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남자 - 상 - 유안 편찬, 이준영 해역/자유문고 회남자淮南子는 어떤 책인가?_ 5 한漢나라 고유高誘의 서목敍目_ 9 제1권 원도훈原道訓_ 21 제2권 숙진훈?眞訓_ 75 제3권 천문훈天文訓_ 123 제4권 지형훈?形訓_ 187 제5권 시칙훈時則訓_ 231 제6권 남명훈覽冥訓_ 297 제7권 정신훈精神訓_ 333 제8권 본경훈本經訓_ 377 제9권 주술훈主術訓_ 415 제10권 무칭훈繆稱訓_ 497 원문 자구 색인原文字句索引_ 54 회남자淮南子는 어떤 책인가? 『회남자淮南子』는 한漢나라를 개국한 유방의 막내아들인 회남려왕 유장의 아들 유안이 식객들을 두고 저술케 한 잡기에 소속된 도가서이기도 하다. 이것은 마치 진秦나라 때 재상인 여불위가 3천여 식객을 모아 『여씨춘추』 12기, 8람, 6론을 저술케 ..
사막의 안토니우스 -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 지음, 허성석 옮김/분도출판사 서론 아타나시우스와 『안토니우스의 생애』 『안토니우스의 생애』의 구조 안토니우스의 여정 안토니우스의 생애 안토니우스의 금언 안토니우스의 서간 옮기고 나서 안토니우스의 연대 고대 이집트 참고 문헌 인명 색인 수도승들에게 설교를 시작하다 16.1. 어느 날 안토니우스가 외출을 했습니다. 모든 수도승이 그를 만나러 와서 말씀을 들려 달라고 간청했습니다. 그래서 안토니우스는 그들에게 이집트 말로 이렇게 말했습니다. 우리를 가르치는 데 성경이면 충분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신앙 안에서 서로 권고하고 말로 격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2. 그러므로 아들 같은 여러분은 여러분이 알고 있는 바를 아버지께 가져오십시오. 그러면 여러분보다 더 나이 ..
판단력비판 - 이마누엘 칸트 지음, 이석윤 옮김/박영사 제1부 미감적 판단력의 비판 제1편 미감적 판단력의 분석론 제2편 미감적 판단력의 변증론 제2부 목적론적 판단력의 비판 제1편 목적론적 판단력의 분석론 제2편 목적론적 판단력의 변증론 부 록 판단력비판 제1서론 판단력비판』의 내용 448 기술한 바와 같이 『판단력비판』은 한편으로는 미학, 또 한편으로는 목적론이라는 얼핏 보아 서로 관계가 먼 것으로 생각되는 두 부문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또 전자는 미와 숭고, 후자는 자연목적으로서의 유기체와 목적의 체계로서의 자연이라는 두 가지 문제들을 각각 내포하고 있어서, 그 전체적 구성이 다른 두 비판서에 비하여 다소 복잡한 데가 있다. 따라서 본서의 내용을 간단히 개관해 두는 것이 이러한 전..
아틀라스 중앙유라시아사 - 김호동 지음/사계절 004 저자 서문 010 프롤로그 중앙유라시아 : 용어와 개념 초원과 사막 유목과 가축 유목민의 사회와 국가 오아시스와 정주민 01) 고대 유목 국가 2) 투르크 민족의 활동 3) 정복왕조와 몽골 제국 4) 계승국가의 시대 5) 유목국가의 쇠퇴 222 에필로그 소비에트 혁명과 중앙아시아 몽골 사회주의 혁명의 전개 중국 공산당의 신강 편입 티베트의 운명 오늘의 중앙유라시아 232 도판 출처 238 참고문헌 250 찾아보기 프롤로그 중앙유라시아 : 용어와 개념 이 책에서 말하는 '중앙유라시아Central Eurasia'가 구체적으로 어떤 지역을 포함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먼저 분명히 해둘 필요가 있다. 지리적으로 서쪽으로는 흑해 북방의 초원에서 동쪽으로 싱안링 산..
