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사회지리학」을 듣고 정리한다. 2024.08.21 🎤 사회지리학 1-1 1강. 사회지리학의 정의, 필요성, 방법• 일시: 2024. 8. 21. 오후 7시 30분 - 9시 30분 장소: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 강의 안내: https://learning.suwon.go.kr/lmth/01_lecture01_view.asp?idx=3704공공역사란 무엇인가는 하반기에 간단하게 책을 보면서 거론하고, 내년에는 교유서가에서 나온 《옥스퍼드 세계사》를 1년 내내 강의를 해서 여러분들이 모두 읽게 할 생각이다. 세계사 책을 그냥 읽어주는 게 아니라 세계사 책을 읽으면서 이번에 《사회지리학개론》을 읽으면서 배운 것들..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ε. Vindication of Tradition」를 듣고 정리한다. 2024.08.15 ε. Vindication of Tradition, Schumacher(2)• 야로슬라프 펠리칸Jaroslav Pelikan, ⟪전통을 옹호하다 - 전통의 의미와 재발견, 회복에 관하여⟫ (The Vindication of Tradition: The 1983 Jefferson Lecture in the Humanities, 1984) • 텍스트: https://buymeacoffee.com/booklistalk/vindication-tradition-schumacher야로슬라프 펠리칸의 《전통을 옹호하다Vindi..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ε. Vindication of Tradition」를 듣고 정리한다. 2024.08.12 ε. Vindication of Tradition, Schumacher(1)• 야로슬라프 펠리칸Jaroslav Pelikan, ⟪전통을 옹호하다 - 전통의 의미와 재발견, 회복에 관하여⟫ (The Vindication of Tradition: The 1983 Jefferson Lecture in the Humanities, 1984) • 텍스트: https://buymeacoffee.com/booklistalk/vindication-tradition-schumacher 7월 초에 에티엔 질송의 《God & Phi..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ε. Gilson, God & Philosophy」를 듣고 정리한다. 2024.07.06 ε. Gilson(20), God & Philosophy, Ch. 4에티엔 질송, ⟪철학자들의 신 - 역사적 개관⟫(God and Philosophy, 2002)텍스트: https://buymeacoffee.com/booklistalk/god-philosophy-ch-4그동안 에티엔 질송의 《God & Philosophy》을 주석exēgēsis을 달면서 읽어왔다. 마지막 챕터는 God and contemporary thought이다. 앞에서는 modern philosophy, christian philosophy, g..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ε. Gilson, God & Philosophy」를 듣고 정리한다. 2024.07.02 ε. Gilson(19), God & Philosophy, Ch. 3에티엔 질송, ⟪철학자들의 신 - 역사적 개관⟫(God and Philosophy, 2002)텍스트: https://buymeacoffee.com/booklistalk/god-philosophy-ch-3에티엔 질송의 신과 근대철학, 근대 철학에 있어서 신에 관해서 이야기할 때 스피노자는 빼놓을 수가 없다. 아우구스티누스 같은 경우에는 아주 명백하게 신학자인데, 그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을 이어받아서 자신의 철학을 전개했다고 여겨지는 사람은 크게 봐서 데..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ε. Gilson, God & Philosophy」를 듣고 정리한다. 2024.06.22 ε. Gilson(18), God & Philosophy, Ch. 3에티엔 질송, ⟪철학자들의 신 - 역사적 개관⟫(God and Philosophy, 2002)텍스트: https://buymeacoffee.com/booklistalk/god-philosophy-ch-3에티엔 질송의 이 lecture는 기본적으로 그가 가지고 있는 형이상학적 입장을 바탕으로 해서 그 입장을 관철시키는, 다시 말해서 질송 고유의 견해를 철저하게 주장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이 가장 잘 드러나 있는 부분이 우리가 이전에 읽었던 ..
