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흐름》을 듣고 정리한다. 2023.10.26 📖 사회사상의 흐름(2) ━ 몽테스키외 📖 사회사상의 흐름 레이몽 아롱Raymond Aron(1905-1983), ⟪사회사상의 흐름⟫(Les Étapes de la pensée sociologique, 1967) - 몽테스키외는 사회학자인가 명시적 의미에서의 사회학자는 아니다. 무의미한 다양한 사실들로부터 지적 이해가 가능한 질서를 추론하려 했다는 것은 사회학자 특유의 태도이다. 그가 질서의 발견을 시도했다는 것은 우발적으로 보이는 과정의 배후에 근본 원인이 있음을 전제한 것이다. - ⟪법의 정신⟫ 대별하면 1)정부의 세 가지 유형에 관한 논의(정부 유형론..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흐름》을 듣고 정리한다. 2023.10.10 📖 사회사상의 흐름(1) ━ 서론 📖 사회사상의 흐름 레이몽 아롱Raymond Aron(1905-1983), ⟪사회사상의 흐름⟫(Les Étapes de la pensée sociologique, 1967) - 서론 “혁명적 의도로 탄생한 사회학이 현존 소비에트 사회를 정당화하는 하나의 이데올로기가 되어버린 것이다.” “소비에트 사회학자들은 스스로는 보수주의자이고 남들에게는 혁명가들이다.” 오늘부터는 제가 가지고 있는 책들 중에서 꽤 오래전에, 거의 한 30년 전쯤에 읽었던 책들을 소개하려고 한다. 오늘 읽는 레이몽 아롱의 《사회사상의 흐름》인데, 이걸 읽..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도스토옙스키》을 듣고 정리한다. 2023.10.25 📖 도스토옙스키(5) 📖 도스토옙스키 에두아르트 트루나이젠Eduard Thurneysen(1888-1974), ⟪도스토옙스키, 지옥으로 추락하는 이들을 위한 신학⟫(Dostojewski, 1921) - 고난을 겪는 인간에 대한 연민 “생명을 향한 적극적인 관심, 인간에 대한 이해, 모든 피조물의 고통과 희망을 한없는 연민으로 품어 안고 거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는 것” - 겸허한 사랑 “그곳[시베리아 형무소]에서 그를 사로잡은 하나의 압도적인 체험, 가장 깊은 인상을 남긴 체험은 겸허한, 부서진, 고통당하는 인간과의 만남이었다.” “겸허한 사랑은 무서운 힘이다..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도스토옙스키》을 듣고 정리한다. 2023.10.24 📖 도스토옙스키(4) 📖 도스토옙스키 에두아르트 트루나이젠Eduard Thurneysen(1888-1974), ⟪도스토옙스키, 지옥으로 추락하는 이들을 위한 신학⟫(Dostojewski, 1921) - 경건함 “아무것도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고, 닿아오지 않는 순간을 우리는 소멸이라 부른다. 소멸이라 부르는 것은 경건함이다.”(⟪숨은 신을 찾아서⟫, 표2) - “세 겹의 긴장” · 인간은 세속적인 만족을 포기해야 한다. · 인간은 자신의 정신적인 실존의 확실함마저도 기대해서는 안 된다. · 인간은 신을 설명할 수 없으므로 신마저도 포기해야만 한다. - 무신론..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도스토옙스키》을 듣고 정리한다. 2023.10.23 📖 도스토옙스키(3) 📖 도스토옙스키 에두아르트 트루나이젠Eduard Thurneysen(1888-1974), ⟪도스토옙스키, 지옥으로 추락하는 이들을 위한 신학⟫(Dostojewski, 1921) - 도스토옙스키의 관점 변증법적 실존. “궁극적인 질문 때문에 괴로워하던 바로 그 자리에서 삶의 의미를 발견... 궁극적인 질문이 있는 곳에 궁극적인 해답도 있기 때문이다.” “철저한 사실주의”, “완전한 사실주의를 통해 인간 안에 있는 인간을 발견하는 것”. 이는 인간이 대답할 수 없는, 인간 너머에 있는 초월적인 것을 무한히 추구한다는 의미에서의 초월적 형이상학..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도스토옙스키》을 듣고 정리한다. 2023.10.19 📖 도스토옙스키(2) 📖 도스토옙스키 에두아르트 트루나이젠Eduard Thurneysen(1888-1974), ⟪도스토옙스키, 지옥으로 추락하는 이들을 위한 신학⟫(Dostojewski, 1921) - 도스토옙스키의 사람들 “기묘한 인간들의 조합이다. 모든 사회 계층의 사람들, 하늘과 땅 사이에서 생각해낼 수 있는 모든 정신적인 영역에서 나온 사람들… 현실 속에서 살아가는 현실적인 인간들… 대지에 착 달라붙은 것 같지만 완전히 뿌리 뽑힌 인생… 그들의 삶은 특히 진부하고 통속적이다… 어두운 골목, 작고 좁은 방, 어딘지 의심스러운 술집, 유곽, 교도소” — 인..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도스토옙스키》을 듣고 정리한다. 2023.10.18 📖 도스토옙스키(1) 📖 도스토옙스키 에두아르트 트루나이젠Eduard Thurneysen(1888-1974), ⟪도스토옙스키, 지옥으로 추락하는 이들을 위한 신학⟫(Dostojewski, 1921) - 변증법적 신학 “신적 진리의 역설적 성격을 강조하는 신학 운동”, 신은 심판하는 존재이자 은혜를 베푸는 존재라는 것, 상반되거나 모순되는 대립항들이 공존하는 사태에 대한 신학적 응시. 죄(Schuld)를 지었다는 자각으로부터, 바로 그러한 자각으로부터만 속죄(Sühne)가 길어올려질 수 있다는 통찰 - 도스토옙스키의 출발점, 인간이란 무엇인가 “‘우리 자신’이란..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신학의 영토들》을 듣고 정리한다. 2023.10.17 📖 신학의 영토들 📖 신학의 영토들 김진혁, ⟪신학의 영토들 - 서평으로 본 현대 신학⟫ - 서평 “책의 숨겨진 배경을 설명하고, 저자가 가진 생각의 심층 구조를 드러내며, 책의 내용이나 수용 방식이 독자 개인이나 지식 생태계에 끼칠 영향을 평가하는 전문적이고 기술적인 기능을 수행” - 책을 선별한 기준 대표성, 접근성, 현실성, 희귀성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Friedrich Daniel Ernst Schleiermacher, ⟪종교론⟫(Über die Religion. Reden an die Gebildeten unter ihren Verächtern, 1..