선택받은 사람 - 토마스 만 지음, 김현진 옮김/나남출판 옮긴이 머리말 5 누가 종을 울리는가 9 그리말트와 바두헤나 20 아이들 28 못된 아이들 46 아이젠그라인 씨 58 아이젠그라인 부인 71 아이를 내버리다 80 다섯 자루의 칼 89 성둔스탄섬의 어부들 101 불어나는 돈 122 슬픔에 잠긴 사람 1 32 주먹싸움 147 비밀을 알게 되다 157 논쟁 165 포아트뱅 씨 181 해후 197 결투 211 손에 키스하다 229 지빌라의 기도 239 결혼식 251 예슈테 258 이별 274 바위 289 참회 302 계시 312 두 번째 방문 331 발견 351 변모 365 위대한 교황 372 펭크하르트 385 알현 397 옮긴이 해제 415 지은이ㆍ옮긴이 약력 440 370 "괭이와 삽을 주게! 이분을..
정치철학 - 데이비드 밀러 지음, 이신철 옮김/교유서가 머리말 제1장. 정치철학은 왜 필요한가 제2장. 정치권력 제3장. 민주주의 제4장. 자유와 정부의 한계 제5장. 정의 제6장. 페미니즘과 다문화주의 제7장. 국민, 국가, 그리고 전 지구적 정의 독서안내 / 역자 후기 / 도판 목록 제1장. 정치철학은 왜 필요한가 010 이 책은 큰 주제에 관한 작은 책이다. 잘 알려져 있듯이 하나의 그림은 천 마디 말의 가치를 지닌다. 그런 까닭에 나는 이 책을 정치철학이 도대체 무엇에 관한 것인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해주는 매우 큰 그림에 관해 이야기하는 것에서 시작하려고 한다. 문제의 그림은 암브로조 로렌체티 (Ambrogio Lorenzetti)가 1337년에서 1339년 사이에 그린 것으로, 시에나의 팔라초 ..
철학적 급진주의의 형성 2 - 엘리 알레비 지음, 박동천 옮김/한국문화사 ▪ 옮긴이 서문 ▪ 벤담과 철학적 급진주의 관련 연보 ▪ 일러두기 서언 제1장 / 정치적 문제 제1절 / 공리의 원리 대 인권선언: 버크와 벤담 제2절 / 매킨토시, 페인, 고드윈 제2장 / 경제적 문제 제1절 / 도움을 받을 권리: 윌리엄 고드윈 제2절 / 인구의 원리: 로버트 맬서스 제3장 벤담, 제임스 밀, 벤담주의자 제1절 / 급진주의의 탄생 제2절 / 애덤 스미스에서 리카도까지 제3절 / 인민의 교육 제4절 / 높아지는 벤담의 평판 ▪ 옮긴이 해제 ▪ 언급된 저작의 목록 ▪ 찾아보기 서언 프랑스 혁명이 일어났을 때, 벤담은 『도덕과 입법의 원리 서설』을 막 출판한 다음이었다. 세상이 뒤집히는 판국에 그 책은 누구 눈에도 띄..
통치론 - 존 로크 지음, 강정인.문지영 옮김/까치 제1장 서론 제2장 자연상태에 관하여 제3장 전쟁상태에 관하여 제4장 노예상태에 관하여 제5장 재산에 관하여 제6장 부권에 관하여 제7장 정치사회 또는 시민사회의 기원에 관하여 제8장 정치사회의 기원에 관하여 제9장 정치사회와 정부의 목적에 관하여 제10장 국가의 형태에 관하여 제11장 입법권의 범위에 관하여 제12장 국가의 입법권, 집행권 및 연합권에 관하여 제13장 국가권력의 종속에 관하여 제14장 대권에 관하여 제15장 부권, 정치적 권력 및 전제적 권력에 관한 종합적 고찰 제16장 정복에 관하여 제17장 찬탈에 관하여 제18장 폭정에 관하여 제19장 정부의 해체에 관하여 로크 연보 역자 해제: 존 로크의 생애와 사상: 『통치론』을 중심으로 역자 ..
