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스탄티누스 황제와 기독교 - 김경현 지음/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_ 머리말: 1700년 만의 콘스탄티누스 황제 제1부 | 시대배경: 서기 3세기의 로마 제국 제2부 | 서부제국의 황제 콘스탄티누스 제3부 | 황제의 신앙과 종교정책 제4부 | 제국과 교회의 통일 제5부 |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최후와 유산 _ 저자 후기·297 _ 참고문헌·302 _ 찾아보기·313 머리말: 1700년 만의 콘스탄티누스 황제 9 아우구스투스(기원전 27년-서기 14년)와 콘스탄티누스(서기 306-337년), 이 두 황제는 현대세계에서 매우 각별한 대접을 받아왔다. 가장 긴 재위 기간 동안 획기적 위업을 이루었기 때문이다. 아우구스투스는 공화정에서 황제정으로 체제 전환의 기틀을 다졌고, 콘스탄티누스는 로마를 기독교 제국으로 ..
무진기행 - 김승옥 지음/민음사 무진기행 서울 1964년 겨울 생명연습 건 역사 차나 한 잔 다산성 염소는 힘이 세다 야행 서울의 달빛 0장 서울의 우울 - 김승옥론 작가 연보 무진기행 9 버스가 산모퉁이를 돌아갈 때 나는 '무진 Mujin 10km'라는 이정비를 보았다. 그것은 옛날과 똑같은 모습으로 길가의 잡초 속에서 튀어나와 있었다. 내 뒷좌석에 앉아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다시 시작된 대화를 나는 들었다. "앞으로 10 킬로 남았군요." "예, 한 30분 후에 도착할 겁니다." 그들은 농사 관계의 시찰원들인 듯했다. 아니 그렇지 않은지도 모른다. 그러나 하여튼 그들은 색 무늬 있는 반소매 셔츠를 입고 있었고 데드롱 직의 바지를 입었고 지나쳐 오는 마을과 들과 산에서 아마 농사 관계의 전문가들이 아니..
고백록 - 아우구스티누스 지음, 성염 옮김/경세원 고백록을 옮기면서 4 해 제 서론 : 아우구스티누스, 진리의 연인 10 1. 저작의 정황과 연대 13 2. 세 차례의 사상적 전향 19 3. 「고백록」 후반부 개관 36 본문과 역주 제1권 출생 및 어린이, 소년 시절 53 제2권 내 나이 열여섯 87 제3권 카르타고에서 연학에 몰두하다 105 제4권 9년간 타가스테와 카르타고에서 교사를 하다 131 제5권 카르타고를 떠나 로마로 가고 거기서 다시 밀라노로 향하다 165 제6권 나이 서른 197 제7권 진리를 향한 상승의 길 231 제8권 유일하고 참된 하느님께 회심 271 제9권 세례와 아프리카 귀환 307 제10권 하느님을 찾고 인식하여 345 제11권 하느님이 하늘과 땅을 창조하신 태초에 관한 주석 ..
플라톤의 소피스테스 / 정치가 - 플라톤 지음, 박종현 옮김/서광사 머리말 … 5 우리말 번역본과 관련된 일러두기 … 9 원전 텍스트 읽기와 관련된 일러두기 … 13 《소피스테스》 편 … 15 해제 … 17 목차 … 41 대화자들 … 45 《소피스테스》 … 47 《정치가》 편 … 203 해제 … 205 목차 … 217 대화자들 … 221 《정치가》 … 223 참고 문헌 … 365 고유 명사 색인 … 371 내용 색인 … 375 《소피스테스》 편 목차 I. 첫머리 대화(216a~218b): 《테아이테토스》 편에서의 대화가 끝나면서 또 갖기로 한 다음 날의 모임에서 수학자 테오도로스가 엘레아학파에 속하는 손님 한 분을 소개한다. 이어 소크라테스가 그 고장 사람들이 소피스테스와 정치가 그리고 철학자를 어떤 사..