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강유원의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2023.09.06~2023.11.15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에서 진행되는 강의이다. 2023.10.18 🎤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 6-2 커리큘럼 09.06 예술의 목적과 예술론의 학적 위치 09.13 플라톤의 미학 09.20 예술론의 전범으로서의 《향연》 10.04 mimēsis 10.11 신플라톤주의와 고전주의 예술론 10.18 maniera grande, cicerone 10.25 Baroque, Rococo 11.01 헤겔과 역사적 예술론 11.08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1):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조르조 바사리 11.15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2)..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강유원의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2023.09.06~2023.11.15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에서 진행되는 강의이다. 2023.10.18 🎤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 6-1 커리큘럼 09.06 예술의 목적과 예술론의 학적 위치 09.13 플라톤의 미학 09.20 예술론의 전범으로서의 《향연》 10.04 mimēsis 10.11 신플라톤주의와 고전주의 예술론 10.18 maniera grande, cicerone 10.25 Baroque, Rococo 11.01 헤겔과 역사적 예술론 11.08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1):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조르조 바사리 11.15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2)..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강유원의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2023.09.06~2023.11.15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에서 진행되는 강의이다. 2023.10.11 🎤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 5-1 커리큘럼 09.06 예술의 목적과 예술론의 학적 위치 09.13 플라톤의 미학 09.20 예술론의 전범으로서의 《향연》 10.04 mimēsis 10.11 신플라톤주의와 고전주의 예술론 10.18 maniera grande, cicerone 10.25 Baroque, Rococo 11.01 헤겔과 역사적 예술론 11.08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1):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조르조 바사리 11.15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2)..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강유원의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2023.09.06~2023.11.15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에서 진행되는 강의이다. 2023.10.04 🎤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 4-2 커리큘럼 09.06 예술의 목적과 예술론의 학적 위치 09.13 플라톤의 미학 09.20 예술론의 전범으로서의 《향연》 10.04 mimēsis 10.11 신플라톤주의와 고전주의 예술론 10.18 maniera grande, cicerone 10.25 Baroque, Rococo 11.01 헤겔과 역사적 예술론 11.08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1):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조르조 바사리 11.15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2)..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강유원의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2023.09.06~2023.11.15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에서 진행되는 강의이다. 2023.10.04 🎤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 4-1 커리큘럼 09.06 예술의 목적과 예술론의 학적 위치 09.13 플라톤의 미학 09.20 예술론의 전범으로서의 《향연》 10.04 mimēsis 10.11 신플라톤주의와 고전주의 예술론 10.18 maniera grande, cicerone 10.25 Baroque, Rococo 11.01 헤겔과 역사적 예술론 11.08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1):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조르조 바사리 11.15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2)..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강유원의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2023.09.06~2023.11.15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에서 진행되는 강의이다. 2023.09.20 🎤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 3-2 커리큘럼 09.06 예술의 목적과 예술론의 학적 위치 09.13 플라톤의 미학 09.20 예술론의 전범으로서의 《향연》 10.04 mimēsis 10.11 신플라톤주의와 고전주의 예술론 10.18 maniera grande, cicerone 10.25 Baroque, Rococo 11.01 헤겔과 역사적 예술론 11.08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1):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조르조 바사리 11.15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2)..