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마라집 평전 - 공빈 지음, 허강 옮김/부키 저자의 말 1 구자의 사리불, 구마라집이 태어나다 2 일곱 살의 사미승 3 총령을 넘어 계빈에 유학하다 4 부처님의 가사를 입고 설법하다 5 구마라집, 대승으로 개종하다 6 서역에 대승을 전파하며 명성을 떨치다 7 구자를 손에 넣으면 구마라집을 장안으로 보내라 8 여광, 구자를 파괴하다 9 무도한 권력, 파계한 고승 10 구자에서의 마지막 나날 11 인욕과 침묵을 닦고 원한의 마음을 품지 마라 12 어둠에 갇힌 운명 13 서역의 고승 구마라집, 동방의 사미 승조 14 구마라집, 중원의 장안에 들어서다 15 한손에 범본 불경을 들고 중국어로 옮기다 16 구마라집의 걸출한 제자들 17 더러운 진흙 속에서 피는 연꽃 18 불세출의 천재와 호법 보살의 대화 19 초..
떠날 것인가, 남을 것인가 - 앨버트 O. 허시먼 지음, 강명구 옮김/나무연필 옮긴이의 글 | 허시먼이 인도하는 ‘화이부동’의 정치경제학 머리말 1장 서론과 이론적 배경 2장 이탈 3장 항의 4장 이탈과 항의를 결합할 때 겪는 특별한 어려움 5장 게으른 독점은 어떻게 경쟁을 악용하는가 6장 공간적 복점과 양당체제의 역학 관계에 대하여 7장 충성심의 이론 8장 미국의 이데올로기와 관행을 통해 살펴본 이탈과 항의 9장 이탈과 항의의 최적 조합은 왜 어려운가 부록 A. 단순 도형으로 살펴본 이탈과 항의 B. 이탈과 항의 사이의 선택 C. 반전 현상 D. 몇몇 전문가적 재화의 가격 상승과 품질 하락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 E. 가입 조건의 엄격성이 집단 활동에 미치는 효과: 실험 디자인 찾아보기 38 도덕주의자들..
법철학 1 -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지음, 강유원 옮김/사람생각 1. 서문 2. 서론 1) 철학적 법학 2) 의지의 개념 3) 즉자대자적으로 자유로운 의지의 추상적 개념 4) 자유의 추상적 이념의 전개 역자후기 서문 이 강요(綱要)를 출간하는 직접적인 동기는 나의 직책상 법철학에 대해서 행하는 강의를 위한 입문서를 나의 청강자들에게 갖게 할 필요성이다. 이 교재는 철학의 이 부분에 관한 나의 강의를 위하여 언젠가 지정한 『철학집성』(Heidelberg, 1817)에 이미 포함된 것과 동일한 근본개념에 대한 확장된, 특히 더욱 체계적인 상술이다. 그러나 이 강요가 출판되어 나오고, 그에 따라 더욱 광범한 대중 앞에 등장한다는 것은 최초에는 유사하거나 어긋나는 생각들과 확장된 귀결들 그리고 강의 중에 적절..
헤겔 법철학 비판 - 칼 마르크스 지음, 강유원 옮김/이론과실천 헤겔 법철학 비판 서문 헤겔 국법론 비판 옮긴이 후기 옮긴이 후기 마르크스의 사상은 독일의 관념론 철학, 잉글랜드의 정치경제학, 프랑스의 사회주의라는 원류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으나 우리는 그가 이 세 가지를 무비판적으로 혼합한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물론 〈헤겔 국법론 비판〉의 초고를 작성하던 시기에 그는 자신에 선행하는 사상들을 공부하여 정리하고 있었으므로, 그것들로부터 자신의 독자적 사상 체계는 아직 세우지는 못한, 즉 모든 것이 "함께 놓여 있기는 하나 아직 통일적으로 파악되지 못한" 상태에 있었다. 특히 헤겔에 관한 한 그는 포이어바흐의 '비판'이라는 관점에서 헤겔을 파악하고 있었다. 다시 말해서 헤겔을 헤겔에 즉해서 읽고 내재..
