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 - 하 - 유택화 지음, 장현근 옮김/동과서 Reading_20min_20151214: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下)-49 墨子의 尚賢說(상현론) 尚賢說- 전국 초기 사들은 정무에 참여하고자 하였으나 정권은 대귀족들이 장악하고 있었다. 이에 대한 묵자의 비판- “천척이면 시키고 별다른 이유없이 부귀하고, 얼굴이 곱상하면 시키는 것 親戚則使之 無故富貴 面目佼好則使之”(墨子, 尚賢中)- 용인의 원칙 “능력있는 사람을 씀으로써 다스려진다. 使能以治之”(墨子, 尚賢中)- 상현의 대상은 당시의 지식계층인 士- “현량한 사는 덕행이 두텁고 담론을 잘하며 도술에 박식하다. 이들이야말로 국가의 보배이며 사직의 보좌이다. 賢良之士厚乎德行 辯乎言談 博乎道術者乎 此固國家之珍 而社稷之佐也”(墨子, 尚賢上)-..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 - 하 - 유택화 지음, 장현근 옮김/동과서 Reading_20min_20151207: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下)-48 尚同說과 군주전제주의 義의 본질은 통치질서의 확립- “의는 어리석고 천한 사람에게서 나오지 않는다. 반드시 귀하고 지혜로운 사람에게서 나와야 한다. 義不從愚且賤者出 必自貴且知者出”(墨子, 天志中) 의의 보급수단- “부귀로 앞에서 인도하고 분명한 형벌로 뒤를 이끈다. 富貴以道其前 明罰以率其後”(墨子, 尚同下)- 부귀로써 인민을 부유하게 해야 하고 통치계급은 節用(절용)해야 한다.- 형벌은 선에 대한 상과 악에 대한 벌로써 이루어진다.- 통치자는 ‘가까이 믿는 날개’ 집단을 만들어 한편으로는 백성들의 상황을 이해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를 빌려 권모술수 정치를 행할 수 ..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 - 하 - 유택화 지음, 장현근 옮김/동과서 Reading_20min_20151130: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下)-47 墨子의 兼愛論(겸애론)과 尙同(상동)의 정치론 학파 개술- 묵자는 처음 유가에게서 배웠으나 나중에 유가의 반대자가 되었다.- “묵자는 유자들의 업을 배웠고, 공자의 술을 받아들였다. 墨子學儒者之業 受孔子之術”(淮南子, 要略)(회남자, 요략)- 기율이 엄정한 단체를 설립하였다. 묵자 사후 새로운 수령을 ‘거자’(鉅子)라 불렀고 구성원은 ‘묵자’(墨者)라 불렸다. 이들은 묵자가 죽은 뒤 세 파로 나뉘었다. 이 세 파가 ‘墨子’라는 텍스트에 영향을 끼쳤다.- 1편 ~ 7편: 묵자 사상 개괄 / 尚賢(상현) ~ 非攻(비공)(24편): 묵자의 강의록 / 耕柱, 貴義, 公孟,..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 - 하 - 유택화 지음, 장현근 옮김/동과서 Reading_20min_20151123: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下)-46 자연정치와 이상사회 인성학설- 사람은 자연물과 다른 특정한 형태를 지닌다.- 사람은 주관적 능동성을 지닌다. 이는 자연성과 대립한다.“하늘이 하는 바를 알고, 인간이 하는 바를 알면 최고의 경지이다. 知天之所為 知人之所為者 至矣”(莊子, 內篇, 大宗師)백성들이 편안하게 살게 하려면 “총명한 사람을 발탁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 無擢其聰明”(莊子, 外篇, 在宥) 군주론- 천하는 욕심이 없는 사람에게 위탁하여야 한다.“사람들 가운데 도를 닦는 자만이 항상성이 있다. 항상성이 있는 자는 사람들이 그에게 의지하고 하늘이 그를 돕는다. 사람들이 의지하는 바이므로, 그를 천민이..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 - 하 - 유택화 지음, 장현근 옮김/동과서 Reading_20min_20151116: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下)-45 장자의 사회비판의 기본 - 治人, 治世 및 權力에 비판: 사회비판의 핵심 원칙“다스림은 혼란을 이끈다. (신하로) 북면함은 재앙이며, (군주로) 남면함은 도적이다. 治亂之率也 北面之禍也 南面之賊也”(북면지과야 남면지적야)(莊子, 外篇, 天地) - 心計(심계)와 지식에 대한 비판- 名利에 대한 비판 - 충효와 인의에 대한 비판“도는 (인간의 지혜로) 이를 수 없으며, 덕은 (의식으로) 도달할 수 없다. 