최초의 민주주의 - 폴 우드러프 지음, 이윤철 옮김/돌베개 바치는 글 한국 독자들을 위한 서문 서문 일러두기 제1장 서론: 민주주의와 이의 대역들 제2장 민주주의의 생生과 사死 제3장 참주정으로부터의 자유(그리고 참주가 되는 것으로부터의 자유) 제4장 조화 제5장 법nomos에 따른 통치 제6장 본성에 따른 자연적 평등성 제7장 시민 지혜 제8장 지식 없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추론 제9장 교양 교육paideia 제10장 맺는 말: 우리는 민주주의를 맞이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 부록 지도: 민주주의 시기의 그리스 연표 인물 소개 펠로폰네소스 전쟁에 대한 간략한 소개 고대 문헌 자료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론: 민주주의와 이의 대역들 23 사람들에 의한 그리고 사람들을 위한 정치 체제인 민주주의는 그 자체로 하..
안전, 영토, 인구 - 미셸 푸코 지음, 오트르망 옮김/난장 프랑스어판 편집자 서문 1강. 1978년 1월 11일 2강. 1978년 1월 18일 3강. 1978년 1월 25일 4강. 1978년 2월 1일 5강. 1978년 2월 8일 6강. 1978년 2월 15일 7강. 1978년 2월 22일 8강. 1978년 3월 1일 9강. 1978년 3월 8일 10강. 1978년 3월 15일 11강. 1978년 3월 22일 12강. 1978년 3월 29일 13강. 1978년 4월 5일 강의요지 강의정황 옮긴이 해제 찾아보기 6강. 1978년 2월 15일 199 목자의 은유 같은 것은 데모스테네스에게서도 거의 발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그리스 고전기의 정치 어휘라 불리는 것에서 목자의 은유는 희귀한 은유입니다. 목자..
힌두교사 깊이 읽기, 종교학이 아닌 역사학으로 - 이광수 지음/푸른역사 책머리에 인도 지도 인도 종교사 연표 1부 총론 1. 힌두교란 무엇인가 2. 종교학과 종교사 2부 힌두교 형성사 1. 힌두교의 두 가지 원천 2. 베다후後 시기의 힌두교의 체계화와 불교의 발생 3. 서사시 시기의 종교의 대중화 4. 초기 중세의 종교 5. 후기 중세의 힌두교 6. 근대 힌두교 3부 힌두교의 성격과 의의 1. 여러 전통의 통합 2. 구동 장치로서 바르나(카스트) 3. 관용과 박해 그리고 개종 4. 범신론의 여러 층위 5. 윤회의 시간과 역사로서의 신화 저자 후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머리에 6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의 역사를 일원론과 윤회와 탈인간 중심의 세계관으로 보면 어떨까? 원인과 결과가 과학의 잣대로 분명하게..
파편화한 전쟁 - 헤어프리트 뮌클러 지음, 장춘익 외 옮김/곰출판 옮긴이의 말 서론 제1부 20세기의 대전쟁들 1. 1914년 여름 - 세계사적 분기점 2. 폭력의 격화 - 1914년 7월위기에서 ‘혁명 전염’의 정치로 3. 신화적 희생자와 현실의 사망자 4. 제1차 세계대전과 부르주아 세계의 종말 5. 제2차 세계대전 - 세계질서를 둘러싼 전쟁 제2부 탈영웅적 사회와 전사 에토스 6. 영웅, 승자, 질서 설립자 7. 영웅적 사회와 탈영웅적 사회 8. 새로운 전투체계와 전쟁 윤리 9. 새로운 전쟁에서 무엇이 새로운가? 10. 이미지 전쟁 - 비대칭적 전쟁에서 미디어의 역할 제3부 고전적 지정학, 새로운 공간 관념, 하이브리드 전쟁 11. 지정학적 사고의 효용과 단점 12. 우크라이나와 레반트 13. 21..
