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도스토옙스키》을 듣고 정리한다. 2023.10.25 📖 도스토옙스키(5) 📖 도스토옙스키 에두아르트 트루나이젠Eduard Thurneysen(1888-1974), ⟪도스토옙스키, 지옥으로 추락하는 이들을 위한 신학⟫(Dostojewski, 1921) - 고난을 겪는 인간에 대한 연민 “생명을 향한 적극적인 관심, 인간에 대한 이해, 모든 피조물의 고통과 희망을 한없는 연민으로 품어 안고 거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는 것” - 겸허한 사랑 “그곳[시베리아 형무소]에서 그를 사로잡은 하나의 압도적인 체험, 가장 깊은 인상을 남긴 체험은 겸허한, 부서진, 고통당하는 인간과의 만남이었다.” “겸허한 사랑은 무서운 힘이다..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도스토옙스키》을 듣고 정리한다. 2023.10.24 📖 도스토옙스키(4) 📖 도스토옙스키 에두아르트 트루나이젠Eduard Thurneysen(1888-1974), ⟪도스토옙스키, 지옥으로 추락하는 이들을 위한 신학⟫(Dostojewski, 1921) - 경건함 “아무것도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고, 닿아오지 않는 순간을 우리는 소멸이라 부른다. 소멸이라 부르는 것은 경건함이다.”(⟪숨은 신을 찾아서⟫, 표2) - “세 겹의 긴장” · 인간은 세속적인 만족을 포기해야 한다. · 인간은 자신의 정신적인 실존의 확실함마저도 기대해서는 안 된다. · 인간은 신을 설명할 수 없으므로 신마저도 포기해야만 한다. - 무신론..
라티오 출판사에서 제공하는 팟캐스트 '라티오의 책들'을 듣고 정리한다. 라티오 출판사에서 출간된 책들에 관한 강유원 선생님의 해설녹음이다. 팟캐스트 주소: https://ratiopress.podbean.com/ 2023.10.24 문학 고전 강의 — 59 브루노 스넬 《정신의 발견》 ⟪문학 고전 강의 - 내재하는 체험, 매개하는 서사⟫ -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1451a-b 시는 “일어날지도 모르는 것, 즉 개연성과 필연성의 법칙에 따라(kata to eikos ē to anankaion) 가능한 것”을 말한다. “시는 역사(istoria)보다 더 철학적(philosophōteron)이고 중요(apoudaioteron)하다. 시는 보편적인 것(ta katholou)을 말하는 경향이 많고, 역사는 ..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도스토옙스키》을 듣고 정리한다. 2023.10.23 📖 도스토옙스키(3) 📖 도스토옙스키 에두아르트 트루나이젠Eduard Thurneysen(1888-1974), ⟪도스토옙스키, 지옥으로 추락하는 이들을 위한 신학⟫(Dostojewski, 1921) - 도스토옙스키의 관점 변증법적 실존. “궁극적인 질문 때문에 괴로워하던 바로 그 자리에서 삶의 의미를 발견... 궁극적인 질문이 있는 곳에 궁극적인 해답도 있기 때문이다.” “철저한 사실주의”, “완전한 사실주의를 통해 인간 안에 있는 인간을 발견하는 것”. 이는 인간이 대답할 수 없는, 인간 너머에 있는 초월적인 것을 무한히 추구한다는 의미에서의 초월적 형이상학..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도스토옙스키》을 듣고 정리한다. 2023.10.19 📖 도스토옙스키(2) 📖 도스토옙스키 에두아르트 트루나이젠Eduard Thurneysen(1888-1974), ⟪도스토옙스키, 지옥으로 추락하는 이들을 위한 신학⟫(Dostojewski, 1921) - 도스토옙스키의 사람들 “기묘한 인간들의 조합이다. 모든 사회 계층의 사람들, 하늘과 땅 사이에서 생각해낼 수 있는 모든 정신적인 영역에서 나온 사람들… 현실 속에서 살아가는 현실적인 인간들… 대지에 착 달라붙은 것 같지만 완전히 뿌리 뽑힌 인생… 그들의 삶은 특히 진부하고 통속적이다… 어두운 골목, 작고 좁은 방, 어딘지 의심스러운 술집, 유곽, 교도소” — 인..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도스토옙스키》을 듣고 정리한다. 2023.10.18 📖 도스토옙스키(1) 📖 도스토옙스키 에두아르트 트루나이젠Eduard Thurneysen(1888-1974), ⟪도스토옙스키, 지옥으로 추락하는 이들을 위한 신학⟫(Dostojewski, 1921) - 변증법적 신학 “신적 진리의 역설적 성격을 강조하는 신학 운동”, 신은 심판하는 존재이자 은혜를 베푸는 존재라는 것, 상반되거나 모순되는 대립항들이 공존하는 사태에 대한 신학적 응시. 죄(Schuld)를 지었다는 자각으로부터, 바로 그러한 자각으로부터만 속죄(Sühne)가 길어올려질 수 있다는 통찰 - 도스토옙스키의 출발점, 인간이란 무엇인가 “‘우리 자신’이란..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신학의 영토들》을 듣고 정리한다. 2023.10.17 📖 신학의 영토들 📖 신학의 영토들 김진혁, ⟪신학의 영토들 - 서평으로 본 현대 신학⟫ - 서평 “책의 숨겨진 배경을 설명하고, 저자가 가진 생각의 심층 구조를 드러내며, 책의 내용이나 수용 방식이 독자 개인이나 지식 생태계에 끼칠 영향을 평가하는 전문적이고 기술적인 기능을 수행” - 책을 선별한 기준 대표성, 접근성, 현실성, 희귀성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Friedrich Daniel Ernst Schleiermacher, ⟪종교론⟫(Über die Religion. Reden an die Gebildeten unter ihren Verächtern, 1..