12세기 르네상스 - C. H. 해스킨스 지음, 이희만 옮김/혜안 서문 한국어판 서문 옮긴이의 글 제1장 역사적 배경 제2장 지적 중심지 제3장 서적과 도서관 제4장 라틴 고전의 부활 제5장 라틴어 제6장 라틴어 시 제7장 법학의 부활 제8장 역사서술 제9장 그리스 및 아랍 저술의 라틴어로의 번역 제10장 과학의 부활 제11장 철학의 부활 제12장 대학의 형성 서문 12세기 르네상스라는 제목은 많은 사람들에게 엄청난 모순으로 보일 수도 있다. 12세기 르네상스라니! 무지와 정체, 어둠의 시대였던 중세는 그 뒤를 잇는 르네상스기의 빛, 진보, 자유와 날카롭게 대비되지 않는가? 덧없는 이 현세에서의 기쁨과 아름다움, 지식에 대해서는 안목도 없고 관심이라곤 줄곧 내세에 대한 공포에만 맞추어져 있던 중세에 어떻..
운명의 과학 - 한나 크리츨로우 지음, 김성훈 옮김/브론스테인 1. 자유의지냐 운명이냐 2. 발달 중인 뇌 3. 배고픈 뇌 4. 보살피는 뇌 5. 지각하는 뇌 6. 믿는 뇌 7. 예측 가능한 뇌 8. 협동하는 뇌 에필로그 19 이 모든 것의 핵심에 뇌가 자리 잡고 있다. 인간이 머릿속에 갖고 태어난 물질 덩어리인 뇌가 없으면 우리에게는 인식도, 기억도, 정신도 없었을 것이다. 뇌는 살면서 겪은 경험에 반응해서 발달하고 평생 변화를 이어 가지만 갓 태어난 아기의 뇌도 이미 신경로의 형태로 그 토대가 깔려 있는 상태다. 이런 토대가 그 아기의 남은 평생 세상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개개인에게는 스스로에 대해 만들어 낸 이야기 말고도 무언가 근본적인 것이 존재한다. 그 무언가는 너무도 복잡..
형이상학 서설 - 임마누엘 칸트 지음, 백종현 옮김/아카넷 제1부 『형이상학 서설』 해제 『형이상학 서설』 해제 『형이상학 서설』관련 주요 문헌 제2부 『형이상학 서설』 역주 『학문으로 등장할 수 있는, 모든 장래의 형이상학을 위한 서설』 역주 부록 [부록 1] 『순수이성비판』에 대한 [부록 2] 「칸트철학에서 ‘선험적’과 ‘초월적’의 개념 그리고 번역어 문제」 2. 『서설』의 의의 '서설’의 뜻 먄각 칸트가 먼저 『비판』을 출간하지 않은 채로 『서설』을 저술했더라도, 그 역시 하나의 완결된 작품으로 읽혔을 것이다. (물론 그 경우 그 영향력은 아마도 『비판』에 비하면 미미했을 것이다.) 그러나 『비판』에 대한 서평에 대한 응대로 작성된 『서설』은 『비판』과의 연관성 속에서 읽힐 수밖에 없고, 또한 그와..
로크 - 마이클 에이어스 지음, 강유원 옮김/궁리 들어가는 글 관념과 사물 제1성질과 제2성질, 힘, 그리고 감각적 지식 제1성질과 '새로운 철학' 실체, 우연, 그리고 본질에 대한 의심 정신과 물질 종(種) 들 어 가 는 글 존 로크는 1632년부터 1704년까지 살았다. 이때는 잉글랜드뿐 아니라 유럽 대륙 전체가 정치적, 지적 혼란과 격변기의 시기였다. 옥스퍼드를 떠나 휘그당의 창설자인 샤프츠버리 백작의 집에 합류했던 30대 중반부터 로크는 이 격변의 한 가운데에 있었다. 그는 일급 과학자들의 친구이기도 했는데, 그 중에는 '화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로버트 보일과 뛰어난 물리학자 토머스 시드넘이 있었고, 그 누구보다 위대했던 아이작 뉴턴도 있었다. 그는 특히 시드넘과 공동 연구를 했고 그 자신 의사로..