📚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시학 강독」을 듣고 정리한다. 2024.06.12 🎤 시학 강독 8-28강. 고대 드라마와 근대 드라마• 2024. 6. 12. 오후 7시-9시 장소: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 강의 안내: https://learning.suwon.go.kr/lmth/01_lecture01_view.asp?idx=3672• 강의 자료: https://buymeacoffee.com/booklistalk/20240612-suwon은유(metaphora)는 아리스토텔레스 《시학》을 하면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이제 어떤 식으로 표현을 해야 된다라든가 하는 얘기는 《수사학》에다가 얘기를 많이 해놓았으니까 《수사학》을 많이 참조해야 되..
📚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시학 강독」을 듣고 정리한다. 2024.06.12 🎤 시학 강독 8-18강. 고대 드라마와 근대 드라마• 2024. 6. 12. 오후 7시-9시 장소: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 강의 안내: https://learning.suwon.go.kr/lmth/01_lecture01_view.asp?idx=3672• 강의 자료: https://buymeacoffee.com/booklistalk/20240612-suwon강의 자료를 한번 펴보면 고대 드라마와 근대 드라마가 있는데, 우리가 읽고 있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의 범위를 넘어서는 얘기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잘 알아야 되는 이유는 첫째 고대 서사시..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ε. Gilson, God & Philosophy」를 듣고 정리한다. 2024.06.09 ε. Gilson(17), God & Philosophy, Ch. 3에티엔 질송, ⟪철학자들의 신 - 역사적 개관⟫(God and Philosophy, 2002)텍스트: https://buymeacoffee.com/booklistalk/god-philosophy-ch-3중세를 지나서 근대 형이상학으로 들어오면 근대 형이상학이라고 하는 것 자체가 신에 관한 논의에서는 굉장히 황폐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근대 형이상학에 관해서는, 스피노자는 다루지 않았는데, 데카르트, 칸트, 헤겔의 형이상학을 《철학 고전 강의》에서 다룬..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ε. Gilson, God & Philosophy」를 듣고 정리한다. 2024.06.06 ε. Gilson(16), God & Philosophy, Ch. 2에티엔 질송, ⟪철학자들의 신 - 역사적 개관⟫(God and Philosophy, 2002)텍스트: https://buymeacoffee.com/booklistalk/god-philosophy-ch-2질송은 토마스 아퀴나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본질의 언어를 실존의 언어로 번역해서 형이상학을 완성했다고 이야기한다. "형이상학은 초기에 시작되었을 때부터 실존적이 되는 것을 언제나 모호하게나마 목표로 하고 있었습니다.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시대부터 형이상학..
📚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시학 강독」을 듣고 정리한다. 2024.06.05 🎤 시학 강독 7-27강. 비극과 서사시• 2024. 6. 5. 오후 7시-9시 장소: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 강의 안내: https://learning.suwon.go.kr/lmth/01_lecture01_view.asp?idx=3672• 강의 자료: https://buymeacoffee.com/booklistalk/20240605-suwon오뒷세우스가 만나는 인물들과 자아를 구축하는 서사 부분을 잘 봐야 된다. 자아를 구축하는 서사라고 했는데, 서사라고 하는 것은 구축하는 것이다. 있는 그대로 서술하는 건 것은 describe하는 것이고, 고대 그리스..