익명의 독서 중독자들 2 - 이창현 지음, 유희 그림/사계절 01 중생대는 문외한이라 02 검은 백조 이론 03 떠날 것인가 남을 것인가 04 흑맥주와 제텔카스텐 05 도란도란 06 거장처럼 써라 07 핏빛 조류 08 사자 우리 09 If You Meet Mr. Good 10 길 잃고 저주받은 자들 11 히말라야 갈 수 없네 12 나만 재밌는 거 아니지? 13 사서는 전자책을 꿈꾸는가 14 Frei Aber Einsam 15 추운 나라에서 돌아온 작가 알아 둬도 쓸 덴 없는 작가 주석 독서 중독자들의 독서 리스트
익명의 독서 중독자들 - 이창현 지음, 유희 그림/사계절 01 안녕, 노마드 02 예비박도 없이 03 불꽃의 숙명 04 성실함의 미덕 또는 악덕 05 봐라, 해가 뒤를 쫓는다 06 히말라야 대답 없네 07 예비박도 없이 II 08 회피 기동 09 서바이벌 가이드 10 젠장x12 11 사자의 서 12 좋을 대로 하시든지 13 위장 경찰 14 우주 원숭이 15 북독일풍의 음악을 작곡하는 사람 16 먼지는 먼지로 17 안녕, 경찰 알아 둬도 쓸 덴 없는 작가 주석 독서 중독자들의 독서 리스트
리바이어던 2 - 토마스 홉스 지음, 진석용 옮김/나남출판 2권 제3부 기독교 코먼웰스에 대하여 제32장 기독교 정치원리에 대하여 제33장《성경》의 권수, 저작시기, 의도, 권위 및 해석자들에 대하여 제34장《성경》에서 영, 천사 및 성령감응의 의미에 대하여 제35장《성경》에서 하느님의 나라, 거룩함, 신성함 및 성례의 의미에 대하여 제36장 하느님의 말씀과 예언자에 대하여 제37장 기적과 그 효용에 대하여 제38장《성경》에서 영생, 지옥, 구원, 내세 및 속죄의 의미에 대하여 제39장《성경》에서 교회라는 말의 의미에 대하여 제40장 하느님의 나라에서 아브라함, 모세, 대제사장들 및 유대 왕들의 권리에 대하여 제41장 우리 구주의 직무에 대하여 제42장 교권(敎權)에 대하여 제43장 하늘나라에 들어가기 ..
리바이어던 1 - 토마스 홉스 지음, 진석용 옮김/나남출판 옮긴이 머리말 헌사 일러두기 성경 책명 약어포 서설 1권 제1부 인간에 대하여 제1장 감각에 대하여 27 제2장 상상에 대하여 31 제3장 상상의 계속 또는 연속에 대하여 40 제4장 언어능력에 대하여 49 제5장 추론과 과학적 지식에 대하여 65 제6장 보통 정념이라고 불리는 자발적 운동의 내적 발단에 대하여, 또한 그것이 표현되는 화법에 대하여 76 제7장 담화의 종결 또는 해결에 대하여 93 제8장 보통 지적이라 부르는 미덕 및 그 반대의 결점에 대하여 99 제9장 지식의 여러 주제에 대하여 118 제10장 힘ㆍ가치ㆍ위계ㆍ명예 및 적격에 대하여 121 제11장 생활태도의 차이에 대하여 137 제12장 종교에 대하여 148 제13장 인간의 자..
