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흐름》을 듣고 정리한다. 2023.12.04 📖 사회사상의 흐름(7) ━ 토크빌(1) 📖 사회사상의 흐름 ❧ 토크빌 - 토크빌, 콩트, 마르크스의 비교 콩트와 마르크스는 경제현상과 사회의 정치적 조직에 관심. 콩트가 산업 사회 자체에 관심을 기울이고 기술관료 조직을 근간으로 하는 사회 비전을 가졌다면, 마르크스는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에 집중하여 그것을 혁명가의 묵시록 비전으로써 전복하는 데 관심 토크빌은 프랑스혁명 이후의 민주정 사회라는 현실에 관심. 민주정 사회에는 여러 종류의 경제적 구조, 정치제도가 결부될 수 있는데 어떤 정치제도가 자유를 보장하는지가 집중적인 탐구 과제 ⟪아메리카의 민주주의⟫는 ..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흐름》을 듣고 정리한다. 2023.11.29 📖 사회사상의 흐름(6) ━ 마르크스(3) 📖 사회사상의 흐름 ❧ 마르크스 - 마르크스의 사상과 그 연원들의 관계 도이치 고전 철학, 영국의 정치경제학, 프랑스의 사회주의 등이 마르크스의 사상과 관계가 있다고는 하지만 원천들에 관한 해석이 다양한만큼 관계에 대한 해석도 다양하고 제각각 자본주의에 관한 마르크스의 생각 또한 사회학적 원천과 철학적 이론이 경제학적 분석과 결합되어 있어서 혁명의 전개과정에 대한 일관성있는 해석을 내놓는 것에도 어려움이 있다. 마르크스가 궁극적으로 근거하고 있는 것은 인간이 자기 자신에게 낯선 자가 된다고 하는 것, 자신의 활동이..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흐름》을 듣고 정리한다. 2023.11.28 📖 사회사상의 흐름(5) ━ 마르크스(2) 📖 사회사상의 흐름 ❧ 마르크스 - ⟪자본⟫ 제1권 자본주의 체제의 기능, 작용, 진화를 동시에 분석하고 그 체제 속에서의 인간의 운명을 서술하려고 한 것. 다시 말해서 자본주의에 관한 사회학, 경제학, 철학적 역사를 통일하려고 하였으나 성공하지는 못하였다. 사회구조, 기능 작용의 방식, 체제 내에서의 인간의 운명 및 그 체제의 진화를 필연적인 방식으로 연결지어 주는 포괄적인 이론은 없다. 왜 그런가? 전체 자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역사는 합리적·필연적으로 전개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이윤과 잉..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흐름》을 듣고 정리한다. 2023.11.27 📖 사회사상의 흐름(4) ━ 마르크스(1) 📖 사회사상의 흐름 ❧ 마르크스 - 저작의 다양성. 사상 체계에는 사회학 이론, 경제 이론, 역사철학적 저작 포함. 과학적 저술의 명시적 이론과 역사철학적 서술의 묵시적 이론 간의 모순 - 개념 사용의 비일관성. 이를테면 ‘계급’을 사용하는데 이는 사회학에서 사용하는 것과 정치 현실 분석에서 사용하는 것이 다르다. - 저작 시기의 다양성. 청년기(1818-1848), ⟪헤겔 법철학 비판 서론⟫ ⟪성가족⟫ ⟪철학의 빈곤⟫ ⟪경제학·철학 수고⟫ ⟪도이치 이데올로기⟫ ⟪공산당 선언⟫; 후기, 경제학자로서의 마르크스 ⟪정..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믿음을 가진 자로서 살아간다는 것」을 듣고 정리한다. 2023.11.24 🎤 믿음을 가진 자로서 살아간다는 것 -2 도서출판 비아 10주년 기념 특별 강연 - 인문학자의 비아 강사: 강유원(철학 선생, 서평가) 일시: 2023. 11. 24. 오후 7시-8시 30분 장소: 대한성공회 대학로교회 텍스트: https://www.buymeacoffee.com/booklistalk/ninutaxale 믿음을 가진 자로서 살아간다는 것이 무엇인지가 강의의 제목이었는데, 선생님께서는 역설적으로 신앙의 길이란 우리가 신을 향해서 뭔가 구한다든지 그런 것이 아니라 오히려 끝까지 버티는 것을 말씀을 하셨다. 자기가 신앙을 가지..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믿음을 가진 자로서 살아간다는 것」을 듣고 정리한다. 2023.11.24 🎤 믿음을 가진 자로서 살아간다는 것 -1 도서출판 비아 10주년 기념 특별 강연 - 인문학자의 비아 강사: 강유원(철학 선생, 서평가) 일시: 2023. 11. 24. 오후 7시-8시 30분 장소: 대한성공회 대학로교회 텍스트: https://www.buymeacoffee.com/booklistalk/ninutaxale 이번에 민경찬씨가 편집장을 하고 있는 비아 출판사에서 강연을 하게 되었다. 저는 철학 전공자이고 아무리 제가 신학에 대해서 약간의 지식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철학에 대해서 공부하고 조금 범위를 넓힌다면 사회과학 정도로..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흐름》을 듣고 정리한다. 2023.11.20 📖 사회사상의 흐름(3) ━ 콩트 📖 사회사상의 흐름 ❧ 콩트 - 사회 유형들. 신학적·군사적 사회 유형 / 과학적·산업적 사회 유형의 대립과 진보. 