(南宋道學運動), 주희(朱熹)와 사서(四書), 체제교학으로서의 주자학(朱子學) * 송대 사대부의 등장송대사대부의등장에 대해서 이해하려면 먼저 송..
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2012.8 강의25강: 토마스 아퀴나스, 보편개념실재론의 의의, 사상사에서의 방법론적 전환: 한 사례로서의 소크라테스(Phaidōn읽기) 26강: 송명이학(宋明理學)의 성립 배경: 유교의 체제교학화(體制敎學化), 삼교일치론(三敎一致論)27강: 사대부(士大夫)와 남송도학운동(南宋道學運動), 주희(朱熹)와 사서(四書), 체제교학으로서의 주자학(朱子學)28강: 송명이학의 형이상학(性卽理, 天命之謂性), 조선 성리학의 전개, 전승된 정신사적 유산 20120810 26강: 송명이학(宋明理學)의 성립 배경: 유교의 체제교학화(體制敎學化), 삼교일치론(三敎一致論) 철학사상이라고 하는 것은 특정한 시대의 대중이 요구하는 바를 직접적으로 대응하지는 ..
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2012.8 강의25강: 토마스 아퀴나스, 보편개념실재론의 의의, 사상사에서의 방법론적 전환: 한 사례로서의 소크라테스(Phaidōn읽기) 26강: 송명이학(宋明理學)의 성립 배경: 유교의 체제교학화(體制敎學化), 삼교일치론(三敎一致論)27강: 사대부(士大夫)와 남송도학운동(南宋道學運動), 주희(朱熹)와 사서(四書), 체제교학으로서의 주자학(朱子學)28강: 송명이학의 형이상학(性卽理, 天命之謂性), 조선 성리학의 전개, 전승된 정신사적 유산 20120803 25강: 토마스 아퀴나스, 보편개념실재론의 의의, 사상사에서의 방법론적 전환: 한 사례로서의 소크라테스(Phaidōn읽기) 1) 토마스 아퀴나스아리스토텔레스주의이성을 통한 신앙이 완..
죽음에 이르는 병 - 쇠얀 키에르케고어 지음, 임춘갑 옮김/치우 1. 2. 절망이 죽음에 이르는 병이라는것 3. 이병 (절망)의 보편성 4. 이병 (절망)의 형태들 5. 6. 절망은 죄다 7. 죄의 계속 서문 서론 제1부 죽음에 이르는 병은 절망이다 제1장 절망이 죽음에 이르는 병이라는 것 A. 절망은 정신에 있어서의 병, 자기에 있어서의 병으로 거기에는 세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절망하고 있으면서 자기를 가지고 있음을 의식하고 있지 못하는 경우(비본래적인 절망), 절망하여 자기 자신이기를 욕망하지 않는 경우. 절망하여 자기 자신이기를 욕망하는 경우 B. 절망의 가능성과 현실성 C. 절망은 '죽음에 이르는 병'이다 제2장 이 병(절망)의 보편성 제3장 이 병(절망)의 여러 형태 A. 절망이 의식되어지..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 근현대사 1 - 한중일3국공동역사편찬위원회 지음/휴머니스트 1장 : 서양에 의한 충격과 동아시아 전통질서의 동요 1. 17세기 동아시아의 정치변동과 지역질서 2. 서구 열강의 동아시아 침략 3. 서양에 대한 동아시아의 대응 4. 동요하는 동아시아 내부 질서 2장 : 청일전쟁과 동아시아 전통질서의 해체 1. 1880년대의 동아시아의 변동과 조선 문제 2. 청일전쟁의 원인과 과정 3. 시모노세키조약과 3국 관계 3장 : 열강의 동아시아 패권 쟁탈과 러일전쟁 1. 청일전쟁 후 열강의 경쟁 구도 변화 2. 러일전쟁의 원인과 결과 3. 포츠머스조약과 동아시아 4. 동아시아 내부의 대격변 4장 : 제1차 세계대전과 워싱턴 체제 1. 제1차 세계대전과 ‘21개조 요구’ 2. 대전의 종결, ..
