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서• 《근대실천철학연구》, 1998년 3월 (→ 미보유)• 《인터넷으로 떠나는 철학여행》, 1998년 6월 (→ 미보유)• 《책》, 야간비행, 2003년 5월 • 《서양문명의 기반 - 철학적 탐구》, 미토, 2003년 11월 • 《책과 세계》, 살림, 2004년 4월 • 《삶은 늘 우리를 배반한다 - 지성사로 읽는 예술》, 김용섭과의 공저, 미토, 2004년 11월 • 《장미의 이름 읽기》, 미토, 2004년 12월 (→ 미보유, 《책 읽기의 끝과 시작》에 실림)• 《몸으로 하는 공부》, 여름언덕, 2005년 7월 • 《주제 - 강유원 서평집》, 뿌리와이파리, 2005년 12월 • 《강유원의 고전강의 공산당 선언 - 젊은 세대를 위한 마르크스 입문서》, 정훈이(그림), 뿌리와이파리, 2006년 5월• ..
출간사 서문 서론 또는 문제 제기: 올바름에 관한 의견들 1. 페이라이에우스로 내려감 327a~328a 2. 케팔로스: 관습에 따른 올바름(1) 328b~331c 3. 폴레마르코스: 관습에 따른 올바름(2) 331d~336a 4. 트라쉬마코스: 강자의 편익으로서의 올바름과 세상의 이치 336b~354c 5. 올바름은 부정의보다 나은가? 357a~367e 제I부 공동체의 구성과 올바름 1. 공동체의 성립 1.1. 최소한도의 나라 368a~372b 1.2. 호사스런 나라 372c~374d 2. 공동체의 수호자들 2.1. 수호자들의 성향 374e~376c 2.2. 수호자들의 교육 내용 2.2.1. 시가에 의한 교육 376c~392c 2.2.2. 시가의 이야기 투 392c~398b 2.2.3. 노래와 서정시가의..
헤겔 근대 철학사 강의 - 하워드 P. 케인즈 지음, 강유원.박수민 옮김/이제이북스 옮긴이 서문 서문 1. 중세 철학에서 근대 철학으로의 이행 2. 프랜시스 베이컨 3. 야코프 뵈메 4. 르네 데카르트 5. 베네딕트 데 스피노자 6. 니콜라스 말브랑슈 7. 존 로크 8. 후고 그로티우스 9. 토머스 홉스 10. 아이작 뉴턴 11.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 12. 크리스티안 볼프 13. 조지 버클리 14. 데이비드 흄 15. 장-자크 루소 16. 임마누엘 칸트 17. 요한 고틀리프 피히테 18. 프리드리히 요제프 셸링 후기: 헤겔의 입장 참고문헌 찾아보기 Translator's Preface 옮긴이 서문 서양 철학의 역사는 플라톤 철학의 주석에 불과하다는 말이 있다. 이 말과 유사하게 철학은 기원전 7-5세기..
루트비히 포이어바흐와 독일 고전철학의 종말 - 프리드리히 엥겔스 지음, 강유원 옮김/이론과실천 서문 Ⅰ Ⅱ Ⅲ Ⅳ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 - 칼 마르크스 지음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 - 칼 마르크스 지음 / 프리드리히 엥겔스 편집 후주 역자 후기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 1 지금까지의 모든 유물론(포이어바흐의 유물론을 포함하여)의 주요 결함은 대상, 현실, 감성이 객관이나 직관의 형식에서만 파악되고 있다는 것, 그러나 인간의 감성적 활동, 실천으로 주체적으로 파악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런 까닭에 활동적 측면은 유물론과의 대립속에서 관념론에 의해 추상적으로 - 관념론은 당연히 현실적인 감성적 활동 자체를 알지 못한다 - 전개된다. 포이어바흐는 감성적인 객관 - 사유의 객관과 현실적으로 구별되는 객관 - 에..