초기 기독교 사상의 정신 - 로버트 루이스 윌켄 지음, 배덕만 옮김/복있는사람 옮긴이의 글 0. 서문 1. 그리스도의 십자가 위에 세워진: 기독교 사상의 토대 2. 놀랍고 피 없는 희생제물: 기독교의 예배 3. 현재를 위한 하나님의 얼굴: 성경 4. 항상 그의 얼굴을 구하라: 삼위일체 5. 내 원대로 마시옵고 아버지의 원대로: 그리스도 인성의 비밀 6. 처음에 주어진 끝: 천지창조 이야기 7. 믿음의 합리성: 인식의 길 8. 하나님이 주님인 백성은 복이 있도다: 지상과 천상의 나라 9. 그리스도의 영광스러운 행동: 초기 기독교 문학 10. 이것을 다르게 만들다: 초기 기독교 미술 11. 하나님 닮기: 윤리의 삶 12. 감각적 지성의 지식: 영의 삶 에필로그 감사의 글 서문 19 기독교는 불가피하게 예전적..
반항하는 인간 - 알베르 카뮈 지음, 김화영 옮김/민음사 옮긴이의 말 9 서론 13 1 반항하는 인간 29 2 형이상학적 반항 49 3 역사적 반항 187 4 반항과 예술 435 5 정오의 사상 479 작품 해설 529 작가 연보 572 22 생활을 통해 겪어 가는 삶, 하나의 출발점, 그리고 실존에 있어서 데카르트의 방법적 회의에 해당되는 것, 이런 것이 부조리의 진정한 성격인데 이 점을 간과한 채 우리가 부조리 속에 버티고 있으려고 애쓰면서부터 이 근본적인 모순은 다른 수많은 모순들과 함께 모습을 드러낼 수밖에 없다. 부조리란 그 자체가 모순이다. 부조리는 그 내용에 있어서 모순이다. 왜냐하면 산다는 것은 자체가 하나의 가치 판단인데 부조리는 삶을 유지하기를 원하면서도 가치 판단을 배제하기 때문이다...
도스토옙스키 탄생 200주년 기념판 세트 - 전8권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지음, 홍대화 외 옮김/열린책들 제2부 제7장 일당의 모임에서 011 비르긴스키는 무라비이나야 거리에 있는 자기 집, 다시 말해 아내의 집에 살고 있었다. 집은 단층의 목조 건물로 다른 거주자들은 없었다. 주인의 생일을 빙자해 열다섯 명 가량 되는 손님이 모였다. 그러나 이 모임은 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영명축일 파티와는 전혀 달랐다. 비르긴스키 부부는 결혼생활을 시작하면서 영명축일에 손님을 부르는 것은 어리석은 짓이며, 게다가 〈기뻐할 이유도 전혀 없다〉고 서로 단호하게 결정지었던 것이다. 지난 몇 년 동안 그들은 어떻게든 스스로를 사회에서 완전히 단절시켜 왔다. 그는 능력도 있는 데다 〈무슨 불쌍한〉 사람이 전혀 아님에도 ..
도스토옙스키 탄생 200주년 기념판 세트 - 전8권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지음, 홍대화 외 옮김/열린책들 제1부 제1장 서문을 대신하여: 널리 존경받는 스테판 트로피모비치 베르호벤스키의 신변 이야기 11 지금까지 어떤 특별한 일도 없던 우리 도시에서 최근에 발생한 매우 이상한 사건들을 서술함에 있어서, 나는 나의 능력 부족 탓에 이야기를 약간 돌려, 다름 아닌 재능 있고 널리 존경받는 스테판 트로피모비치 베르호벤스키의 몇 가지 신변 이야기에서부터 시작해야겠다. 이 이야기는 앞으로 전개될 연대기의 서문과 같은 역할을 할 뿐이며, 내가 쓰려고 하는 진짜 이야기는 좀 더 뒤에 나올 것이다. 바로 시작하겠다. 스테판 트로피모비치는 우리 사이에서 뭔가 독특한 말하자면 시민적인 역할을 계속 담당하고 있었으며, 그..