불안의 시대 이교도와 기독교인 - 에릭 R. 도즈 지음, 송유레 옮김/그린비 책을 펴내며 7 서문 9 참고문헌 약어 11 I. 인간과 물질적인 세계 19 II. 인간과 신령한 세계 59 III. 인간과 신성한 세계 95 IV. 이교와 기독교의 대화 131 옮긴이 후기 171 찾아보기 177 57 내가 이 장에서 보여주려고 시도한 것은 인간 조건에 대한 경멸과 육체에 대한 증오가 이 시기의 문화 전체에 퍼져 있는 전염병이었으며, 더욱 극단적인 형태로는 주로 기독교인이나 영지주의자에게 나타났지만, 그것의 징후는 더욱 온건한 형태로 순수한 그리스 교육을 받은 이교도한테도 드러났다는 점이다. 59 모호한 용어 '신령(daemon)'과 '신령스러운 것'(daemonios)에 대한 이러한 정확한 정의는 플라톤의 시..
공공역사란 무엇인가 - 마르틴 뤼케 외 지음, 정용숙 옮김/푸른역사 들어가며 1장 공공역사란 무엇인가 2장 역사교육과 공공역사 3장 공공역사 방법론 4장 공공역사와 미디어 5장 박물관과 기념관 6장 공공역사 교육 옮긴이 해제 들어가며 7 이 책의 관심사는 독자적 학문분과로서의 공공역사를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일이다. 7 한편으로 역사의 실증에 대한 책임을 다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정서적·미학적으로 정당한 대중의 요구에 응해야 하기 때문이다. 1장 공공역사란 무엇인가 16 공공역사는 이 용어가 생기기 전에도 이미 존재했다. 이 용어의 발원지인 미국에서 공공역사는 애초에 대학 외부의 운동으로 시작되었다. 1960년대의 신사회사New Social History는 "아래로부터의" 역사라는 새로운 목표와 접근법을 ..
매체의 역사 읽기 - 안드레아스 뵌.안드레아스 자이들러 지음, 이상훈.황승환 옮김/문학과지성사 서문 제1부 이론의 기초 1장 의사소통 이론과 기호 이론 2장 매체 개념 제2부 언어 기반 매체의 발전 3장 구술성과 문자성 4장 텍스트, 책, 인쇄 5장 신문, 잡지, 공론장의 성립 6장 언어와 이미지 제3부 19세기 이후 근대 기술 매체의 발전 7장 사진 8장 영화 9장 라디오와 텔레비전 10장 디지털 매체 11장 멀티미디어와 하이퍼미디어 제4부 매체사의 상위 양상 12장 자기반영과 상호 매체성 13장 매체 세계와 매체 현실 14장 매체의 이용과 매체의 영향 매체사 연표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 41 매체에 대한 가장 폭넓은 개념은 라틴어 단어인 'medium'(수단)이 가진 원래 의미에 기인한다. 따라서 서로..
플로티노스 - 그리스 철학을 기독교에 전달한 사상가 - 조규홍 지음/살림 소개의 글 그노티 세아우톤-시대를 넘어선 물음 그의 철학의 출발점 ‘새롭게’ 철학하기 : 신플라톤주의의 길 존재에 대한 탐구 : ‘존재론적인 물음’의 의미 ‘하나’에 대한 역사적 회고 신플라톤주의의 선구자 플로티노스 당시 헬레니즘 후기 시대사조와 맞서서 ‘정신’과 육체적인 삶 연대기 및 작품 (우리의 영혼이) 자기 바깥의 그 어떤 대상에만 몰두하는 까닭에, 그만 ‘하나'를 바라보지 못할 뿐이다. 바로 여기에 '하나'에 대한 철학하기가 (새롭게) 요구된다. (3,13 이하) 만일 사람들이 저 헤아리기 힘든 본성의 정체('하나')를 송두리째 알아내려 한다면, 참으로 어리석은 일이라 하겠다. 누군가가 이를 원한다 할 때 실제로는 최소한 ..