인은 (일부러) 하는 것이며, 의는 (눈에 띄게) 판가름하는 것이며, 예는 서로 거짓을 꾸미는 것이다. 道不可致 德不可至 仁可為也 義可虧也 禮相偽也”(莊子, 外篇, 知..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 - 하 - 유택화 지음, 장현근 옮김/동과서 Reading_20min_20151109: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下)-44 장자의 자연주의 정치사상 - 莊子는 모두 33편(내편, 외편, 잡편)- 장자와 전국시대 장자 후학들의 논문모음집- 정치적으로 주제가 되는 사상은 한마디로 인성자연설과 자연주의 정치사상 “중국사상사에서 사람이 자연의 일부분에 속하고 자연계의 한 가지 존재형식이라고 전면적으로 논술한 최초의 저술은 장자로 추정된다.” “한번 음하고 한번 양한 것을 도라 이른다. 一陰一陽之謂道”(일음일양지위도)(周易, 繫辭上)(주역, 계사상) “사람의 생명은 기의 취합이다. (기가) 모이면 생명이 있고, 흩어지면 죽게 된다. 人之生 氣之聚也 聚則為生 散則為死”(莊子, 外篇, 知北遊) 원초..
2014~2018 책읽기 20분 목차를 정리한다. 책읽기 20분 | 2018 책읽기 20분 | 01 복지국가의 정치학 1 책읽기 20분 | 01 복지국가의 정치학 2 책읽기 20분 | 01 복지국가의 정치학 3 책읽기 20분 | 01 복지국가의 정치학 4 책읽기 20분 | 01 복지국가의 정치학 5 책읽기 20분 | 01 복지국가의 정치학 6 책읽기 20분 | 01 복지국가의 정치학 7 책읽기 20분 | 01 복지국가의 정치학 8 책읽기 20분 | 01 복지국가의 정치학 9 책읽기 20분 | 01 복지국가의 정치학 10 책읽기 20분 | 02 급진주의자를 위한 규칙 1 책읽기 20분 | 02 급진주의자를 위한 규칙 2 책읽기 20분 | 02 급진주의자를 위한 규칙 3 책읽기 20분 | 02 급진주의자를 ..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 - 하 - 유택화 지음, 장현근 옮김/동과서 Reading_20min_20151102: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下)-43 양주의 貴己 為我 사상 - “양주와 묵적의 말이 천하에 가득하다. 천하의 말이 양에게 귀결되지 않으면 묵에게 귀결된다. 楊朱 墨翟之言盈天下 天下之言 不歸楊 則歸墨”(양주 묵적지언영천하 천하지언 불귀양 즉귀묵)(孟子, 滕文公下)(맹자 등문공하)- “양주와 묵적의 도가 그치지 않는 한 공자의 도는 드러나지 않을 것이다. 楊墨之道不息 孔子之道不著”(양묵지도불식 공자지도불저)- “양묵에서 떨어질 것을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성인의 제자이다. 能言距楊墨者 聖人之徒也”(능언거양묵자 성인지도야)- 呂氏春秋, 審分覽, 不二(여씨춘추, 심분람, 불이)- “양자는 제 몸을 소중이 여긴..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 - 하 - 유택화 지음, 장현근 옮김/동과서 Reading_20min_20151026: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下)-42 弱用의 術 “되돌아감은 도의 움직임이요, 약한 것은 도의 쓸모이다. 反者道之動 弱者道之用”(반자도지동 약자도지용)(40장)여기서 ‘反’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에 따라 도의 쓸모에 관한 논의가 달라진다. 구체적인 弱用術 - 고요히 지켜봄(靜觀)(정관)- “지극히 텅빈 데 이르고 돈독한 고요함을 지킨다. 致虛極 守靜篤”(치허극 수정독)(16장)- 약함을 지키고 부드러움을 이용함(守弱用柔)(수약용유)- 가득참을 알고 텅빈 데 처함(知盈處虛)(지영처호)- 윗자리에 있으면서 아랫 사람에게 겸손함(居上謙下)(거상겸하)- 다투지 않음(不爭)(부쟁)- 깊이 감추고 드러내지 않음(..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 - 하 - 유택화 지음, 장현근 옮김/동과서 Reading_20min_20151019 :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下)-41 無爲政治 “성인은 무위의 일을 처리하며 말없는 가르침을 행한다. 聖人處無為之事 行不言之教”(성인처무위지사 행불언지교)(노자 2장), 성인은 무위를 행한다.성인은 세 가지를 제거하여야 한다. “지나침을 버리고, 사치스러움을 버리고, 교만함을 버린다. 