사회학과 사회학 이론가의 과제는 역사의 필연적이고 불가결하고 불가피한 과정을 이해하여 새 질서의 실현을 촉진하는 일 - 삼 단계의 법칙. 신학적 시대, 형이상학적 시대, 실증적 시대 - 실증철학의 목표는 근대 세계의 위기를 해결하고 사회의 여러 조직을 관장할 과학적 사상 체계를 제공 - 산업사회의 특징들. 산업은 노동의 과학적 조직을 구성한다. 노동조직에 과학을 적용하여 부와 자원을 개발한다. 공업생산은 공장..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강유원의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2023.09.06~2023.11.15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에서 진행되는 강의이다. 2023.11.15 🎤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 10-2 커리큘럼 09.06 예술의 목적과 예술론의 학적 위치 09.13 플라톤의 미학 09.20 예술론의 전범으로서의 《향연》 10.04 mimēsis 10.11 신플라톤주의와 고전주의 예술론 10.18 maniera grande, cicerone 10.25 Baroque, Rococo 11.01 헤겔과 역사적 예술론 11.08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1):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조르조 바사리 11.15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2..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강유원의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2023.09.06~2023.11.15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에서 진행되는 강의이다. 2023.11.15 🎤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 10-1 커리큘럼 09.06 예술의 목적과 예술론의 학적 위치 09.13 플라톤의 미학 09.20 예술론의 전범으로서의 《향연》 10.04 mimēsis 10.11 신플라톤주의와 고전주의 예술론 10.18 maniera grande, cicerone 10.25 Baroque, Rococo 11.01 헤겔과 역사적 예술론 11.08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1):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조르조 바사리 11.15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2..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강유원의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2023.09.06~2023.11.15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에서 진행되는 강의이다. 2023.11.08 🎤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 9-2 커리큘럼 09.06 예술의 목적과 예술론의 학적 위치 09.13 플라톤의 미학 09.20 예술론의 전범으로서의 《향연》 10.04 mimēsis 10.11 신플라톤주의와 고전주의 예술론 10.18 maniera grande, cicerone 10.25 Baroque, Rococo 11.01 헤겔과 역사적 예술론 11.08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1):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조르조 바사리 11.15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2)..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강유원의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2023.09.06~2023.11.15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에서 진행되는 강의이다. 2023.11.08 🎤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 9-1 커리큘럼 09.06 예술의 목적과 예술론의 학적 위치 09.13 플라톤의 미학 09.20 예술론의 전범으로서의 《향연》 10.04 mimēsis 10.11 신플라톤주의와 고전주의 예술론 10.18 maniera grande, cicerone 10.25 Baroque, Rococo 11.01 헤겔과 역사적 예술론 11.08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1):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조르조 바사리 11.15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2)..