새로운 인생 - 단테 알리기에리 지음, 단테 가브리엘 로세티.박우수 옮김/민음사 서문 1부 새로운 인생 2부 단테와 로세티 단테의 생애 로세티의 생애 작품 해설 작가 연보 서문 단테 가브리엘 로세티 13 『새로운 인생』(단테의 생애 중 스물일곱 살까지를 다룬 청춘의 자서전 혹은 정신의 기록)은 이미 원문으로나 논문, 혹은 완역이나 부분 영역본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잘 알려진 작품이다. 따라서 여기에서 작품 자체 이외의 것에 대해 말하는 것은 불필요한 일일 것이다. 이 작품에는 정교하고 친숙하면서도 아름다운 요소들과 경탄을 자아내는 개인적인 특성들이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에 대한 반응은 「신곡」에서 베아트리체의 입을 통해 가장 잘 표현되어 있다. "이 사람은 젊은 시절에 그러한 잠재력을 갖고 있었다."..
중세 필사본 - 김유리 외 지음/일파소 제 1장 비잔틴 필사본 제 2장 섬양식 필사본 제 3장 카롤링 필사본 제 4장 오토기 필사본 제 5장 스페인 중세 필사본 책머리에 30여 년 전, 뮌헨 소재 바이에른 주립도서관의 어둡고 큰 특별전시실에서 870년경에 제작된 성 에머람 필사본 원본과 마주하며 받았던 깊은 감동을 여전히 선명하게 기억하고 있다. 전시실 중앙에 홀로 세워진 커다란 유리 진열장에 오직 필사본 한 점이 희미한 조명을 받으며 전시되어 있었고, 그 필사본의 빛 바랜, 낡고 두꺼운 양피지 책장들과 보석들로 장식된 화려한 황금표지가 뿜어내는 신비로움은 강한 경외감을 불러일으켰다. 이렇듯 오늘날 우리는 천년이 넘는 오랜 세월의 결이 차곡차곡 배어있는 중세 필사본을 대하게 되면 그 강한 아우라에 깊이 ..
국가.주권 - 박상섭 지음/소화 발간사 저자의 말 서론-국가 개념의 다의성과 연구의 의의 Part 1 국가 1. 서양에서 국가 개념의 변화 Status/Stato의 기원|국가이성|근대적 국가 개념의 성장|독일에서의 국가 개념의 형성과 발전 2. 한자 문명권에서 국가의 개념 중국에서의 국가 개념|일본에서의 국가 개념 3. 한국사 전통에서 국가의 개념 고구려/고려(-)|조선조의 기록물|새로운 국가 개념의 시작| 취약한 국가 전통과 국가지상주의의 위험 Part 2 주권 4. 근대 유럽사에서 주권 개념의 형성 과정 서양 주권이론의 전사|근대적 주권 개념을 위한 준비| 근대 주권이론의 탄생-보댕과 홉스|대외적 주권|근대 국제정치질서에서 최고 규범으로서의 주권 5. 주권 개념의 조선 전래 주권 개념 전래의 의미|김..
중국고대사 - 리펑 지음, 이청규 옮김/사회평론아카데미 추천의 글 5 머리말 6 제1장 서론: 고대 중국과 그 자연 및 문화경계 제2장 중국 복합사회의 발달 제3장 얼리터우와 얼리강: 초기 국가의 확대 제4장 안양과 그 주변: 상과 당대 청동기 문화 제5장 비밀스런 갑골문에 균열 내기: 상 후기의 문식성과 사회 제6장 명문화된 역사: 서주 국가와 청동 용기 제7장 패러다임의 창조: 주 왕조의 관료제와 사회 제도 제8장 패자와 무사: 춘추시대의 사회 변모(770-481 BC) 제9장 영토 국가들의 시대: 전국시대 국가의 정치와 제도(480-221 BC) 제10장 정치인 사상가: 최근 발견된 문헌을 통한 조명 제11장 진의 통일과 진 제국: 토용 전사는 누구였는가? 제12장 한 제국의 확장과 정치적 전환 제..
