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의미 - 토마스 힐란드 에릭센 지음, 이영래 옮김/더퀘스트서문 첫 번째 의미 : 관계 두 번째 의미 : 결핍 세 번째 의미 : 꿈 네 번째 의미 : 느린 시간 다섯 번째 의미 : 순간 여섯 번째 의미 : 균형 일곱 번째 : 실 끊기 주석이 있는 참고 문헌 13 삶의 의미, 좋은 삶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생각해보면 지금까지 살아온 모든 사람들이 동시대인처럼 느껴진다. 셰익스피어, 몽테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아리스토텔레스는 같은 주제로 대화를 나누는 동등한 파트너다. 이들에게 삶의 의미가 아닌 진화의 메커니즘이나 암의 원인에 대해 묻는다면 이런 상상은 결코 할 수 없을 것이다. 아메리카 원주민, 서아프리카의 그리오, 고대의 철학자, 근대 초기의 극작가들이 제시한 해답에는 공통점이 있다. 그 누구도..
유교란 무엇인가 - 가지노부유끼 지음, 김태준 옮김/지영사한국어판 서문 책머리에 서장 유교에서 말하는 죽음 1장 유교의 종교성 2장 유교 문화권 3장 유교의 성립 4장 경학시대(상) 5장 경학시대(하) 6장 유교와 현대 마지막장 유교와 현대 저자 후기 역자 후기 26 동북아시아를 보기로 하자. 중국, 한국, 일본 ─ 이들 나라는 서아시아인 중근동이나 남아시아인 인도보다는 훨씬 살기 좋은 데다가, 다신교의 나라들이다. 그 대표라고 할 중국 사람들은 인도 사람들처럼 이 세상은 괴로운 세계라고는 결코 생각하지 않았다. 더욱이 기독교처럼 인간이 원죄를 가지고 있다는 생각은 전혀 없었던 것이다. 오히려 중국 사람들은 이 세상을 즐거운 곳이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이런 점이 인도 사람이나 중근동의 사막지방 사람들과 ..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사통史通」을 듣고 정리한다. 2025.01.26 δ. 사통史通(10)유지기, ⟪사통⟫(劉知幾, 史通)텍스트: buymeacoffee.com/booklistalk/shitong-5 단한斷限역사서의 편집 원칙. "그 범위를 바르게 하고 발단을 보여줌으로써 지난 연역에 따라 맥락을 이루게 하는 것" (정기강리正其疆里 개기수단開其首端 인유연혁因有沿革 수상교호遂相交互) * 공자, 부재기위不在其位 불모기정不謀其政(논어論語, 태백泰伯) 한서漢書에서 표表와 지志가 다루는 범위를 너무 넓게 정한 것, 단초는 사마천에서 시작되었다. 반고의 잘못은 이미 지나간 일이니 더 이상 타박할 수 없지만(기왕불간旣往不諫) 후대의 작자들까지..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사통史通」을 듣고 정리한다. 2025.01.19 δ. 사통史通(9)유지기, ⟪사통⟫(劉知幾, 史通)텍스트: buymeacoffee.com/booklistalk/shitong-5 제목題目: 역사서의 서명과 편제 사서史書의 명칭. 서書 · 기記 · 기紀 · 략略 등의 제목을 사용 이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는 지志나 전典자를 사용한 경우. 특이한 것을 좋아하고 유행을 따르는 것을 싫어하며 옛 것을 그대로 쓰고 새로운 것을 버렸으니, "옛것을 살펴 배우려고 한 점은 좋지만 시대의 흐름을 따라야 한다는 뜻에는 미치지 못한 것이다." (수득계고지의雖得稽古之宜 미달종시지의未達從時之義) 기紀. 연월 순서대로 편집한 것. ..
갈릴래아 사람의 그림자 - 게르트 타이센 지음, 이진경 옮김/비아서문을 대신하여 1. 심문 2. 협박 3. 안드레아의 결정 4. 조사 5. 광야공동체 6. 처형에 대한 분석 7. 예수는 위험분자인가? 8. 나자렛 탐문 9. 아르벨라 동굴에서 10. 폭력과 원수 사랑 11. 가파르나움에서의 갈등 12. 국경 사람들 13. 한 여인의 반박 14. 예수에 대한 보고와 은폐 15. 성전 개혁과 사회 개혁 16. 빌라도의 두려움 17. 누구의 책임인가? 18. ‘사람’에 대한 꿈 후기를 대신하여 부록: 예수와 그의 시대에 관한 주요 자료들 옮긴이의 말 작중 지명 · 인명 표기 서문을 대신하여 친애하는 동료, 크라칭어님께, 편지 감사합니다. 당신이 들은 그 소식은 사실입니다. 저는 자금 예수 이야기를 쓰고 있습니다..
고딕건축과 스콜라철학 - 에르빈 파노프스키 지음, 김율 옮김/한길사철학의 첨탑, 첨탑의 철학│김율 고딕건축과 스콜라철학 Ⅰ Ⅱ Ⅲ Ⅳ Ⅴ 도판 에필로그: 파노프스키가 예술작품에서 보는 것은 무엇인가 더 읽어볼 책들 파토프스키 연보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4 이성과 신앙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원리가 탐구되고 공식화되기 이전에, 란프랑쿠스(1005년경 ~89)와 안셀무스(1109년에 사망)는 이미 그런 갈등을 해결하려는 선구적인 시도를 행한 바 있다. 그런 원리에 관한 탐구와 분명한 진술을 처음으로 시도한 인물은 길베르투스 포레타누스(1080년경 ~1154)와 아벨라르두스(1142 년 사망)이다. 그리하여 초기 스콜라철학은 생-드니에서 쉬제(Suger)에 의해 탄생한 초기 고딕건축과 동일한 시점에 동일한 환..