KBS 특별기획 다큐멘터리 1950 미중전쟁 - KBS 다큐 인사이트〈1950 미중전쟁〉 제작팀 지음, 박태균 감수.해제/책과함께 머리말 1 오판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 중심의 자유 진영과 소련 중심의 공산 진영이 첨예하게 대립하던 냉전 초기. 북한은 어떻게 미국의 영향권에 있던 남한을 침공할 마음을 먹을 수 있었을까? 신생국 중화인민공화국이 내상이 채 아물기도 전에 한국전쟁 참전을 결정한 까닭은? 거기에는 여러 지도자들의 오산과 오판이 점철되어 있었다. 2 충돌 세계 3대 동계전투로 꼽히는 장진호 전투를 비롯, 처절했던 1950년 겨울 한반도 북부 전투의 현장 속으로 들어가 본다. 미군의 최강 화력이 산악지형에 무용지물이었던 반면, 중국군은 이미 국공내전으로 다져진 게릴라전의 베테랑이었다. 한편 진영..
청나라, 키메라의 제국 - 구범진 지음/민음사 들어가는 말| 두 마리 토끼 잡기 1장 청나라와 중국 |더 살펴보기| 삼전도비의 ‘수난’ 2장 미약한 시작, 창대한 나중 |더 살펴보기| 누르하치, ‘혁신’의 지도자 3장 팔기와 청나라의 제국 통치 |더 살펴보기| 팔기의 조선인 후예들 4장 청 제국과 러시아 |더 살펴보기| 러시아에 간 청나라 사절단 5장 청 제국 질서와 조선 |더 살펴보기| 연행사의 봉변 6장 키메라의 제국 |더 살펴보기| ‘대청황제’, 중국 국민으로 주석 참고 문헌 153 널리 알려져 있다시피 영국을 필두로 한 서양 열강은 19세기 중엽 두 차례의 아편전쟁과 난징 조약에서 톈진 조약, 베이징 조약에 이르는 일련의 폭력적인 과정을 거쳐 청나라와 공식적인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 그 관계는 ..
바울을 읽다 - 로완 윌리엄스 지음, 손승우 옮김/비아 들어가며 바울의 편지들에 관하여 1. 내부인과 외부인: 바울이 속한 사회 세계 로마 시민 바울 / 유대인 바울 / 인간 바울 / 종교가 없던 세계 2. 보편적 환대: 바울의 불온한 사상 장벽을 허물다 / 완전히 새로운 자유 / 완전히 새로운 공동체 / 치유하는 희생 3. 새로운 창조: 바울의 그리스도교적 세계 예수 안에 있는 하느님의 형상 / 우리 안에 있는 하느님의 형상 / 새로운 세계에서 살아가기 더 읽어보기 사순절 기간 바울 서신 읽기 안내 74 바울 저작의 핵심이라는 '믿음을 통해 의롭게 됨', 칭의에 관한 엄청나게 복잡한 논의, 유럽 종교개혁의 커다란 부분을 차지하는 이 논의는 결국 이 모든 것에 대한 하느님의 우선권을 확실히 하기 위해 해..
중세교회사 - R.W. 서던 지음, 이길상 옮김/CH북스(크리스천다이제스트) 서문 제1장 교회와 사회 제2장 시대구분 제3장 기독교 세계의 분열 제4장 교황제 제5장 주교와 대주교 제6장 수도회들 제7장 주변 수도회들과 대립 수도회들 후기 역대 교황들의 명단 11 서구의 중세 교회사는 종교 사상과 사회 관습이 일찍이 그 전례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정교하고 통일된 체계를 이룩했던 역사이다. 아울러 간헐적으로 급속한 변화를 거치면서 현대의 제도들과 생각 습관을 잉태했던 8백 년 세월의 유럽 사회사이기도 하다. 이 방대한 기간의 역사를 책 한 권에 담아내기란 애당초 불가능하며, 따라서 몇 가지 분야로 미리 한계를 정해놓고 쓰는 것이 불가피하다. 이 책을 쓰게 된 가장 큰 목적은 중세 교회의 종교 조직들과 사..