창세기와 만나다 - 로널드 헨델 지음, 박영희 옮김/비아 감사의 말 들어가며 원작의 생애, 원작 사후의 생애 / 오류의 쓸모 / 창세기와 현실 1. 창세기의 기원 오래된 시 / 문서 자료 / 고대 배경 / 한 처음에 / 아담과 하와 2. 상징적 의미의 등장 의미를 밝히다 / 네 가지 가정 / 신성한 말과 세계 3. 종말론적 비밀 새로운 창조 / 낙원의 강 / 마지막 날 / 아담의 영광 / 마지막 아담 / 종말론적 이원론 4. 플라톤적 세계 동굴 밖으로 / 창세기 그리스어 역본 / 영혼의 상승 / 하늘의 예루살렘과 지상의 예루살렘 / 영지주의 창세기 / 빛나는 몸 5. 상징과 실제 사이 상징의 세계 / 상징의 남용 / 성서에 담긴 분명한 말 / 현실에 관한 희극 / 가정에 대한 질문 6. 창세기와 과학: ..
실낙원 서문 - C. S. 루이스 지음, 홍종락 옮김/홍성사 I 서사시 _11 II 비평은 가능한가? _24 III 일차적 서사시 _30 IV 일차적 서사시의 기법 _42 V 일차적 서사시의 제재 _54 VI 베르길리우스와 이차적 서사시의 제재 _64 VII 이차적 서사시의 문체 _77 VIII 이 문체에 대한 옹호 _98 IX ‘변하지 않는 인간의 마음’설 _114 X 밀턴과 아우구스티누스 _121 XI 위계질서 _132 XII 《실낙원》의 신학 _147 XIII 사탄 _167 XIV 사탄의 추종자들 _183 XV 밀턴의 천사들에 대한 오해 _191 XVI 아담과 하와 _204 XVII 타락하지 않은 성 _214 XVIII 타락 _219 XIX 결론 _225 부록 몇몇 구절에 대한 주(註) _241 찾..
재평가 - 토니 주트 지음, 조행복 옮김/열린책들 감사의 말 머리말 우리가 잃어버린 세계 해제 토니 주트: 탈냉전 시대의 역사가 1부 어둠의 심장 1장 아서 케스틀러, 지식인의 전형 2장 프리모 레비의 기본적인 진실 3장 마네스 슈페르버의 유대인의 유럽 4장 해나 아렌트와 악 2부 지적 참여의 정치학 5장 알베르 카뮈: ‘가장 훌륭한 프랑스인’ 6장 고심의 역작: 루이 알튀세르의 ‘마르크스주의’ 7장 에릭 홉스봄과 공산주의의 낭만 8장 그 모든 것에 작별을? 레셰크 코와코프스키와 마르크스주의의 유산 9장 사상의 교황? 요한네스 파울루스 2세와 현대 세계 10장 에드워드 사이드: 뿌리 없는 세계주의자 3부 이행기에 놓친 것들: 장소들과 기억들 11장 대재앙: 프랑스의 몰락, 1940 12장 잃어버린 시간을..
서양 정치사상사 산책 - 우노 시게키 지음, 신정원 옮김/교유서가 프롤로그 제1장 고대 그리스의 정치사상 제2장 로마의 정치사상 제3장 중세 유럽의 정치사상 제4장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제5장 17세기 잉글랜드의 정치사상 제6장 18세기의 정치사상 제7장 미국과 프랑스의 혁명 제8장 19세기의 정치사상 종장 20세기의 정치사상 + 강유원 선생님의 「정치사상사 토론」의 참고도서이다. 2022년 내내 읽을 예정이다. 프롤로그 이 책은 고대 그리스에서 탄생한 민주주의에서 출발해 자유주의나 사회주의 같은 무슨무슨 ''주의'(굳이 말하자면 '이데올로기')라는 여러 사상이 펼쳐지는 19세기까지의 정치사상사를 다룬 것이다. 분량은 적지만 20세기도 다룬다. 정치사상사인 만큼 책의 구성 또한 역사적 순서에 따랐다. 말하..