📚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시학 강독」을 듣고 정리한다. 2024.06.05 🎤 시학 강독 7-17강. 비극과 서사시• 2024. 6. 5. 오후 7시-9시 장소: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 강의 안내: https://learning.suwon.go.kr/lmth/01_lecture01_view.asp?idx=3672• 강의 자료: https://buymeacoffee.com/booklistalk/20240605-suwon호메로스의 서사시를 즐길 줄 아는 능력을 가지는 게 굉장히 중요하다. 오늘은 비극과 서사시이다. 호메로스의 서사시를 잘 어떤 지점을 잘 읽을 수 있는가 하는 것은 모든 문학 작품을 읽는 가장 기본적인 것이다. 민음사..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ε. Gilson, God & Philosophy」를 듣고 정리한다. 2024.06.02 ε. Gilson(15), God & Philosophy, Ch. 2에티엔 질송, ⟪철학자들의 신 - 역사적 개관⟫(God and Philosophy, 2002)텍스트: https://buymeacoffee.com/booklistalk/god-philosophy-ch-2오늘은 에티엔 질송의 《God and Philosophy》 chapter 2를 마저 읽겠다. 중세 철학은 굉장히 다양한 국면에서 전개되었지만 무엇보다도 중세 신학 또는 철학을 규정하는 또는 시대를 나누는, 사상사적으로 시대를 나누는 핵심적인 모멘트는 아리..
📚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시학 강독」을 듣고 정리한다. 2024.05.29 🎤 시학 강독 6-26강. 비극과 카타르시스• 2024. 5. 29. 오후 7시-9시 장소: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 강의 안내: https://learning.suwon.go.kr/lmth/01_lecture01_view.asp?idx=3672• 강의 자료: https://buymeacoffee.com/booklistalk/20240529-suwon《정치학》의 카타르시스 개념에서 "이러한 것들의 목적이 카타르시스"인데, 여기서 카타르시스는 안정적 상태로 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정치학》에서는 카타르시스가 공포와 연민을 없애는 것을 얘기하는 게 아니라 ..
📚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시학 강독」을 듣고 정리한다. 2024.05.29 🎤 시학 강독 6-16강. 비극과 카타르시스• 2024. 5. 29. 오후 7시-9시 장소: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 강의 안내: https://learning.suwon.go.kr/lmth/01_lecture01_view.asp?idx=3672• 강의 자료: https://buymeacoffee.com/booklistalk/20240529-suwon아리스토텔레스에 있어서 《시학》이라고 하는 것은 고유명사인 아리스토텔레스의 작품을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지만 시학이라고 하는 것 자체가 하나의 학문 장르이다. 시에 대한 학문적 연구, 여기서 시라고 하는 건 드라..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ε. Gilson, God & Philosophy」를 듣고 정리한다. 2024.05.27 ε. Gilson(14), God & Philosophy, Ch. 2에티엔 질송, ⟪철학자들의 신 - 역사적 개관⟫(God and Philosophy, 2002)텍스트: https://buymeacoffee.com/booklistalk/god-philosophy-ch-2지난 시간에는 아우구스티누스가 포르퓌리오스를 거쳐서, 정확하게 말하면 플로티노스의 책을 편집한 사람이 포르퓌리오스니까, 예전에는 포르퓌리오스에 대해서는 좀 가볍게 그냥 편집자로서 생각을 했는데 포르퓌리오스가 내놓은 편집의 성취가 《엔네아데스》니까, 물론 ..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ε. Gilson, God & Philosophy」를 듣고 정리한다. 2024.05.26 ε. Gilson(13), God & Philosophy, Ch. 2에티엔 질송, ⟪철학자들의 신 - 역사적 개관⟫(God and Philosophy, 2002)텍스트: https://buymeacoffee.com/booklistalk/god-philosophy-ch-2에티엔 질송의 신과 그리스도교 철학 첫 번째 부분에 신 개념이 등장하는데, 이 개념은 엄밀하게 말하면 지난번에 말했듯이 기독교의 신의 특성이라기보다는 유대인의 신의 특성이다. 질송도 창세기라든가 신명기 또는 출애굽기 이런 구약성서에서 인용을 하면서 이야..
📚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시학 강독」을 듣고 정리한다. 2024.05.22 🎤 시학 강독 5-25강. 드라마의 주인공• 2024. 5. 22. 오후 7시-9시 장소: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 강의 안내: https://learning.suwon.go.kr/lmth/01_lecture01_view.asp?idx=3672• 강의 자료: https://buymeacoffee.com/booklistalk/20240522-suwon어떤 주인공이어야 하는가에 "가장 훌륭한 비극은 단일한 구성을 가진다." 단일한 구성이라고 하는 것은 고만고만한 사람이, 그러니까 중간에 있는 인물이 어떤 잘못 때문에 사람들에게 연민을 불러일으키고 또 더 나아가..