도스토옙스키 탄생 200주년 기념판 세트 - 전8권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지음, 홍대화 외 옮김/열린책들 제3부 009 우리나라에는 실무적인 인물이 없다는 불평이 끊이지 않고 들려온다. 예를 들어 정치하는 사람들이나 장군들, 그리고 언제나 수요를 충족시키고도 남을 만큼 온갖 분야의 경영인들은 많으나 실무적인 사람들은 없다는 것이다. 적어도 모든 사람이 그렇게 불평하고 있다. 몇몇 기차역에는 제대로 된 역무원 하나 없고 어떤 선박 회사에서는 그럭저럭 쓸 만한 간부진을 갖추는 일조차 불가능하다고 한다. 그래서 새로 개설한 어느 철로에서는 기차가 충돌했다느니, 어떤 철교에서는 객차가 떨어졌다는 소리가 들려오고, 기차가 눈 덮인 벌판에서 겨울을 날 뻔했다는 기사를 읽게 된다. 기차가 몇 시간 달리다가 제자리에..
도스토옙스키 탄생 200주년 기념판 세트 - 전8권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지음, 홍대화 외 옮김/열린책들 제1부 009 날씨가 풀린 11월 말의 어느 날 아침 9시경, 페테르부르크와 바르샤바 간 왕복 열차가 힘차게 연기를 내뿜으며 페테르부르크를 향해 달리고 있었다. 습한 대기에 안개가 자욱이 끼어 겨우 날이 밝았다는 것을 알아차릴 정도여서, 철길 양 옆으로 열 발짝 정도만 벗어나도 무엇이 있는지조차 차창을 통해서는 식별하기 힘들었다. 승객들 중에는 외국에서 돌아오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그리 멀지 않은 곳에서 들어오는 평범한 사람들이나 상인들이 탄 삼등칸이 더 붐볐다. 열차가 이곳까지 도달했을 때는 흔히 그러하듯 모두들 지칠대로 지쳐 밤사이에 무거워진 눈꺼풀을 껌벅이며 추위에 몸을 떨고 있었고, 사람들의 ..
가르침과 배움 - 조지 스타이너 지음, 고정아 옮김/서커스(서커스출판상회) 감사의 말 들어가는 글 01 영속하는 근원 02 불의 비 03 마그니피쿠스 04 사상의 스승들 05 본국에서 06 늙지 않는 지성 맺음말 + 선생님께서 2021.11.30부터 2022.07.22까지 「강유원의 북리스트」에 올리신 《가르침과 배움》을 들으면서 책을 함께 읽었다. 강유원의 북리스트 | 가르침과 배움 2021.11.30~2022.07.22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 강의 - 가토 신로 지음, 장윤선 옮김/교유서가 머리말 1강 『고백록』이라는 책: 오늘날 아우구스티누스를 배우는 의의 2강 제1권 도입부의 두 행에 대해: 『고백록』의 구성과 해석상의 문제 3강 ‘거대한 존재’: 『고백록』 도입부(I, i, 1)의 해석 4강 제1권 2~6장 5강 회심의 과정(이향離向과 귀향歸向): 이향(aversio)의 과정 6강 이향(aversio)의 요소들 7강 귀향(conversio)의 과정과 요소들 8강 플라톤 철학과의 만남 (7권) 9강 회심의 성취, 정원 장면, ‘톨레 레게’ (8권) 10강 구원의 평안함, 카시키아쿰 (9권 1) 11강 구원의 평안함, 어머니의 죽음 (9권 2) 12강 메모리아 안에서의 신의 장소 탐구 (10권 1) 13강 메모리아 안에..