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강유원의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2023.09.06~2023.11.15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에서 진행되는 강의이다. 2023.09.20 🎤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 3-1 커리큘럼 09.06 예술의 목적과 예술론의 학적 위치 09.13 플라톤의 미학 09.20 예술론의 전범으로서의 《향연》 10.04 mimēsis 10.11 신플라톤주의와 고전주의 예술론 10.18 maniera grande, cicerone 10.25 Baroque, Rococo 11.01 헤겔과 역사적 예술론 11.08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1):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조르조 바사리 11.15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2)..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강유원의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2023.09.06~2023.11.15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에서 진행되는 강의이다. 2023.09.13 🎤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 2-2 커리큘럼 09.06 예술의 목적과 예술론의 학적 위치 09.13 플라톤의 미학 09.20 예술론의 전범으로서의 《향연》 10.04 mimēsis 10.11 신플라톤주의와 고전주의 예술론 10.18 maniera grande, cicerone 10.25 Baroque, Rococo 11.01 헤겔과 역사적 예술론 11.08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1):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조르조 바사리 11.15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2)..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강유원의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2023.09.06~2023.11.15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에서 진행되는 강의이다. 2023.09.13 🎤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 2-1 커리큘럼 09.06 예술의 목적과 예술론의 학적 위치 09.13 플라톤의 미학 09.20 예술론의 전범으로서의 《향연》 10.04 mimēsis 10.11 신플라톤주의와 고전주의 예술론 10.18 maniera grande, cicerone 10.25 Baroque, Rococo 11.01 헤겔과 역사적 예술론 11.08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1):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조르조 바사리 11.15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2)..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강유원의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2023.09.06~2023.11.15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에서 진행되는 강의이다. 2023.09.06 🎤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 1-2 커리큘럼 09.06 예술의 목적과 예술론의 학적 위치 09.13 플라톤의 미학 09.20 예술론의 전범으로서의 《향연》 10.04 mimēsis 10.11 신플라톤주의와 고전주의 예술론 10.18 maniera grande, cicerone 10.25 Baroque, Rococo 11.01 헤겔과 역사적 예술론 11.08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1):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조르조 바사리 11.15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2)..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강유원의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2023.09.06~2023.11.15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에서 진행되는 강의이다. 2023.09.06 🎤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 1-1 커리큘럼 09.06 예술의 목적과 예술론의 학적 위치 09.13 플라톤의 미학 09.20 예술론의 전범으로서의 《향연》 10.04 mimēsis 10.11 신플라톤주의와 고전주의 예술론 10.18 maniera grande, cicerone 10.25 Baroque, Rococo 11.01 헤겔과 역사적 예술론 11.08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1):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조르조 바사리 11.15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2)..