초대교회사 - 헨리 채드윅 지음, 박종숙 옮김/CH북스(크리스천다이제스트) 01. 예루살렘에서 로마로 02. 신앙과 직제 03. 확장과 성숙 04. 저스틴과 이레니우스 05. 부활절, 단일신론 논쟁, 그리고 버툴리안 06.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오 오리겐 07. 제3세기의 교회, 국가, 사회 08. 콘스탄티누스와 니케아 공의회 09. 니케아 공의회 이후의 아리우스 논쟁 10. 4세기에 이교와 기독교 사이에 벌어진 투쟁 11. 율리아누스로부터 테오도시우스까지의 교회와 국가와 사회 12. 금욕주의 운동 13. 오리겐에 관한 논쟁과 요한 크리소스톰의 비극 14. 그리스도의 위격 문제 15. 라틴 기독교 사상의 발전 16. 교황제 17. 교회와 야만족 18. 예배와 예술 19. 결론 참고문헌 7 최초의 그리스도..
사회사상의 역사 - 사카모토 다쓰야 지음, 최연희 옮김/교유서가 서장: 사회사상이란 무엇인가 제1장 마키아벨리의 사회사상 제2장 종교개혁의 사회사상 제3장 고전적 ‘사회계약’ 사상의 전개 제4장 계몽사상과 문명사회론의 전개 제5장 루소의 문명비판과 인민주권론 제6장 스미스에게서의 경제학의 성립 제7장 ‘철학적 급진주의’의 사회사상: 보수에서 개혁으로 제8장 근대 자유주의의 비판과 계승: 후진국에서의 ‘자유’ 제9장 마르크스의 자본주의 비판 제10장 J. S. 밀에게서의 문명사회론의 재건 제11장 서구 문명의 위기와 베버 제12장 ‘전체주의’ 비판의 사회사상: 프랑크푸르트학파와 케인스, 하이에크 제13장 현대 ‘리버럴리즘’의 여러 흐름 종장: 사회사상의 역사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후기 | 역자 후기 | ..
그레이트 게임 - 피터 홉커크 지음, 정영목 옮김/사계절 서문 감사의 말 프롤로그 게임의 시작 불붙는 그레이트 게임 클라이맥스 옮기고 나서 참고문헌 서론 새로운 그레이트 게임 9 16년 전 이 책을 처음 쓴 뒤로 그레이트 게임과 관련된 땅에서 중요한 사건들이 일어나면서, 나의 이야기가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 오랫동안 거의 잊혀졌던 중앙아시아와 캅카스가 차르 체제 러시아와 빅토리아 여왕 치하 영국 사이에 벌어졌던 옛 그레이트 게임이 절정기에 이른 19세기에 그랬던 것처럼 갑자기 신문의 표제를 장식하게 된 것이다. 1991년 공산주의가 갑자기 극적으로 무너지고 소비에트연방이 해체되면서, 거의 하릇밤 새에 완전히 새로운 나라가 다섯 개나 등장했다. 아니, 캅카스 지역까지 포함한다면 여덟 개라고도 할..
오뒷세이아 - 호메로스 지음, 김기영 옮김/민음사 오뒷세이아 고유명사 찾아보기 작품에 대하여 지도 오뒷세이아 1.1-95 한 사내에 대해 나에게 노래하소서, 무사 여신이여. 응변에 능한자로 그는 많이도 떠돌았구나, 트로야의 신성한 도시를 정복하고 나서. 많은 사람의 도시들을 보았고 그들의 성향을 알았지만 바다에서, 제 마음속 두루 수많은 고통을 겪으며 자기 목숨을 구하고 전우들의 귀향을 얻으려 했거늘. 그렇게 애썼으나 전우들을 구하지는 못했구나, 그들 자신의 무도한 행위로 전우들이 파멸한 것이라 어리석은자들, 천상의 헬리오스의 소를 잡아서 포식하다니, 헬리오스가 그들의 귀향 날을 빼앗았구나. 어느 대목이든, 제우스의 따님 여신이여, 우리에게도 노래하소서. 살아남은 자는 모두 가파른 파멸을 피하고 전쟁과 ..