📚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시학 강독」을 듣고 정리한다. 2024.05.22 🎤 시학 강독 5-15강. 드라마의 주인공• 2024. 5. 22. 오후 7시-9시 장소: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 강의 안내: https://learning.suwon.go.kr/lmth/01_lecture01_view.asp?idx=3672• 강의 자료: https://buymeacoffee.com/booklistalk/20240522-suwon사랑에 대해서는 정리된 책이 앤서니 기든스의 《현대 사회의 성 사랑 에로티시즘》이 있는데, 그보다는 니클라스 루만의 《열정으로서의 사랑》이라는 책이 있다. 루만에 대한 애틋한 사랑이 없으면 도대체 읽을 수가 없는..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그리고 로마는 그들을 보았다」를 듣고 정리한다. 2024.05.21 📖 그리고 로마는 그들을 보았다(8) [9]텍스트: https://buymeacoffee.com/booklistalk/romans-saw-them《그리고 로마는 그들을 보았다》 포르퓌리오스에 관한 두 번째 이야기를 하겠다. 포르퓌리오스의 철학적인 맥락 또는 문헌학적 비판은 초창기에 그러니까 5세기까지, 칼케돈 공의회가 451년이니까, 그때까지에 나온 여러 가지 그 비판들 중에서 가장 치명적이라고 할 수 있다. 앞서도 얘기했듯이 아우구스티누스가 포르퓌리오스의 그 비판을 가져다 놓고 굉장히 공을 들여서 논박을 하고 있기 때문인데, 오리게네스가..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그리고 로마는 그들을 보았다」를 듣고 정리한다. 2024.05.20 📖 그리고 로마는 그들을 보았다(7) [8]텍스트: https://buymeacoffee.com/booklistalk/romans-saw-them《그리고 로마는 그들을 보았다》 제6장 포르퓌리오스 - 철학자에 대해서 절반 정도를 거론을 하고 내일은 포르퓌리오스에 관해서 두 번째 이야기를 하고 거기에 율리아누스를 덧붙여서 말하고 《그리고 로마는 그들을 보았다》에 관한 이야기를 마무리를 하려고 한다. 포르퓌리오스 앞에 켈소스 얘기는 그냥 읽어보면 되겠다. 포르퓌리오스는 철학자이기 때문에 거론을 하고 싶고, 율리아누스는 일반적으로 '배교자 율리..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ε. Gilson, God & Philosophy」를 듣고 정리한다. 2024.05.19 ε. Gilson(12), God & Philosophy, Ch. 2에티엔 질송, ⟪철학자들의 신 - 역사적 개관⟫(God and Philosophy, 2002)텍스트: https://buymeacoffee.com/booklistalk/god-philosophy-ch-2에티엔 질송의 《신과 철학God and Philosophy》에서 첫째 챕터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 있어서 신 개념을 검토한 뒤에 둘째 챕터 신과 그리스도교 철학으로 들어왔다. 질송이 생각하기에 신이라고 하는 것을 본격적으로 논의하는 것은 그리스도교 철..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ε. Gilson, God & Philosophy」를 듣고 정리한다. 2024.05.14 ε. Gilson(11), God & Philosophy, Ch. 1에티엔 질송, ⟪철학자들의 신 - 역사적 개관⟫(God and Philosophy, 2002)텍스트: https://buymeacoffee.com/booklistalk/god-philosophy-ch-1헬라스 철학에서 형이상학을 논의한다고 하면 새삼스럽게 말할 필요 없이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이다. 플라톤에서는 체계적인 완결은 없다. 열려있는 부분들이 있다. 인간과 신의 관계 문제라든가 이런 것들, 완결되지 않은 상태로 인간이 그저 이데아를 향해서 나아..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ε. Gilson, God & Philosophy」를 듣고 정리한다. 2024.05.12 ε. Gilson(10), God & Philosophy, Ch. 1에티엔 질송, ⟪철학자들의 신 - 역사적 개관⟫(God and Philosophy, 2002)텍스트: https://buymeacoffee.com/booklistalk/god-philosophy-ch-1플라톤의 이데아는 분명히 하나의 관념론적 기획이다. 《파이돈》에서 '두 번째 항해' 얘기를 할 때 자연 세계로부터 하나의 일관성 있는 원리를 얻어낼 수는 없었다는 얘기를 한다. 이 부분은 《철학 고전 강의》에서 《파이돈》 부분을 설명한 것들을 참조하면 ..