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강유원의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2023.09.06~2023.11.15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에서 진행되는 강의이다. 2023.11.01 🎤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 8-2 커리큘럼 09.06 예술의 목적과 예술론의 학적 위치 09.13 플라톤의 미학 09.20 예술론의 전범으로서의 《향연》 10.04 mimēsis 10.11 신플라톤주의와 고전주의 예술론 10.18 maniera grande, cicerone 10.25 Baroque, Rococo 11.01 헤겔과 역사적 예술론 11.08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1):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조르조 바사리 11.15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2)..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강유원의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2023.09.06~2023.11.15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에서 진행되는 강의이다. 2023.11.01 🎤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 8-1 커리큘럼 09.06 예술의 목적과 예술론의 학적 위치 09.13 플라톤의 미학 09.20 예술론의 전범으로서의 《향연》 10.04 mimēsis 10.11 신플라톤주의와 고전주의 예술론 10.18 maniera grande, cicerone 10.25 Baroque, Rococo 11.01 헤겔과 역사적 예술론 11.08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1):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조르조 바사리 11.15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2)..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지나간 미래》을 듣고 정리한다. 2023.11.02 📖 경험공간과 기대지평(4) 📖 경험공간과 기대지평 라인하르트 코젤렉Reinhart Koselleck, ⟪지나간 미래⟫(Vergangene Zukunft: Zur Semantik geschichtlicher Zeiten, 1979) - 진보 “진보는 경험과 기대 사이의 시간적 차이를 하나의 개념으로 만든 특수하게 역사적인 첫번째 개념이다.” “18세기말 이후에는… 정치적·사회적 상황에 기술적·산업적 진보가 덧붙여졌다.” “학문과 기술에서 먼저 진보가 이루어지면서, 도덕적·정치적 진보가 뒤처지기는 했지만, 가속화는 이 영역까지 장악한다. 미래가 점점 빨리 사회를..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지나간 미래》을 듣고 정리한다. 2023.11.01 📖 경험공간과 기대지평(3) 📖 경험공간과 기대지평 라인하르트 코젤렉Reinhart Koselleck, ⟪지나간 미래⟫(Vergangene Zukunft: Zur Semantik geschichtlicher Zeiten, 1979) - 경험과 기대관계의 역사적 변화 “나의 테제는 근대에 경험과 기대 사이의 차이가 점점 커진다는 것이고, 더 정확히 말해서 기대들이 그때까지의 경험들에서 점점 멀어지면서 근대가 새로운 시대로 파악된다는 것이다.” - 진보개념 “진보개념은 18세기말경에야 비로소 지나간 3세기의 충만한 새로운 경험들을 결집시키며 만들어졌다… ‘진보’는..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지나간 미래》을 듣고 정리한다. 2023.10.30 📖 경험공간과 기대지평(2) 📖 경험공간과 기대지평 라인하르트 코젤렉Reinhart Koselleck, ⟪지나간 미래⟫(Vergangene Zukunft: Zur Semantik geschichtlicher Zeiten, 1979) - 메타역사적 범주로서의 경험공간(Erfahrungsraum)과 기대지평(Erwartungshorizont) “경험은 사건들이 체화되어 기억될 수 있는 현재적 과거” “기대… 현재화된 미래로서 아직은 아닌 것, 경험되지 않은 것, 해명될 수 있을 뿐인 것을 지향” “지평은 아직은 보이지 않는 새로운 경험공간을 나중에 열어주는 선을 ..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지나간 미래》을 듣고 정리한다. 2023.10.30 📖 경험공간과 기대지평(1) 📖 경험공간과 기대지평 라인하르트 코젤렉Reinhart Koselleck, ⟪지나간 미래⟫(Vergangene Zukunft: Zur Semantik geschichtlicher Zeiten, 1979) - 문턱 시대(Schwellenzeit), 또는 말안장 시대(Sattelzeit) 1750-1850. 