근대 조선과 일본 - 조경달 지음, 최덕수 옮김/열린책들 한국의 독자들에게 들어가며 제1장 조선 왕조와 일본 제2장 조선의 개항 제3장 개항과 임오군란 제4장 갑신정변과 조선의 중립화 제5장 갑오농민전쟁과 청일 전쟁 제6장 대한제국의 시대 제7장 러일 전쟁하의 조선 제8장 식민지화와 국권 회복 운동 제9장 한국 병합 후기 연표 | 주요 참고문헌 | 도판 출전 | 찾아보기 | 옮긴이의 말 들어가며 음지와 양지 한반도와 일본은 과거 수천 년에 걸쳐 교류를 거듭해 왔다. 그리고 국가가 탄생한 이후의 역사에는 다양한 기복이 있었다. 평화로운 시기가 있었다면 전쟁의 시기도 있었고, 쌍방의 사람들 사이에는 동경이나 증오 등 복잡한 감정이 교차하였다. 최근 한류 현상은 괄목할 만한 것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혐한류나 북..
역사에 대해 생각하기 - 사라 마자 지음, 박원용 옮김/책과함께 여는 말 1장 누구의 역사인가? 2장 어디의 역사인가? 3장 무엇의 역사인가? 4장 역사는 어떻게 생산되는가? 5장 원인이 중요한가 의미가 중요한가? 6장 역사는 사실인가 허구인가? 닫는 말 감사의 말 주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닫는 말 332 미국에서 역사의 가치와 관련하여 가장 빈번하게 인용되면서 피상적으로는 매력적이지만 끝없이 문제를 야기하는 문장 하나는 "과거를 기억하지 못하는 사람은 그것을 반복하는 운명에서 벗어날 수 없다"라는 스페인계 미국 작가 조지 산타야나의 글이다. 책의 서두에서 보았듯이 과거를 기억하고 그 교훈을 현재에 적용하는 것은 종종 파국적 결과를 초래하기도 했다. 프랑스가 바로 그것을 경험했다. 1차 세계대전에서의 끔..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교회 칸타타 - 이기숙 옮김, 나주리 해제/마티 해제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칸타타 † 대강절 첫 주일 BWV 61 이제 오소서, 이교도의 구세주여 I BWV 62 이제 오소서, 이교도의 구세주여 II BWV 36 기쁘게 솟아올라라 † 대강절 제4주일 BWV 132 길을 준비하라, 넓은 길을 마련하라! † 성탄절 BWV 63 그리스도인이여, 이 날을 새겨라 BWV 91 찬미합니다, 예수 그리스도님 BWV 110 우리 입가에는 웃음이 가득하고 BWV 191 하늘 높은 데서는 하나님께 영광 † 성탄절 다음 날 BWV 40 하나님의 아들이 나타나신 것은 BWV 121 그리스도를 진실로 찬양할지어다 BWV 57 시련을 견디는 이는 행복하다 † 성탄절 셋째 날 BWV 64 보라, 아버지가..
성서와 만나다 - 존 폴킹혼 지음, 손승우 옮김/비아 서문 1. 성서 2. 성서의 발전 3. 창조와 타락 4. 성서가 지닌 모호성 5. 구약, 이스라엘의 경전 6. 복음서 7. 십자가와 부활 8. 바울로 서신 9.그 밖의 신약성서 저작들 10.물리학자의 눈으로 읽는 성서 더 읽어 볼 책 옮긴이의 말 성서 약어표 서문 그리스도교인으로 살아가는 동안 성서는 제게 매우 중요한 책이었습니다. 60년이 넘도록 저는 매일 성서를 읽었으며, 중년에 성공회 사제로 서품받은 뒤에는 성무일과의 의무까지 지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해를 거듭할수록 저는 신약성서 전체에, 그리고 구약성서의 많은 부분에 빠져들었습니다. 여러 면에서, 성서는 복잡한 책입니다. 성서가 다루는 내용은 약 천 년이라는 긴 시간에 걸쳐 기록되었으며, ..