중세의 그리스도교 - G. R. 에번스 지음, 이종인 옮김/예경 제1장 중세 유럽인들의 눈으로 본 세계 제2장 중세 그리스도인들은 무엇을 믿었는가? 제3장 성서의 연구 제4장 교회란 무엇인가? 제5장 평신도 제6장 정치와 교회 제7장 반항 세력 제8장 수도자, 성인, 그리스도인의 모범 제9장 성전 제10장 전통과 연속성: 종교개혁으로 가는 길 10 중세의 '그리스도교 유럽'에서는 하나의 '사회적' 전제가 있었다. 그것은 모든 사람들이 그리스도인일 것이라는 생각이었다. 중세 사람들은 신을 믿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은 상상조차 못했다. 비록 때로는 미신의 성격을 띠는 경우도 있었지만 그래도 '대중의' 신앙심은 깊었다. 여기서 '교육받은' 사람들의 신앙에 대한 이해와 당시의 일반 대중이 지닌 '신앙심'을 혼동하..
** 2012-12-07 중국 연표 정리중국 연표신화 시대상황오제(三皇五帝)문명의 태동장강 문명(長江文明)황하 문명(?河文明)선진 시기하(夏) B.C 2000-1600은(상(商)) B.C 1600-10461600 갑골 문자주(周) B.C 1046-256서주(西周) B.C 1046-771동주(東周) B.C 771-256춘추 시대(春秋時代) B.C 770-403722 춘추시대 전개651 제(?)의 규구의 맹약570-479 노자(老子)551-479 공자((孔子)전국 시대(戰國時代) B.C 403-221403 전국시대 전개372-289 맹자(孟子)365-286 장자 莊子진한 시기진(秦) B.C 221-206221 진시황 - 전국통일213 이사의 건의로 붕서갱유 단행212 아방궁 건설, 여산릉 축조209 진승, ..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 박영규 지음/웅진지식하우스 -들어가는 말 제1대 태조실록 제2대 정종실록 제3대 태종실록 제4대 세종실록 제5대 문종실록 제6대 단종실록 제7대 세조실록 제8대 예종실록 제9대 성종실록 제10대 연산군일기 제11대 증종실록 제12대 인종실록 제13대 명종실록 제14대 선조실록 제15대 광해군일기 제16대 인조실록 제17대 효종실록 제18대 현종실록 제19대 숙종실록 제20대 경종실록 제21대 영조실록 제22대 정조실록 제23대 순조실록 제24대 헌종실록 제25대 철종실록 제26대 고종실록 제27대 순종실록 조선시대(朝鮮時代 1392~1910) 연표 (27대 519년) 王代 (왕대) 年代(연대) 01대 태조 1392~1398 1393년 2월 국호를 조선으로 바꿈. 1394년 ..
** 2012-12-07 서양사 연표 정리서양사 연표고대 그리스 B.C 1100-800 그리스역사의 암흑 시대 B.C 800 그리스 도시 국가의 시작 B.C 800 뤼코르고스 B.C 750 호메로스 , B.C 650-500 그리스 참주 시대 B.C 640-560 솔론 B.C 594 아테네에서 솔론의 개혁 B.C 582-507 피타고라스 B.C 560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참주정 B.C 524-459 테미스토클레스 B.C 496-406 소포클레스 , B.C 499-450 페르시아 전쟁 B.C 499-493 이오니아 반란 B.C 490 마라톤 전투 B.C 480 테르모퓔라이 전투 B.C 480 살라미스 해전 B.C 480-420 헤로도토스 B.C 479-404 델로스 동맹 B.C 471-400 투키디데스 B.C..
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2012.7 강의21강: 삼위일체와 신화(神化, theosis, deification), 헬레니즘적 기독교의 가톨릭으로의 전개, Augustinus의 기본 사상22강: «고백록confessiones»의 구조와 성격23강: «고백록confessiones» 읽기24강: 안셀무스, 아벨라르두스, 베르나르두스 20120727 24강: 안셀무스, 아벨라르두스, 베르나르두스 문화에 대해서 관심있는 사람들은 무언가를 공부할 때 What was really happened에 대해서 다른 책을 먼저 읽고 그 다음을 읽어야 한다. * 실정성, 내면성, 초월성 - 철학적 탐구로부터 얻어낼 수 있는 중요한 요소- 이 세가지가 철학에서 다루고 있는 여러 사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