역사의 연속성 속에서도 급격한 단절이 발생한 시기 - 경험과 기대의 의미 “경험 없는 기대는 없으며, 기대 없는 경험도 없다.” “기대와 경험은… 동시에 역사와 역사인식을 구성한다.” “‘경험’과 ‘기대’는 과거와 미래를 교차시키고..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강유원의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2023.09.06~2023.11.15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에서 진행되는 강의이다. 2023.10.25 🎤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 7-2 커리큘럼 09.06 예술의 목적과 예술론의 학적 위치 09.13 플라톤의 미학 09.20 예술론의 전범으로서의 《향연》 10.04 mimēsis 10.11 신플라톤주의와 고전주의 예술론 10.18 maniera grande, cicerone 10.25 Baroque, Rococo 11.01 헤겔과 역사적 예술론 11.08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1):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조르조 바사리 11.15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2)..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강유원의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2023.09.06~2023.11.15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에서 진행되는 강의이다. 2023.10.25 🎤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 7-1 커리큘럼 09.06 예술의 목적과 예술론의 학적 위치 09.13 플라톤의 미학 09.20 예술론의 전범으로서의 《향연》 10.04 mimēsis 10.11 신플라톤주의와 고전주의 예술론 10.18 maniera grande, cicerone 10.25 Baroque, Rococo 11.01 헤겔과 역사적 예술론 11.08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1):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조르조 바사리 11.15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2)..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흐름》을 듣고 정리한다. 2023.10.26 📖 사회사상의 흐름(2) ━ 몽테스키외 📖 사회사상의 흐름 레이몽 아롱Raymond Aron(1905-1983), ⟪사회사상의 흐름⟫(Les Étapes de la pensée sociologique, 1967) - 몽테스키외는 사회학자인가 명시적 의미에서의 사회학자는 아니다. 무의미한 다양한 사실들로부터 지적 이해가 가능한 질서를 추론하려 했다는 것은 사회학자 특유의 태도이다. 그가 질서의 발견을 시도했다는 것은 우발적으로 보이는 과정의 배후에 근본 원인이 있음을 전제한 것이다. - ⟪법의 정신⟫ 대별하면 1)정부의 세 가지 유형에 관한 논의(정부 유형론..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흐름》을 듣고 정리한다. 2023.10.10 📖 사회사상의 흐름(1) ━ 서론 📖 사회사상의 흐름 레이몽 아롱Raymond Aron(1905-1983), ⟪사회사상의 흐름⟫(Les Étapes de la pensée sociologique, 1967) - 서론 “혁명적 의도로 탄생한 사회학이 현존 소비에트 사회를 정당화하는 하나의 이데올로기가 되어버린 것이다.” “소비에트 사회학자들은 스스로는 보수주의자이고 남들에게는 혁명가들이다.” 오늘부터는 제가 가지고 있는 책들 중에서 꽤 오래전에, 거의 한 30년 전쯤에 읽었던 책들을 소개하려고 한다. 오늘 읽는 레이몽 아롱의 《사회사상의 흐름》인데, 이걸 읽..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도스토옙스키》을 듣고 정리한다. 2023.10.25 📖 도스토옙스키(5) 📖 도스토옙스키 에두아르트 트루나이젠Eduard Thurneysen(1888-1974), ⟪도스토옙스키, 지옥으로 추락하는 이들을 위한 신학⟫(Dostojewski, 1921) - 고난을 겪는 인간에 대한 연민 “생명을 향한 적극적인 관심, 인간에 대한 이해, 모든 피조물의 고통과 희망을 한없는 연민으로 품어 안고 거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는 것” - 겸허한 사랑 “그곳[시베리아 형무소]에서 그를 사로잡은 하나의 압도적인 체험, 가장 깊은 인상을 남긴 체험은 겸허한, 부서진, 고통당하는 인간과의 만남이었다.” “겸허한 사랑은 무서운 힘이다..