정치철학사 - 오트프리트 회페 지음, 정대성.노경호 옮김/길(도서출판) 서문 7 서론: 기나긴 전(前) 역사 15 1. 플라톤: 철학자가 왕이어야 하는가 21 2. 아리스토텔레스: 인간: 정치적 동물 67 3. 키케로: 로마의 정치사상 119 4. 아우구스티누스: 예루살렘 대(對) 바빌론 151 5. 아부 나스르 알 파라비: 이슬람식 ‘철학자의 지배’ 189 │막간│ 세속권력 대(對) 영적 권력 208 6. 토마스 아퀴나스: 좋은 군주란? 215 7. 단테 알리기에리: 세계제국(군주제 아래의 세계) 241 8. 파도바의 마르실리우스: 세속의 평화이론 261 9. 니콜로 마키아벨리: 잠정적 반도덕 279 │막간│ 정치적 유토피아, 기독교적 군주귀감서, 국제법 303 10. 토머스 홉스: 내전 시기의 정치학..
노래의 책 - 하인리히 하이네 지음, 이재영 옮김/열린책들 제2판 머리말 제3판 머리말 제5판 머리말 젊은 날의 아픔 1817~1821 -꿈의 영상들 -노래들 -로만체 -소네트 서정적 간주곡 1822~1823 귀향 1823~1824 하르츠 여행에서 1824 북해 1825~1826 -첫 번째 연작시 -두 번째 연작시 역자 해설: 치명적 사랑과 노래의 구원 하인리히 하이네 연보 역자 해설: 치명적 사랑과 노래의 구원 『노래의 책』이 출판되기까지 이 시집은 하이네가 만 30세가 되던 1827년에 함부르크에서 발표되었다. 당시 하이네는 직전에 발표한 기행문 『여행 화첩 』 1권이 크게 성공을 거두어 독일독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었다. 당초에 시인으로서 성공을 거두고자 했으나 그때까지 시인으로서는 별 성과를 거두지..
성서의 형성 - 존 바턴 지음, 강성윤 옮김/비아 들어가며 서론 1. 성서의 내용 2. 책을 쓰다 3. 책을 모으다 4. 책에서 경전으로 5. 정경을 확정하다 결론 용어 해설 인물 해설 존 바턴 저서 목록 결론 이 책에서 우리는 서로 별개이지만 여러 지점에서 맞물리는 두 과정을 살펴보았습니다. 첫째는 오늘날 성서를 형성하는 다양한 책들이 저술된 과정입니다. 둘째는 이 책들이 거룩한 경전으로 받아들여지면서 다른 모든 책과 구별되는 과정입니다. 두 과정 모두 한없이 복잡하지만, 일반적 경향과 원리 몇 가지는 파악할 수 있습니다. 성서에 속한 책들이 기록된 과정부터 생각해 보겠습니다. 구약과 신약을 만들어 낸 모든 문화권에서는 글을 읽고 썼습니다. 이러한 능력이 널리 퍼져 있지는 않았으나 오늘날 사람들처럼 읽..
하버드, 철학을 인터뷰하다 - 하버드 철학 리뷰 편집부 엮음, 강유원.최봉실 옮김/돌베개 옮긴이 서문 추천사 움베르토 에코(Umberto Eco) 기호학과 실용주의 On Semiotics and Pragmatism 리처드 로티(Richard Rorty) 형이상학 이후의 문화를 향하여 Toward a Post-metaphysical Culture 코넬 웨스트(Cornel West) 행위에 대한 철학적 신념 Philosophical Faith in Action 스탠리 카벨(Stanley Cavell) 철학의 생에 대한 성찰 Reflection on a Life of Philosophy 알렉산더 네하마스(Alexander Nehamas) 철학적 삶에 대하여 On the Philosophical Life 존 롤..