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향연》을 듣고 정리한다. 2023.08.22 📖 향연(8) 플라톤, ⟪향연⟫(Symposion) VI 에필로그 - 향연의 파장罷場 223b1-223d8 ‘갑자기’ 나타난 노니는 자들 때문에 모두가 술을 마시게 되고 잠들기도 하고, 집으로 가기도 함; 소크라테스는 아가톤과 아리스토파네스에게 “희극을 만들 줄 아는 것과 비극을 만들 줄 아는 것이 같은 사람에게 속한다는 것, 그리고 기술을 가지고 비극을 만드는 자는 기술을 가지고 희극을 만드는 자이기도 하다는 것을 그들이 인정할 수밖에 없도록 밀어붙이고 있었다는 것” - 소크라테스가 자리를 떠남 223d9-223d12 소크라테스는 “저들을 잠들게 한 후에 일어나 떠..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향연》을 듣고 정리한다. 2023.08.21 📖 향연(7) 플라톤, ⟪향연⟫(Symposion) V 알키비아데스의 틈입闖入 - 알키비아데스의 도착 212c4-215a3 ‘갑자기’ 나타난 알키비아데스, 에로스가 아닌 소크라테스를 찬양함 - 알키비아데스의 연설: 소크라테스 찬양 215a4-222b7 모상을 통한 찬양. 실레노스와 사튀로스와의 유사성; 아이러니와 방자함(오만함), 절제; 인내와 용기; 소크라테스의 독특함 - 소크라테스의 답사와 자리에 대한 승강이 222c1-223a9 소크라테스, “알키비아데스, 자네 안 취한 것 같네그려.”; 알키비아데스, “소크라테스 선생님이 곁에 있으면 다른 사람이 아름다운 사람..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향연》을 듣고 정리한다. 2023.08.16 📖 향연(6) 플라톤, ⟪향연⟫(Symposion) - 디오티마의 이야기와 소크라테스의 권유: 에로스의 사다리, 에로스로의 권유 209e5-212c3 [via unitiva] 에로스의 사다리. 아름다운 것 자체에 대한 앎으로 올라가는 길, “갑자기”(exaiphnēs) 아름다운 것 자체를 보게 됨; 에로스로의 권유. “나는 모든 사람이 에로스를 존경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나 자신도 에로스의 일들을 높이 평가하고 남다르게 연습하면 남들에게도 그러라고 권유한다네.”(212b) 오늘은 《향연》 여섯 번째 시간이다. 이 부분은 분량은 적지만 플라톤 미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향연》을 듣고 정리한다. 2023.08.14 📖 향연(5) 플라톤, ⟪향연⟫(Symposion) - 디오티마의 이야기: 에로스의 정체, 기원과 본성, 정의, 기능, 원인, 효과 201d1-209e4[via illuminativa] 에로스의 정체. 중간자; 에로의 기원과 본성. 풍요의 신과 가난한 여인; 에로스의 정의. 좋은 것을 늘 소유하려는 욕구; 에로스의 원인. 새로운 것을 낳음에 의한 불사; 에로스의 효과. 불사의 자식 플라톤의 대화편 《향연》을 읽고 있다. 오늘은 디오티마의 이야기를 소크라테스가 전해주는 부분이다. 이게 바로 via illuminativa에 해당하는 것이다. 201d부터 209e까지 얘기..
강유원과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향연》을 듣고 정리한다. 2023.08.08 📖 향연(4) 플라톤, ⟪향연⟫(Symposion) IV 소크라테스의 이야기 - 소크라테스와 아가톤의 대화 199c3-201c9 [via purgativa] via purgativa. 정화淨化(katharsis), 논박(elenkhos); “친애하는(phile) 아가톤”(199c)과 “사랑받는(philoumene) 아가톤”(201c)의 차이; “에로스가 어떤 자인지를 드러내고, 그 다음에 그 기능(ergon)을 다루어야”. ‘선물’(dosis)을 ‘기능’으로 바꾸어 말한 까닭; 에로스의 관계적·대상지향적 성격, “확실히 어떤 것에 대한 에로스입니다.”(199e), “..
강유원과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향연》을 듣고 정리한다. 2023.08.07 📖 향연(3) 플라톤, ⟪향연⟫(Symposion) - 아리스토파네스의 딸꾹질 185c4-e5이야기 순서를 바꾸는 역할, 육체의 부조화 - 에뤽시마코스의 연설 185e6-188e4영혼만이 아니라 몸의 조화를 이루어주는 에로스, 세상 사물 일반으로, 천문학으로, 신과 인간의 관계로까지 확장되는 에로스 — 우주적 에로스 - 웃음에 관한 공방 189a1-189c1희극 작가로서의 아리스토파네스와 우스갯 소리 - 아리스토파네스의 연설 189c2-193e2인간의 본성, 애초의 자기 것을 찾아 온전함을 회복하고자 하는 욕망, 운명적 사랑의 괴로움, 인간의 원초적 비극성 III 막..
강유원과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향연》을 듣고 정리한다. 2023.08.01 📖 향연(2) 플라톤, ⟪향연⟫(Symposion) I 프롤로그 - 아폴로도로스의 도입 이야기 172a1-174a2 아폴로도로스의 이야기 ‘연습’(meletē); 지혜에 관한 이야기를 듣고 싶어하는 “부유하고 돈 잘 버는 자네들” - 아리스토데모스의 향연 이야기 서두 174a3-175e10 아가톤(Agathōn)의 집에 가는 ‘아름다운’(kalos) 소크라테스; 가는 길에 스스로 뭔가 골똘히 생각하느라 뒤쳐지게 된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 곁에 앉으려는 아가톤; 지혜의 기준으로서의 “3만이 넘는 희랍 사람들” - 향연 방식과 이야기 주제 결정 176a1-178a5 술은..
강유원과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향연》을 듣고 정리한다. 2023.07.31 📖 향연(1) 플라톤, ⟪향연⟫(Symposion) I 프롤로그 - 아폴로도로스의 도입 이야기 172a1-174a2 - 아리스토데모스의 향연 이야기 서두 174a3-175e10 - 향연 방식과 이야기 주제 결정 176a1-178a5 II 연설들 - 파이드로스의 연설 178a6-180b8 - 파우사니아스의 연설 180c1-185c3 - 아리스토파네스의 딸꾹질 185c4-e5 - 에뤽시마코스의 연설 185e6-188e4 - 웃음에 관한 공방 189a1-189c1 - 아리스토파네스의 연설 189c2-193e2 III 막간, 아가톤의 연설 - 소크라테스의 걱정 193e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