📚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시학 강독」을 듣고 정리한다. 2024.05.08 🎤 시학 강독 4-2드라마의 여섯 가지 구성 요소(2)• 2024. 5. 8. 오후 7시-9시 장소: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 강의 안내: https://learning.suwon.go.kr/lmth/01_lecture01_view.asp?idx=3672• 강의 자료: https://buymeacoffee.com/booklistalk/20240508-suwon강의 자료 보자. "아름다운 것은 일정한 질서에 따라 배치되고 아름다움은 일정한 크기와 배치의 질서에 있다." 아름다움이라고 하는 것은 결국 앞서 얘기했듯이 인간이라고 하는 존재는 완결되어 있지 않은 ..
📚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시학 강독」을 듣고 정리한다. 2024.05.08 🎤 시학 강독 4-1드라마의 여섯 가지 구성 요소(2)• 2024. 5. 8. 오후 7시-9시 장소: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 강의 안내: https://learning.suwon.go.kr/lmth/01_lecture01_view.asp?idx=3672• 강의 자료: https://buymeacoffee.com/booklistalk/20240508-suwon오늘 4강 드라마의 여섯 가지 구성 요소와 다음 주에 드라마의 주인공 그다음 주에 비극과 카타르시스, 이렇게 제4, 5, 6강이 이번에 하는 8번 강의 중에 가장 중요하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은 ..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그리고 로마는 그들을 보았다」를 듣고 정리한다. 2024.05.09 📖 그리고 로마는 그들을 보았다(6) [7]텍스트: https://buymeacoffee.com/booklistalk/romans-saw-them어제 《그리고 로마는 그들을 보았다》 제4장 갈레노스 얘기를 두 번에 나눠서 하겠다고 말했다. 갈레노스가 기독교의 신론에 대해서 비판한 부분은 책에서 분량은 적지만 그렇게 간단하게 설명이 잘 안 되는 부분이 있다. 게다가 기독교에서 무으로부터의 창조creatio ex nihilo라고 하는 창세기의 교리는 A.D 200년이 될 때도 확고하게 자리 잡은 교리가 아니었기 때문에 갈레노스가 굉장히, 루이..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그리고 로마는 그들을 보았다」를 듣고 정리한다. 2024.05.08 📖 그리고 로마는 그들을 보았다(5) [6]텍스트: https://buymeacoffee.com/booklistalk/romans-saw-them《그리고 로마는 그들을 보았다》 오늘은 제4장 갈레노스 - 과학자 이 부분을 보겠다. 갈레노스에 관해서는 두 번에 나눠서 얘기를 해보려고 한다. 플리니우스는 신학적으로 그렇게 중요한 또는 주목할 만한 얘기가 없는데 갈레노스는 그런 부분이 좀 있다. 갈레노스 챕터를 보면 철학과 의학, 철학 학파 그리스도교, 철학 학파로서의 그리스도교이다, 그리고 철학의 실천 그다음에 그리스도교 신론에 대한 공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