서양문명의 기반 - 강유원 지음/미토 서문 1.역사를 공부하는 이유 2.역사 연구의 방법 3.고대문명 4.그리스와 로마의 고전문명 5.고대 세계의 두 인물: 알렉산드로스와 율리우스 카이사르 6.중세사회 7.동양세계와 실크로드 8.르네상스 9.근대의 규정과 물질적 토대 10.근대의 혁명 11.근대의 여러 모습 12.20세기를 규정하는 세 원리 13.근대인의 자기 정체성 문제 14.근대의 파국적 완성으로서의 파시즘 에필로그 서문 헤겔의 『역사철학강의』는 '자유'의 이념을 근본 원리로 삼아 세계사를 조망한다, 정말로 그러한 조망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는 헤겔학도들의 관심사일 터이니 장황한 논의는 집도록 하되, 과연 이념의 눈으로 역사를 읽는다고 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생각해보기로 하자. 어떤 이념을 군본 원..
달인 - 조지 레너드 지음, 강유원 옮김/여름언덕 옮긴이 서문 Part 1 달인으로 사는 법 1. 서두르지 않아도 성공하는 사람, 달인 2. 나는 왜 경지에 오르지 못하는가? 3. 미국식 생활은 달콤한 방해꾼 4. 슬럼프를 사랑하라 Part 2 달인이 되는 다섯 가지 열쇠 5. 열쇠 1: 스승을 만나라 6. 열쇠 2: 연습하고 또 연습하라 7. 열쇠 3: 기꺼이 복종하라 8. 열쇠 4: 마음에 달렸다 9. 열쇠 5: 한계를 넘어서라 Part 3 예비 달인을 위한 몇 가지 팁 10. 왜 작심삼일인가? 11. 힌트는 달인에게 있다 12. 달인의 길에 놓인 함정 13. 서당개 삼 년이면 풍월을 읊는다 14. 달인의 길을 떠나기 전에 에필로그 달인과 바보 옮긴이 서문 나는 '자기계발'이라는 영역에 속하는 책들을..
책 - 강유원 지음/야간비행 머리말 : 책 사서 읽고 서평 쓰기 인간과 철학 시리즈 복거일 『현실과지향』『쓸모없는 지식을 찾아서』『소수를 위한 변명』 장 클로드 코프만 『여자의 육체 남자의 시선』 임영태 『비디오를 보는 남자』 파트리크 쥐스킨트 『비둘기』 미셸 라공 『패배자의 회고록』 장정일 『장정일의 독서일기 2』 카를로스 푸엔테스 『미국은 섹스를 한다』 칼 뢰비트『베버와 마르크스』 아이스퀼로스 『오레스테스』 홍신자 『자유를 위한 변명』 조혜정의 글들 앨리스 워커 『은밀한 기쁨을 간직하며』 시오노 나나미 『바다의 도시 이야기』 조셉 테인터 『문명의 붕괴』 ... 머리말 : 책 사서 읽고 서평 쓰기 나는 선물 받은 책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는 이러쿵저러쿵 떠들 망정, 공개적으로는 서평━거창하게 서평이랄 것..
삶은 늘 우리를 배반한다 - 강유원.김용섭 지음/미토 서문 1. 구석기... 있는 그대로의 자연 2. 신석기... 추상적 법칙의 발견 3. 이집트... 거대 농경문명과 영원한 예술 4. 그리스... 고전주의 예술의 완성, 예술가의 고향 5. 헬레니즘... 분열된 세계, 이질적인 것들의 혼합 6. 로마... 활짝 열린 실용주의 7. 비잔틴... 소박한 신앙의 화려한 표출 8. 로마네스트... 성과 속의 완전한 통합 위에 선 예술 9. 고딕... 어지러운 세상, 쇠퇴하는 믿음, 무한히 덧붙이기 10. 르네상스... 고전주의 짧게 끝나버린 이상주의와 천재의 시대 11. 매너리즘... 근대의 혼란, 예술가의 고뇌와 절망 12. 바로크... 부르주아 계급의 환호성 13. 로코코... 몰락하는 귀족들의 마지막 치장..