엔네아데스 (천줄읽기) - 플로티노스 지음, 조규홍 옮김/지만지(지식을만드는지식) 해설 ·······················ix 지은이에 대해 ··················xvii 엔네아데스 I 6: 아름다운 것에 관해 ·········3 엔네아데스 V 8: 정신의 아름다움에 관해 ······32 엔네아데스 III 5: 사랑에 관해 ···········77 옮긴이에 대해 ··················111 지은이에 대해 플로티노스(Plotinos, 204/205~269/270)는 고대 후기 그리스 철학자다. 플라톤사상에 몰두해서 가르쳤기에 사람들은 그를 '신플라톤주의의 창시자'라고 평한다. 북아프리카의 리코폴리스(Lykopolis)에서 태어나 로마제국의 영향력 있는 사상가로 활동했다. 예컨대..
철학, 더 나은 삶을 위한 사유의 기술 - 존 코팅엄 외 지음, 강유원 외 옮김/유토피아 제1장 세계 실재란 무엇인가 | 아리스토텔레스 | 물리적 세계 | 초자연 현상 | 원인과 결과 | 흄 | 관념론 | 버클리 | 헤겔 | 현상학 | 진리 | 수학 | 무한 | 라이프니츠 | 시간과 공간 (소주제)존재론적 범주 | 양자이론의 수수께끼 | 유령 | 인과와 결정론 | 흄의 쇠스랑 | 칸트의 선험적 관념론 | 버클리에 대한 존슨 박사의 오해 | 대륙철학 | 하이데거와 나치즘 | 거짓말쟁이의 역설 | 미적분의 발견 | 제논의 역설 제2장 몸과 마음 마음이란 무엇인가 | 데카르트 | 사유 | 제리 포더 | 의식 | 느낌과 감정 | 언어 | 비트겐슈타인 | 자유의지 | 스피노자 | 자아 | 제정신과 정신이상 | 생..
제국 - 스티븐 하우 지음, 강유원.한동희 옮김/뿌리와이파리 한국어판 서문 서론: 나는 오늘자 신문을 읽는다 1장 누가 제국주의자인가? 2장 육상제국 3장 해양제국 4장 제국의 종말과 그 이후 5장 제국을 연구하고 판단하기 옮긴이의 말 참고문헌 그림 목록 더 읽을거리 옮긴이의 말 조선이 일본 제국의 식민지가 되었다가 그것에서 벗어난 뒤 대한민국이 세워진 지 60년이 넘었다. 그런데 한국 사회에서는 식민지 시대와 관련된 용어들이 여러 사람의 입과 매체에서 자주 오르내린다. 날카로운 정치적 쟁점이 되기도 하며 서로 편을 갈라 악을 쓰고 싸우는 일까지도 벌어진다. 형식적으로 따지면 일본제국의 식민지였던 조선과 대한민국은 다른 나라이다. 대한민국은 일본 제국의 식민지였던 땅 위에 세워졌고, 더 나아가 그 일에 ..
바다의 문들 - 데이비드 벤틀리 하트 지음, 차보람 옮김/비아 들어가며 1. 세계의 조화 2. 하느님의 승리 부록 1. 의문의 미진 2. 하느님은 어디에 계셨는가? 해설: 데이비드 벤틀리 하트가 그리는 오래된 미래 1. 세계의 조화 27 하느님을 인간과 같은 하나의 윤리적 행위자로, 제한된 정신을 지닌 인격체로 축소한 것이다. 물론, 이 논증에는 어떤 정서적 힘, 심지어 도덕적 힘이 있다. 그러나 논리적 힘은 없다. 만물의 시작과 끝을 보지 못하는 한, 모든 시간 위에 있는 신적이고 영원한 지점에 있지 않은 한, 하느님의 자유와 피조물의 자유 사이의 관계의 정확한 본성을 알지 못하는 한, 무한한 지혜를 헤아리지 못하는 한, 우리는 어떤 유한한 경험에서 하느님 안에 있는 전능성과 완전한 선의 일치에 대한 ..