셰익스피어의 기억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지음, 황병하 옮김/민음사1부 모래의 책 타자 울리카 의회 더 많은 것들이 있다 교파 은혜의 밤 거울과 가면 운드르 지친 자의 유토피아 매수 아벨리노 아레돈도 원반 모래의 책 후기 2부 셰익스피어의 기억 1983녀 8월 25일 파란 호랑이들 빠라셀소의 장미 셰익스피어의 기억 작품 해설 작가 연보 작품 연보 모래의 책138 나는 〈모래의 책〉을 위클리프 성경을 빼버려 남은 공간에 보관할까 생각했다. 그러나 나는 마침내 그것을 몇 권이 빠져 있는 『천일야화』 전집 뒤에 숨겨놓기로 마음을 먹었다. 나는 침상에 드러누웠지만 잠을 이룰 수가 없었다. 새벽 서너 시경 나는 불을 밝히고야 말았다. 나는 그 불가능한 책을 찾아 책장들을 넘겨보았다. 나는 한 페이지에 가면 ..
라티오 출판사에서 제공하는 팟캐스트 '라티오의 책들'을 듣고 정리한다. 라티오 출판사에서 출간된 책들에 관한 강유원 선생님의 해설녹음이다. 팟캐스트 주소: https://ratiopress.podbean.com/ 2025.01.15 [특강] 우리 시대, 사상사로 읽는 원전 2-2민주공화국이라고 할 때 민주라고 하는 것은, 온전한 의미에서 인민에게 주권이 있고 그 인민으로부터 권력을 위임받은 자들, 즉 선출된 자들이 권력을 행사해서 궁극적으로 자기 지배 체제를 만드는 것이다. 자기가 자기를 지배한다. 아까 주 예수 그리스(Kyrios Jesus Khristos)라고 했는데, 주Kyrios라고 하는 것은 말 그대로 이 세상의 주인이 신이라는 것이고, Jesus는 사람 이름, 즉 인간이고, 그리스도Kh..
라티오 출판사에서 제공하는 팟캐스트 '라티오의 책들'을 듣고 정리한다. 라티오 출판사에서 출간된 책들에 관한 강유원 선생님의 해설녹음이다. 팟캐스트 주소: https://ratiopress.podbean.com/ 2025.01.15 [특강] 우리 시대, 사상사로 읽는 원전 2-1대한민국 헌법 1조는 "①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②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이다. 우리나라 헌법에 1조 1항과 2항은 오늘 우리가 읽게 되는 플라톤의 《국가》에 나와 있는 얘기라든가 이런 것들이 다 집약되어 있다. 헌법이라고 하는 것이 성립할 때 그 바탕에 놓여 있는 형이상학적인 기초에 대해서 연구하는 것이 제 전공인데, 철학과에서는 이를 법철학, 정치 철학이라고 부른다. 오..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사통史通」을 듣고 정리한다. 2025.01.12 δ. 사통史通(8)유지기, ⟪사통⟫(劉知幾, 史通)텍스트: buymeacoffee.com/booklistalk/shitong-5 서례序例 "소이서작자지의야所以敍作者之意也" (서序란 "작자의 저술 의도를 설명한 것) 전典, 모謨 (서경), 비比, 흥興 (시경) (일종의 원리를 서序에서 말하고 그것에 해당하는 사례를 기술) "역사서에 체례体例가 있는 것은 나라에 법이 있는 것과 같다. 나라의 법이 없으면 위아래가 안정되지 못하며, 역사서에 체례가 없으면 옳고 그름을 가릴 기준이 없게 된다" (사지유례史之有例 유국지유법猶國之有法 국무법國無法 즉상하미정則上下靡定..
라티오 출판사에서 제공하는 팟캐스트 '라티오의 책들'을 듣고 정리한다. 라티오 출판사에서 출간된 책들에 관한 강유원 선생님의 해설녹음이다. 팟캐스트 주소: https://ratiopress.podbean.com/ 2025.01.08 [특강] 우리 시대, 사상사로 읽는 원전 1-2《소크라테스의 변론》에 대해서 얘기를 좀 해보겠다. 천병희 교수님이 번역을 해서 내놓은 것도 있는데 일단 번역본은 박종현 교수님이 번역한 책을 읽는 것이 가장 좋다. 철학 책 좀 읽었다 하는 분들은 《소크라테스 변론》 정도는 꼭 읽어야 한다. 1차 문헌이라고 하는 것은 읽어보면 가독성이 떨어진다고 얘기를 많이 하는데 가독성이 떨어질지 언정 어쩔 수가 없다. 김소월의 진달래 꽃을 외국어로 번역한다고 생각해 보면 굉장히 어렵..
라티오 출판사에서 제공하는 팟캐스트 '라티오의 책들'을 듣고 정리한다. 라티오 출판사에서 출간된 책들에 관한 강유원 선생님의 해설녹음이다. 팟캐스트 주소: https://ratiopress.podbean.com/ 2025.01.08 [특강] 우리 시대, 사상사로 읽는 원전 1-1이번 주에는 《소크라테스, 민주주의를 캐묻다》라는 책과 다음 주에는 《플라톤, 현실 국가를 캐묻다》 책을 가지고 특강을 한다. 이 책은 《소크라테스의 변론》을 어떻게 하면 잘 읽을 수 있는가에 대해서 설명해 놓은 책으로, 사실 「우리 시대 사상사로 읽는 원전: 체제 탐구」라는 시리즈를 하면서 그 첫 번째 시리즈로 내놓은 것으로, 2021년에 출간한 책이다. 이 책 처음을 보면 이 시리즈 출간사가 적혀 있다. 제가 대학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