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역사》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7.04 사회사상의 역사 (마지막) 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앵겔스가 《공산당 선언》을 작성, 그 팜플렛을 작성한 게 1848년이다. 1848년이라는 기준 연도를 기억해야 된다고 여러번 이야기를 했다. 그 해가 굉장히 중요한 해라는 의미에서가 아니라 그것을 기준으로 이렇게 저렇게 생각을 해봐야 된다는 것이다. 마르크스의 《공산당 선언》에 보면 부르주아계급과 프롤레타리아 계급, 즉 부르주아지와 프롤레타리아트의 대립 이 두 가지가 이를테면 극명하게 드러나 있다. 그게 현실적으로 그 당대 사회의 계급적인 층위들을 면밀하게 분석..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역사》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6.28 사회사상의 역사 - 제6장(2) 사카모토 다쓰야의 《사회사상의 역사》, 오늘은 아담 스미스 『도덕감정론에서의 공감과 도덕질서』 부분을 설명하겠다. 이 책의 저자 사카모토 교수가 경제학과 교수, 경제학부 전공이 그쪽이니까 아담 스미스 부분은 저보다 훨씬 더 잘 알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제5장 루소의 문명 비판과 인민주권론 이 부분은 정말 아주 오래된 루소 이야기를 정리해 놓은 것에 불과하고 분량도 별로 그렇게 되지 않았다. 그런데 아담 스미스 부분은 분량이 굉장히 많다. 아담 스미스를 전공했..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역사》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6.20 사회사상의 역사 - 제6장(1) 《사회사상의 역사》 오늘은 제6장 스미스에게서의 경제학의 성립을 읽는다. "스미스에게서의" 이 말은 일본식 말이고, "스미스에서 경제학의 성립" 이렇게 하는 게 우리 말로 맞겠다. 저자 사카모토 다쓰야는 게이오기주쿠 대학의 경제학부 교수이다. 2019년에 퇴직을 했는데 와세다 대학의 정치경제학술원 경제학 박사이다. 경제학 박사인데 경제 사상인 흄의 문명사회 이런 책을 썼다. 그것으로 1995년에 산토리학예상을 받았고 일본 학사원상을 받았는데 그 책들은 안 읽어봤으니까 코멘트를 할 ..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역사》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6.13 사회사상의 역사 - 제5장 《사회사상의 역사》 오늘은 제5장 루소의 문명비판과 인민주권론 이 부분을 검토해 보겠다. 《사회사상의 역사》 이 책은 여러 차례 얘기했듯이 지금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 낡아버린 논의의 구도, 프레임을 가지고 있다. 무심코 받아들이면 안 되는 것들이 꽤 있는데 이것들을 검토하면서 책을 읽어가면서 어떤 부분은 주의해야 되는가 그런 것을 얘기하려고 한다. 우선 제1절은 ‘시대'의 문맥: 문명사회의 위기인데 조심해야 되는 부분이 있다. 지금 현재 18세기 루소가 등장하는 이 시기, 시기가 문명사..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역사》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6.07 사회사상의 역사 - 제3장, 제4장 오늘 《사회사상의 역사》는 제3장은 “5.로크의 이성적 인간관과 정치사회론”을 검토한다. 로크의 이성적 인간관이라고 했는데 로크의 이성적 인간관이라는 말은, 이성적이라는 것은 거의 입버릇처럼 하는 말인데 철학자들마다 규정하는 개념이 다르다. 아주 극단적으로 말하면 토마스 홉스에서 이성이다 라고 하면 계산하는 능력이다. 자기에게 손해가 되는가 이익이 되는가 이런 것을 계산하는 능력을 가리킬 수도 있고 쾌락을 계산하고 고통을 계산하는 능력을 말할 때 이성이라는 개념을 쓴다. 가령 ..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역사》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5.30 사회사상의 역사 - 제3장(3) 오늘 《사회사상의 역사》는 제3장 고전적 ‘사회계약’ 사상의 전개에서 제4절 홉스의 기계론적 인간관과 절대주권 이론을 검토하겠다. 있는 그대로 읽는 것이 아니라 검토하겠다고 말하는 것은, 사실 우리가 홉스의, 저자가 홉스에 대해서 쓴 것을 뭔가 대조해서 볼 수 있는 자료가 있다. 「정치사상사 토론」에서 회페의 저작에 나타난 얘기를 정리했었고 거기에 덧붙여서 논평을 붙여 놓은 것이 있다. 그것을 가지고 검토를 해보는 것이 지금 해보려는 일이다. 먼저 지난 시간에 얘기했던 사회계약의 ..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역사》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5.24 사회사상의 역사 - 제3장(2) - 자연법: 신의 의지로도 변경할 수 없는 불변의 법칙으로 가정된 명령. 신에게 의탁할 수 없는 세계에서 사회적 합의에 대한 궁극적 근거로서 제시된 것 - 계약: 자연법의 명령을 구체적 현실에서 실현하기 위해 인간 공동체가 타협을 통해 체결하는 것 《사회사상의 역사》 제3장 고전적 ‘사회계약’ 사상의 전개이다. 지난 번에는 첫번째 섹션 1. ‘시대’의 문맥: 국제 상업 전쟁의 개막을 읽었는데 그 부분을 연대기순으로 재정리해서 시대의 문맥을 다시 한번 말했다. 