고대 근동 문화 - 알프레드 J.허트 외 2인 편집, 신득일.김백석 옮김/기독교문서선교회(CLC) 머리말 / 9 서문 / 12 역자서문 / 14 유물사진목록 / 16 약어표 / 19 기고자 / 20 시리아-팔레스타인 고고학적 연대 / 22 고대 근동 지도 / 23 1부 메소포타미아 1장 수메르인 / 월터 R. 보딘 / 27 2장 바빌로니아인 / 빌 T. 아놀드 / 61 3장 아시리아인 / 윌리엄 C. 괄트니 / 107 4장 페르시아인 / 에드윈 M. 야마우치 / 151 2부 아나톨리아, 시리아-팔레스타인, 이집트 5장 히타이트인 / 해리 A. 호프너 / 181 6장 가나안인과 아모리인 / 키이스 N. 스코빌 / 225 7장 페니키아인 / 윌리엄 A. 워드 / 263 8장 아람인 / 웨인 T. 피타드 / ..
로완 윌리엄스와의 대화 - 로완 윌리엄스.메리 저나지 지음, 강성윤.민경찬 옮김/비아 감사의 말 들어가며 제1부 올바로 보기 제1장 정의에 관하여 제2장 올바로 보기 제2부 헤아리기 제3장 헤아리기 제4장 시간과 관심 제5장 증언하기 제3부 사랑 제6장 사랑과 정의를 위하여 제7장 믿음에 관하여 나가며 에필로그 나가며 263 우리의 대화는 희망에 관해 물으며 마무리되었습니다. 지금까지 나눈 이야기들을 마무리하는 것으로 이 질문 외에는 다른 질문이 떠오르지 않았다고 말할 수도 있겠지요. 하지만 우리가 나눈 이야기 전반에 일관되게 (노골적이지는 않지만, 꽤 꾸준히, 그리고 분명하게) 흐르는 흐름이 하나 있다면 희망은 우리가 몸을 지니고 시간을 실아가는 생명체로서의 인간이라는 사실과 관련이 있다는 것입니다. ..
우피치 미술관 - 엘레나 지난네스키 지음, 임동현 옮김/마로니에북스 서문 피렌체 우피치 미술관 작품들 미술관 안내 화가 및 작품 색인 서문 1561년, 우피치를 도시의 사법관들이 사용하는 건물로 세우고자 했던 코지모 1세 데 메디치에 의해 우피치 미술관의 역시는 시작된다. 20년이 지난 후, 그의 후계자 프란체스코 1세는 건물의 꼭대기 충에 미술품을 전시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했고, 이어 메디치 가문의 두 추기경 레오폴도와 죠반니 카를로 그리고 위대한 군주 페르디난도 1세와 메디치 기문의 마지막 군주였던 지안 가스토네 대공이 우피치의 미술품들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우피치가 오늘날과 같은 모습으로 존재하게 된 것은 전적으로 팔라틴 선제후의 미망인이자 쟌 가스토네 데 메디치의 누이였던 안나 마리..
성서, 역사와 만나다 - 야로슬라프 펠리칸 지음, 김경민.양세규 옮김/비아 들어가는 말 서론: 단 하나의 성서, 온전한 성서, 순수한 성서? 1. 말씀하시는 하느님 2. 히브리어로 된 진리 3. 그리스어로 말하는 모세 4. 기록된 토라를 넘어서: 탈무드와 계속되는 계시 5. 이루어진 율법과 예언서 6. 두 번째 언약의 형성 7. 성서의 백성들 8. 원천으로 9. 오직 성서 10. 정경과 비평가들 11. 인류를 위한 소식 12. 성서 안에 있는 낯선 신세계 나가는 말 참고 문헌 및 추천 도서 부록 옮긴이의 말 색인 나가는 말 379 19~20 세기에 전례 없이 성서가 배포되고 유통됨으로써 타낙과 선약성서는 사실상 세계의 모든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세계 모든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