소크라테스, 민주주의를 캐묻다 - 강유원 지음/라티오 ‘우리 시대, 사상사로 읽는 원전: 체제 탐구’ 출간사 서문 1장 민주정이 시작된 역사적 공간 ‘폴리스’_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2장 민주정의 절정기, 체제 유지를 위한 패권 싸움_ 투퀴디데스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크세노폰 《헬레니카》 3장 민주정 시대를 체감한 소크라테스_ 크세노폰 《소크라테스 회상록》 4장 체제의 정당성을 묻는 ‘이념 혁명’_ 플라톤 《소크라테스의 변론》 5장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정치적 지향_ 플라톤 《메넥세노스》 주해: 출간사 주해, 서문 주해, 1장 주해, 2장 주해, 3장 주해, 4장 주해, 5장 주해 '우리 시대, 사상사로 읽는 원전: 체제 탐구' 출간사 우리는 민주공화국에 살고 있다. 이 명제는 정치적 의사결정 방..
주제 - 강유원 지음/뿌리와이파리 1. 책과 교양 교양이란 무엇인가/ 어떤 책을 읽을 것인가/ 진정한 교양을 위해 해야 할 일/ 을 읽는 방법 2. 역사 역사책들에 대하여/ 역사철학의 주제들/ 역사서술의 객관성과 당파성/ 역사를 보는 두 관점 우파 역사가의 거대서사/ 역사와 당대의 현실 3. 근대 개인주의/ 아동의 탄생/ 근대사의 주제들/ 자연과학이란 무엇인가/ 칼 마르크스 정념과 오성: 마르크스의 경우/ 자본가 계급과 지식인: 공병호의 경우/ 안토니오 그람시 벤야민과 파사젠베르크/ 도시와 근대성/ 자본주의 시대의 사랑과 상품 칸트와 마르크스의 '윤리적 개입' 4. 파시즘 파시즘의 정의/ 파시즘의 근본원리/ 파시즘에 있어서 '대중의 국민화'/ 스타일과 파시즘 상징의 정치화, 정치의 심미화/ 계몽주의와 '..
몸으로 하는 공부 - 강유원 지음/여름언덕 서언 1. 아는 것과 모르는 것 01 말하기와 글쓰기 02 머리로 알기, 몸으로 해보기 03 '안다'는 것 2. 책 따로, 세상 따로 04 책의 속살과 껍질 05 책 따로, 세상 따로 06 지식인은 어떻게 먹고 사는가 07 지식인과 매스미디어 3. '문화'라 불리는 것은 문화가 아니다 08 '문화'라 불리는 것은 문화가 아니다 09 리영희의 '객관성' 10 한국 '문화' 탐구 방법론 11 패스트푸드 전체주의 4. 학문의 현실적 쓸모 12 노예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13 학문의 세 가지 태도 14 철학의 현실적 쓸모 15 방법론적 시니컬 16 고전의 힘 내가 공부하는 방법 탈 아카데미즘의 길목에서 내가 공부하는 방법 서언 잡문 묶음 첫머리에 이것들이 쓰여진 경과를..
보수주의자들 - 최종욱 외 지음/삼인 001. 총론:괴델의 시대-과연 한국에 보수주의가 있는가?/최종욱 002. 김종필:그는 정통 보수주의의 원조인가/조현연 003. 김대중:자유주의적 성향의 전형적 보수주의자 /전영기 004. 이회창:어떤 신보수주의자의 엘리트주의와 귀족 정치학/손혁재 005. 노재봉:어느 `마키아벨리스트`의 이념적 초상 /이원태 006. 조갑제:일본의 개혁적 무사 정신을 동경하는 복고주의자/전영기 007. 이건희:개혁을 강조하는 한 재벌 총수의 보수적 숙명 /박원배 008. 공병호:신자유주의보다 더한 보수주의 찬미론자/장상환 009. 이인화:문학적 간기와 독선적 영웅주의 /강진호 010. 복거일:보수주의 논객으로 자리잡은 `희귀한 문학인` /강유원 011. 김문수:보수주의로 간 진보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