지금 시대의 문맥이라고..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역사》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5.17 사회사상의 역사 - 제3장(1) - 16세기의 주요 사건 1581. 네덜란드 북부 저지대의 7개 주가 에스파냐의 지배로부터 독립하여 공화국이 되었다. 1588. 엘리자베스 1세 시대의 잉글랜드가 에스파냐의 무적함대를 격파 1598. 프랑스 앙리 4세 ‘낭트칙령’ 선포 - ‘17세기 일반 위기’(The General Crisis of the 17th Century) 1618-1648. 30년 전쟁 1642-1651. 잉글랜드 내전 1685. 프랑스 루이 14세 낭트칙령 폐지, 영토확장 정책 《사회사상의 역사》는 제..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역사》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5.08 사회사상의 역사 - 종교개혁의 사회사상 - 막스 베버가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제시한 테제는 이미 논박된 것이므로 그것에 근거하여 종교개혁의 사회사상을 논의하는 것은 논증 자체가 사상누각에 불과한 것이 된다. - 토니, ⟪기독교와 자본주의의 발흥⟫이 베버 테제에 대한 논박을 담고 있다. - Kurt Samuelsson, Religion and Economic Action: The Protestant Ethic, the Rise of Capitalism and the Abuses of Scho..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역사》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5.02 사회사상의 역사 - 마키아벨리(6) 막스 베버의 ‘법의 지배’ 또는 ‘합법적 지배’에 근거한 근대 국가 개념이 마키아벨리에서 발견될 수 있는지는 의문. “맹목적 운명의 저편”이 무엇을 지칭하는지가 불분명하며, 그것으로써 새롭게 전개될 사회사상이 종교개혁이면 과연 어떤 측면에서 그러한가. 《사회사상의 역사》 오늘은 마키아벨리에서의 '자유'와 '공공'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이전까지는 한챕터에서 한 섹션씩 다루어 왔으나 앞으로는 두세 개 정도씩 하겠다. 이 책 자체가 사회사상의 역사라고는 하지만 저자가 자유와 공공이라..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역사》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4.25 사회사상의 역사 - 마키아벨리(5) ⟪로마사 논고⟫ - ⟪군주론⟫과 ⟪로마사 논고⟫의 관계에 관해서는 여러 해석들이 논란 중에 있다. 나는 ⟪군주론⟫의 주장이 핵심이며, ⟪로마사 논고⟫는 그 주장에 대한 사례집이라는 논변을 정립하고 그것을 위한 증거들을 정합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 ⟪로마사 논고⟫가 가진 중요한 의의 중의 하나는 ‘헌정사’에서 제시되는 정치(학)에 관한 “새로운 방법이나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사회사상의 역사》에서 마키아벨리에 관한 부분을 읽고 있다. 오늘은 마키..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역사》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4.19 사회사상의 역사 - 마키아벨리(4) 마키아벨리의 ‘정치가관’ - 마키아벨리가 말하는 인간관은 일반적 인간 본성에 관한 것이 아니라 군주라는 지위에 있는 인간, 즉 정치가의 특성에 관한 것이다. 정치가는 현실적 정치 상황에서 목적 — 여기서는 피렌체라는 도시를 지키는 것 — 을 실현하기 위하여 철저하게 합리적 수단을 고르고 실행하는 ‘힘’을 가진 이다. - 군주, 정치가의 힘은 무력이 주된 것이며 법은 힘을 가지고 있을 때에만 관철할 수 있다. 마키아벨리가 ‘법의 지배’를 이상으로 삼았다고 하는 것은 그가 공화정을..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역사》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4.12 사회사상의 역사 - 마키아벨리(3) 마키아벨리의 당면 ‘문제’ - 마키아벨리는 1498년 제2서기관이 된다. 그가 상대해야 하는 이들은 신성로마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 교황 율리우스 2세, 교황군 총수 체사레 보르자 등이었다. 이들은 ‘힘’(virtù)을 가진 군주들이었으며, 이들의 힘으로부터 피렌체를 지키고 융성시키는 것이 그의 과제였다. - 마키아벨리가 직접 대면하고 있던 상황에서 판단해보면 ⟪군주론⟫은 군주에게 제시하는 간단명료한 행동수칙의 원칙과 실제를 담은 문헌이며, ⟪로마사 논고⟫는 리비우스의 텍스..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역사》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4.04 사회사상의 역사 - 마키아벨리(2) 마키아벨리(1469-1527) 사상의 배경 - “근대 초 세계 전역에서 정신혁명이 일어난 이유는 전에 없던 광대한 소통의 공간 또는 무대에서 (적어도 일정한 수준에서는) 상호 이해의 얼개와 번역 규약이 출현했기 때문이다.”