도덕경제학 - 새뮤얼 보울스 지음, 최정규 외 옮김/흐름출판 한국 독자들에게 | 자유주의의 종말 서문 1장 호모 이코노미쿠스, 무엇이 문제인가? 2장 부정직한 자들을 전제로 한 법질서 3장 도덕감정과 물질적 이해관계 4장 정보로서의 인센티브 5장 자유주의 시민문화 6장 입법자의 딜레마 7장 아리스토텔레스적 입법자가 해야 할 일 부록 1 가산적 분리 가능성(Additive Separability), 그리고 그 조건이 위배되는 경우 부록 2 사회적 선호와 인센티브의 효과를 측정하는 데 활용되는 실험실 게임 부록 3 이를렌부슈와 루샬라의 실험(2008)에서 보조금 지급의 총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 부록 4 신뢰와 자유주의적 법치 한국 독자들에게 | 자유주의의 종말 11 자유주의의 위기는 스스로 만들어낸 것입..
세상에서 가장 짧은 미국사 - 폴 S. 보이어 지음, 김종원 옮김/위즈덤하우스 머리말 감사의 말 1장 선사 시대~1763년│아메리카 대륙 발견과 이주 2장 1763년~1789년│독립 전쟁과 헌법 제정 3장 1789년~1850년│새로운 비전, 새로운 위험 4장 1850년~1865년│노예제도와 남북 전쟁 5장 1865년~1900년│산업화와 제국주의적 팽창 6장 1900년~1920년│혁신과 반동 7장 1920년~1945년│강대국의 탄생 8장 1945년~1968년│풍요의 이면 9장 1968년~2011년│계속되는 역사 옮긴이의 말 부록│2011년 이후의 미국 참고문헌 찾아보기 머리맡 미국사를 저술하는 작업을 시작할 정도로 무모한 사람이 맞닥뜨리는 수많은 도전 가운데, 아마도 가장 감당하기 어려운 것은 신화와 선입..
구소수간 : 중국의 대문호 구양수와 소동파의 편지글 - 구양수.소동파 지음, 유미정 옮김/(주)글통 제1장 『구소수간』 여릉 상 1. 매성유에게 보내는 편지[與梅聖兪] 2. 대제 등자경에게 보내는 편지[與滕待制子京] 3. 연서 직방에게 답하는 편지[答連庶職方] 4. 연상 낭중에게 답하는 편지[答連庠郞中] 5. 장직방에게 보내는 편지[與張職方] 6. 왕낭중에게 보내는 편지[與王郎中] 7. 곽형부에게 답하는 편지[答郭刑部] 8. 주직방에게 보내는 편지[與朱職方] 9. 채성부에게 보내는 편지[與蔡省副] 10. 급사 오중부에게 보내는 편지[與吳給事中復] 11. 이유후에게 보내는 편지[與李留後] 12. 왕형공에게 보내는 편지[與王荊公] 13. 두기공에게 보내는 편지[與杜祁公] 14. 정문간공에게 보내는 편지[與程..
예수의 마지막 날들 - 프랑수아 보봉 지음, 김선용 옮김/비아 서문 초판 서문 서론 1. 자료 2. 연구의 방법론적 출발점 3. 사건의 전개 4. 시간과 장소 결론 부록 루가 복음서 22:1-24:53 베드로 복음서 참고문헌 프랑수아 보봉 저서 목록 서문 9 이 책은 수난 사건에 대해 역사적 관점을 취하고 있으나, 해당 주제의 종교적 차원을 무시할 수는 없습니다. 수 세기에 걸친 그리스도교인과 유대인의 격론은 복음서에 들어 있는 수난 이야기를 먹고 자랐습니다. 신약성서의 반反유대주의라는 문제는 이러한 긴장 관계를 더욱 악화시켰지요. 그러나 이 책의 연구 주제가 언제나 첨예한 논쟁거리가 되었다는 사실이 제 열정을 누그러뜨리지는 못했습니다. 오히려, 이러한 사실은 제가 좀 더 정직하고 예리하게 탐구할 수 있..