선거는 민주적인가 - 버나드 마넹 지음, 곽준혁 옮김/후마니타스 서론 1장 직접 민주주의와 대표성 2장 선거제도의 승리 3장 탁월성의 원칙 4장 민주주의적 귀족정 5장 인민의 평결 6장 대의 정부의 변형들 결론 역자후기 찾아보기 서론 현대의 민주주의 정부는 그 설립자들이 민주주의와는 대립되는 것으로 이해했던 정치 체제로부터 발전했다. 최근에는 동일한 정부 유형의 다양한 형태로 '대의 민주주의' 와 '직접 민주주의' 를 구분한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가 '대의 민주주의' 라고 부르는 정부 형태는 애초에는 민주주의의 한 형태 혹은 인민에 의한 정부로 간주되지 않았던 제도(영국, 미국, 프랑스 혁명의 결과로 만들어진 제도)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정치적 대의제에 대한 루소의 단호한 비판은 지금까지도 잘 알려져..
사후생 이야기 - 최준식 지음/모시는사람들 서두에 프롤로그 I. 죽음은 없다 01. 우리는 죽은 다음에도 존재하는가? 02. 사후생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 03. 왜 우리는 영계에 대해서 알아야 할까? 04. 죽음이 정말로 고통스러울까? 05. 육신을 벗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날까? II. 영계는 어떤 곳인가? 06. 영혼이란 무엇인가? 07. 영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까? 08. 영계는 물질계와 어떤 면에서 가장 다를까? 09. 영계에 도착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10. 자신이 죽었다는 사실을 빨리 인정할 것 11. 영계가 돌아가는 원리 12. 천국과 지옥은 존재한다 13. 내가, 그리고 우리가 창조한 지옥의 모습은? 14. 영계의 2차 영역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15. 영혼에도 등급이 있..
추의 역사 - 움베르토 에코 지음, 오숙은 옮김/열린책들 서문 Chapter I. 고대 세계의 추 Chapter II. 수난, 죽음, 순교 Chapter III. 묵시록, 지옥, 악마 Chapter IV. 괴물들과 기이한 것들 Chapter V. 추한 것, 희극적인 것, 외설스러운 것 Chapter VI. 고대부터 바로크 시대까지 여성의 추 Chapter VII. 근대 세계의 악마들 Chapter VIII. 마법, 사탄 숭배, 사디즘 Chapter IX. 피시카 쿠리오사 Chapter X. 낭만주의와 추의 구원 Chapter XI. 두려운 낯설음 Chapter XII. 철탑과 상아탑 Chapter XIII. 아방가르드와 추의 승리 Chapter XIV. 타자의 추, 키치, 캠프 Chapter XV. 오늘..
지하로부터의 수기 -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지음, 계동준 옮김/열린책들 제1부 지하실 제2부 진눈깨비 때문에 현실 세계와 허구 세계의 뒤틀림 인간 소외와 반항의 상징 도스또예프스끼 연보 제1부 지하실 나는 병든 인간이다 ··· ···. 나는 악한 인간이다. 나는 호감을 주지 못하는 사람이다. 생각건대, 간에 이상이 있는 것 같다. 그런데, 나는 내 병에 대해서 아무 생각이 없었으며 사실 어디가 아픈지조차도 잘 모른다. 의학과 의사들을 존경하기는 하지만 나는 치료를 받고 있지 않으며 치료를 받은 적도 결코 없다. 게다가 나는 극도로 미신적인 사람이다. 의학을 존경하는 만큼 미신을 믿는다(나는 미신을 믿지 않도록 충분히 교육을 받았음에도 미신을 믿는다) 아니다, 내가 치료 받기를 원치 않는 것은 증오심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