(⟪옥스퍼드 세계사⟫, p. 406) - 이탈리아 르네상스 인문주의가 사상의 배경이라는 설명은 당시 유럽의 르네상스가 지역마다 다른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는 것, 마키아벨리가 로마의 수사학 등과 같은 당대 피렌체 지식인들의 필수 교양을 습득하고 있었다해도 그것이..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역사》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3.29 사회사상의 역사 - 마키아벨리(1) 마키아벨리의 시대에는 자본주의의 맹아적 형태가 등장 참조: 남종국, ⟪이탈리아 상인의 위대한 도전: 근대 자본주의와 혁신의 기원⟫ 마키아벨리 시대에는 미래에 ‘근대국가’가 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정치공동체들이 있었다. 이탈리아는 1861년 통일될 때까지는 근대국가의 외양들 띠지도 제도를 갖추고 있지도 않았다. 그런 까닭에 마키아벨리가 가졌던 문제의식이 근대국가와 관련되어 있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마키아벨리의 ‘조국’ 피렌체는 규모의 경제와 군사력의 결여로 근대국가로 전화되..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역사》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3.20 사회사상의 역사 - 시대와 사상의 문맥 사상가는 1)자신이 처한 사회 고유의 문제들과 2)사상적·학문적으로 대결하기 위해 선행하는 이념, 개념, 체계를 도구로 삼아 3)자신만의 사상을 창조하거나 질적 변용을 이룬다. 1)은 시대의 문맥이며, 2)는 사상의 문맥, 3)은 사상가의 개성이다. 같은 시대에서 동일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사유를 한다해도 다른 사상맥락을 취하는 경우, 다른 시대에서 사유를 한다해도 같은 사상맥락을 취하는 경우가 있다. 《사회사상의 역사》 서장 세번째 섹션 시대와 사상의 문맥을 설명하겠다. 앞..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역사》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3.15 사회사상의 역사 - 사회사상사의 방법 서구 근대사회를 여러 측면들, 즉 경제적, 철학적, 법적, 정치적, 문화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를 변동하는 역사적 과정과 함께 이해하려는 것. 이로써 우리는 사회에 대한 종합적인 파악에 이를 수 있다. 오늘은 《사회사상의 역사》 서장 사회사상이란 무엇인가의 두번째 섹션인 사회사상사의 방법을 설명하겠다. 지금 여기에 사회사상사의 방법이라고 제시되고 있는 것은 일반적으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방법은 아니고 사실 사회사상사의 방법이라고 하는 것이 사회학 방법론 이런 책들에 나와있..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역사》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3.06 사회사상의 역사 - ‘사회’ 1.1 사회사상이란 무엇인가 넓은 의미의 사회: “인간 관계의 총체가 하나의 윤곽을 가지고 나타난 경우의 그 집단” “주요한 형태... 가족, 촌락, 길드, 교회, 회사, 정당, 계급, 국가”(고지엔広辞苑, 제6판) 이 책에서 대상으로 삼는 사회: ‘법의 지배’를 원리로 하는 ‘합리적 국가’를 가진 공동체, ‘시장’을 경제적 기반으로 하는 공동체. 이 책에서 탐구하는 사회사상은 근대적 정치·경제 사상, 근대적 국가 사상의 다른 말 사카모토 다쓰야의 《사회사상의 역사》 세번째 시간이다...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역사》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2.28 사회사상의 역사 - 종장 사회사상의 역사를 왜 공부하는가 - “방법으로부터의 물음”, 즉 방법론을 익히기 위해서 방법론은 이어받은 전통과 문맥이 제공하는 논리나 이념, 개념 장치로써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서 우리가 사는 시공간을 통찰하기 위한 ‘문제설정’에 이를 수 있다. 우리는 사회사상의 역사를 공부하면서 과거의 사상가들의 문제설정을 살펴보고 그들의 방법론을 학습한다. 사카모토 다쓰야의 《사회사상의 역사》 두번째 시간이다. 대체로 사회사상의 역사를 읽으면, 이 책은 아주 교과서이기 때문에 본래 강의했던 것을 바탕..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역사》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2.21 사회사상의 역사 - 소개 오늘부터 사카모토 다쓰야의 《사회사상의 역사》를 읽는다. 원제도 그대로이다. 마키아벨리에서 롤스까지. 이 책을 읽으려고 하는 이유는 예전에 회페의 「정치사상사 토론」을 했었다. 일단 회페의 글을 요약해서 한번 정리를 하고 거기에 덧붙여서 토론문을 썼다. 토론문이라고 하는 것은 당신이 쓴 글에 대해서 이런 점은 좋은 것 같고, 이런 점은 보충해야 할 것 같고, 보완하고 또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또는 좋은 점을 탁월한 점을 드러내 보이는 것이 토론이다. 토론이라는 것이 말싸움이 아니라 일정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