플라톤 철학과 헬라스 종교 - 칼 알버츠 지음, 이강서 옮김/아카넷 옮긴이의 말 들어가는 말 제1장 아폴론 / 제2장 이데아 / 제3장 헨 제4장 아나바시스 / 제5장 에로스 / 제6장 타우마제인 제7장 아타나시아 / 제8장 미스테리온 / 제9장 디오니소스 맺는 말 인명 색인 옮긴이의 말 7 『플라톤 철학과 헬라스 종교』는 플라톤 철학을 9개의 열쇠 개념을 통해 추적한다. 이 9 개의 열쇠 개념은 Apollon, idea, to hen, anabasis, eros, thaumazein, athanasia, mysterion, Dionysos이다. 고찰의 첫 개념이 아폴론이요 마지막 개념이 디오니소스인 것에 주목해야 한다. 알버트는 니체를 통해서 널리 알려진 '아폴론적/디오니소스적'이라는 개념 쌍을 플라톤..
하느님의 존재 - 토마스 아퀴나스 지음, 정의채 옮김/바오로딸(성바오로딸) 제1문제 거룩한 가르침에 관하여-그것이 어떤 성질의 것인지, 그리고 그것의 범위에 대하여 제2문제 신론-하느님이 존재하는가 제3문제 하느님의 단순성에 대하여 제4문제 하느님의 완전성에 대하여 제5문제 선 일반에 대하여 제6문제 하느님의 선성에 대하여 제7문제 하느님의 무한성에 대하여 제8문제 사물에 있어서의 하느님의 실재에 대하여 제9문제 하느님의 불변성에 대하여 제10문제 하느님의 영원성에 대하여 제11문제 하느님의 일체성(단일성)에 대하여 제12문제 하느님은 우리에게 어떻게 인식되는가에 대하여 제2문제 제1절 : 하느님이 존재한다는 것은 자명한 것인가 첫째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하느님이 존재한다는 것은 자명한 것으..
라티오 출판사에서 제공하는 팟캐스트 '라티오의 책들'을 듣고 정리한다. 라티오 출판사에서 출간된 책들에 관한 강유원 선생님의 해설녹음이다. 팟캐스트 주소: https://ratiopress.podbean.com/ 2023.10.21 문학 고전 강의 — 58 제23,24강 아이스퀼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 ⟪문학 고전 강의 - 내재하는 체험, 매개하는 서사⟫, 제24, 25강 - 메데이아의 첫째 변설 “내가 파멸을 꾀하며 문턱을 넘다가 잡히면, / 나는 죽어서 내 원수들의 웃음거리가 될 거예요.”(382~383) - 메데이아의 둘째 변설. ‘망설이는 메데이아’, ‘결단하는 메데이아’, ‘화난 메데이아’ “아아! 어떡하지? 애들의 반짝이는 눈을 보니 /나는 도무지 용기가 나지 않아요. ... 아아! /..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강유원의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2023.09.06~2023.11.15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에서 진행되는 강의이다. 2023.10.18 🎤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 6-2 커리큘럼 09.06 예술의 목적과 예술론의 학적 위치 09.13 플라톤의 미학 09.20 예술론의 전범으로서의 《향연》 10.04 mimēsis 10.11 신플라톤주의와 고전주의 예술론 10.18 maniera grande, cicerone 10.25 Baroque, Rococo 11.01 헤겔과 역사적 예술론 11.08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1):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조르조 바사리 11.15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2)..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강유원의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2023.09.06~2023.11.15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에서 진행되는 강의이다. 2023.10.18 🎤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 6-1 커리큘럼 09.06 예술의 목적과 예술론의 학적 위치 09.13 플라톤의 미학 09.20 예술론의 전범으로서의 《향연》 10.04 mimēsis 10.11 신플라톤주의와 고전주의 예술론 10.18 maniera grande, cicerone 10.25 Baroque, Rococo 11.01 헤겔과 역사적 예술론 11.08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1):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조르조 바사리 11.15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