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도스토옙스키》을 듣고 정리한다. 2023.10.24 📖 도스토옙스키(4) 📖 도스토옙스키 에두아르트 트루나이젠Eduard Thurneysen(1888-1974), ⟪도스토옙스키, 지옥으로 추락하는 이들을 위한 신학⟫(Dostojewski, 1921) - 경건함 “아무것도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고, 닿아오지 않는 순간을 우리는 소멸이라 부른다. 소멸이라 부르는 것은 경건함이다.”(⟪숨은 신을 찾아서⟫, 표2) - “세 겹의 긴장” · 인간은 세속적인 만족을 포기해야 한다. · 인간은 자신의 정신적인 실존의 확실함마저도 기대해서는 안 된다. · 인간은 신을 설명할 수 없으므로 신마저도 포기해야만 한다. - 무신론..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도스토옙스키》을 듣고 정리한다. 2023.10.23 📖 도스토옙스키(3) 📖 도스토옙스키 에두아르트 트루나이젠Eduard Thurneysen(1888-1974), ⟪도스토옙스키, 지옥으로 추락하는 이들을 위한 신학⟫(Dostojewski, 1921) - 도스토옙스키의 관점 변증법적 실존. “궁극적인 질문 때문에 괴로워하던 바로 그 자리에서 삶의 의미를 발견... 궁극적인 질문이 있는 곳에 궁극적인 해답도 있기 때문이다.” “철저한 사실주의”, “완전한 사실주의를 통해 인간 안에 있는 인간을 발견하는 것”. 이는 인간이 대답할 수 없는, 인간 너머에 있는 초월적인 것을 무한히 추구한다는 의미에서의 초월적 형이상학..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도스토옙스키》을 듣고 정리한다. 2023.10.19 📖 도스토옙스키(2) 📖 도스토옙스키 에두아르트 트루나이젠Eduard Thurneysen(1888-1974), ⟪도스토옙스키, 지옥으로 추락하는 이들을 위한 신학⟫(Dostojewski, 1921) - 도스토옙스키의 사람들 “기묘한 인간들의 조합이다. 모든 사회 계층의 사람들, 하늘과 땅 사이에서 생각해낼 수 있는 모든 정신적인 영역에서 나온 사람들… 현실 속에서 살아가는 현실적인 인간들… 대지에 착 달라붙은 것 같지만 완전히 뿌리 뽑힌 인생… 그들의 삶은 특히 진부하고 통속적이다… 어두운 골목, 작고 좁은 방, 어딘지 의심스러운 술집, 유곽, 교도소” — 인..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도스토옙스키》을 듣고 정리한다. 2023.10.18 📖 도스토옙스키(1) 📖 도스토옙스키 에두아르트 트루나이젠Eduard Thurneysen(1888-1974), ⟪도스토옙스키, 지옥으로 추락하는 이들을 위한 신학⟫(Dostojewski, 1921) - 변증법적 신학 “신적 진리의 역설적 성격을 강조하는 신학 운동”, 신은 심판하는 존재이자 은혜를 베푸는 존재라는 것, 상반되거나 모순되는 대립항들이 공존하는 사태에 대한 신학적 응시. 죄(Schuld)를 지었다는 자각으로부터, 바로 그러한 자각으로부터만 속죄(Sühne)가 길어올려질 수 있다는 통찰 - 도스토옙스키의 출발점, 인간이란 무엇인가 “‘우리 자신’이란..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신학의 영토들》을 듣고 정리한다. 2023.10.17 📖 신학의 영토들 📖 신학의 영토들 김진혁, ⟪신학의 영토들 - 서평으로 본 현대 신학⟫ - 서평 “책의 숨겨진 배경을 설명하고, 저자가 가진 생각의 심층 구조를 드러내며, 책의 내용이나 수용 방식이 독자 개인이나 지식 생태계에 끼칠 영향을 평가하는 전문적이고 기술적인 기능을 수행” - 책을 선별한 기준 대표성, 접근성, 현실성, 희귀성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Friedrich Daniel Ernst Schleiermacher, ⟪종교론⟫(Über die Religion. Reden an die Gebildeten unter ihren Verächtern, 1..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강유원의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2023.09.06~2023.11.15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에서 진행되는 강의이다. 2023.10.18 🎤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 6-2 커리큘럼 09.06 예술의 목적과 예술론의 학적 위치 09.13 플라톤의 미학 09.20 예술론의 전범으로서의 《향연》 10.04 mimēsis 10.11 신플라톤주의와 고전주의 예술론 10.18 maniera grande, cicerone 10.25 Baroque, Rococo 11.01 헤겔과 역사적 예술론 11.08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1):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조르조 바사리 11.15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