그리스도교 사상사 - 폴 틸리히 지음, 송기득 옮김/대한기독교서회 독일어판 엮은이의 머리말 영어판 엮은이의 머리말 옮긴이의 말 머리말: 도그마의 개면 제1장 그리스도교 신학의 예비 제2장 학문으로서의 신학의 시작 제3장 서방의 그리스도교적 사고의 발전 제4장 중세교회 제5장 트리엔트회의로부터 현재까지의 로마 가톨리시즘의 발전 제6장 종교 개혁자들의 신학 제7장 종교개혁 이후의 프로테스탄트 신학의 발전 문헌해제 41 우리는 이제껏 '카이로스'의 시대에서 그리스 철학의 부정적 측면을 다루어 왔는데, 거기에는 적극적인 요소도 실재한다. 우리는 먼저 플라톤적 전통을 들 수 있다. 초월의 관념 곧 경험적 현실을 초월한 그 무엇이 존재한다는 사상은 플라톤적 전통에 의해서 그리스도교 신학의 준비를 위해 마련되어진 것..
100대 유물로 보는 세계사 - 닐 맥그리거 지음, 강미경 옮김/다산초당(다산북스) 서문 : 미션 임파서블 013 추천의 글 : 유물로 말하는 세계사 이야기 015 머리글 017 PART 1 우리를 인간으로 만든 것 001. 호르네지테프의 미라 030 002. 올두바이 돌 찍개 037 003. 올두바이 주먹도끼 043 004. 헤엄치는 순록 047 005. 클로비스 창촉 054 PART 2 빙하시대 이후:음식과 성 006. 새 모양 절굿공이 062 007. 아인 사크리 연인상 067 008. 진흙으로 만든 이집트 암소 모형 074 009. 마야의 옥수수 신상 080 010. 조몬 토기 086 PART 3 최초의 도시와 국가들 011. 덴 왕의 샌들 명판 094 012. 우르의 깃발 100 013. 인더스..
도스토옙스키 탄생 200주년 기념판 세트 - 전8권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지음, 홍대화 외 옮김/열린책들 제4부 009 〈내가 아직도 꿈을 꾸고 있는 걸까?〉 라스콜니코프는 다시 한번 이런 생각을 했다. 그는 조심스럽고 미심쩍은 눈으로 뜻 밖의 손님을 찬찬히 뜯어보았다. 「스비드리가일로프 씨라고? 이게 무슨 헛소리야? 그럴 리가 없어!」 마침내 그는 당황하여 큰소리로 외쳤다. 이런 외침을 듣고도 손님은 놀라는 기색이 전혀 없었다. 「나는 두 가지 일 때문에 찾아왔습니다. 첫째로는 오래전부터 당신에 대해, 매우 흥미로울 뿐 아니라 좋은 소문을 많이 들어왔기 때문에 직접 만나고 싶었고, 둘째로는 당신의 누이 동생, 아브도티야 로마노브나와 직접 관련이 있는 한 가지 계획을 어쩌면 당신이 도와줄지 모른다는 생..
도스토옙스키 탄생 200주년 기념판 세트 - 전8권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지음, 홍대화 외 옮김/열린책들 제1부 009 찌는듯이 무더운 7월 초의 어느 날 해 질 무렵, S 골목의 하숙집에서 살고 있던 한 청년이 자신의 작은 방에서 거리로 나와, 왠지 망설이는듯한 모습으로 K 다리를 향해 천천히 발걸음을 옮기고 있었다. 그는 다행히도 계단에서 여주인과 마주치는 것을 피할 수 있었다. 그의 작은 방은 높은 5층 건물의 지붕 바로 아래에 있었는데, 방이라기보다는 벽장 같은 곳이었다. 여주인은 그보다 한 층 아래에 있는 독립된 아파트에서 살고 있었고, 그는 그녀로부터 식사와 하녀를 제공받고 있었다. 그런데 청년은 거리로 나갈 때마다 항상 계단을 향해 문이 활짝 열려 있는 여주인의 부엌 옆을 지나야 했으므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