聖人去甚 去奢 去泰”(성인거심 거사 거태)(29장)구체적으로는 세금을 줄이고 형벌을 줄이고 용병에 신중하고 절약을 숭상한다.“큰 나라를 다스림은 작은 생선을 지지는 것과 같다. 治大國若烹小鮮”(치대국약팽소선)(60장)백성들이 정신생활과 물질생활을 적극적으로 추구하지 못하도록 막는다. 무위와 용병“훌륭한 장수는 용맹을 다..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 - 하 - 유택화 지음, 장현근 옮김/동과서 Reading_20min_20151012: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下)-40 의 무위정치사상 의 주된 공헌은 모순 속에서 유약의 지위와 작용을 밝힌 데 있다. “되돌아옴은 도의 움직임이요, 약함은 도의 쓰임이다. 反者 道之動 弱者 道之用”(반자 도지동 약자 도지용)(노자, 40장) 도의 개념 우주자연관 “물질은 무성하다가 제각기 근원으로 되돌아간다. 근원으로 되돌아감을 고요한 정적의 상태라 한다. 정적의 상태를 제 운명으로 되돌아갔다고 한다. 복명함은 항상 불변함이라고 말한다. 夫物芸芸 各復歸其根 歸根曰靜 是謂復命 復命曰常”(부물운운 각복귀기근 귀근왈정 시위복명 복명왈상)(노자, 16장) 사회인생관 “하늘의 도는 남는 것을 털어 부족한 데를..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 - 하 - 유택화 지음, 장현근 옮김/동과서 Reading_20min_20151005: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下)-39 도가의 여러 정치분파와 각 분파의 주장 공통주장: 無爲以治(무위이치)– 노자라는 책은 陰(음), 柔(유), 弱(약)의 정치적 작용을 전면적으로 논한다.– 楊朱(양주)는 개인의 자주와 독립을 강조하여 정치적 간섭이 적을수록 좋다고 한다.– 장자와 그 후학들은 사람의 본성이 자연적인 것이며, 자연성과 인간의 사회성이 서로 대립한다고 주장한다.– 관자의 법가학파에서는 하늘과 사람이 모두 자연의 과정이므로 하늘에 순응해야 하고, 특히 통치자의 주관적 행위가 자연과정에 부합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老子乙本卷前古佚書(노자을본권전고일서)에는 정치에 가장 열성적인 내용이 들어있..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 - 하 - 유택화 지음, 장현근 옮김/동과서 Reading_20min_20150928: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下)-38 道家의 自然本位 政治思想 의 無爲정치사상楊朱(양주)의 貴己(귀기) 정치주장의 자연주의 정치사상馬王堆(마왕퇴) (노자을본권전고일서)에 나타난 黃老정치사상 텍스트들 – 王弼本 老子(왕필본 노자)– 馬王堆 漢墓 (마왕퇴 한묘) 출토(1973년 발굴) ‘帛書本 老子’(백서본 노자)– 郭店楚墓竹簡本(곽점초묘죽간본)(1993년 발굴) ‘楚簡本 老子’(초간본 노자) 곽점초묘죽간본 연구서들 진고응(陳鼓應), 老子今註今譯及評介최재목/박종연(옮김), 진고응이 풀이한 노자이케다 도모히사(池田知久), 郭店楚簡老子の新研究최재목, 노자 도가개술 – “선진시대에는 ‘도가’라는 명칭이 없었다...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 - 상 - 유택화 지음, 장현근 옮김/동과서 Reading_20min_20150921: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上)-37 重臣(중신)의 억제 – 시대적 배경: 전국시대 말기는 상층부의 권력투쟁시기였다는 점– 군주와 대신의 관게는 호랑이와 승냥이의 관계이거나 이해타산의 관계이다.“신하에 대한 사랑이 너무 친밀하면 제 몸을 위협받게 되며, 신하의 권한이 너무 무거우면 필경 군주의 지위가 바뀌게 된다. 愛臣太親 必危其身 人臣太貴 必易主位”(韓非子, 愛臣) 중신을 억제하는 근본 목적은 ‘强幹弱枝’(근본을 강하게 하고 지엽적인 것은 약화시키는 것)에 있다.“일은 사방에 있으나 핵심은 중앙에만 있다. 성인이 핵심을 잡으면 사방에서 모여들어 본받는다. 事在四方 要在中央 聖人執要 四方來效”(韓非子,..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 - 상 - 유택화 지음, 장현근 옮김/동과서 Reading_20min_20150914: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上)-36 한비자의 勢·法·術 “군주의 큰 신물은 법 아니면 술이다. 人主之大物 非法則術也”(韓非子, 難三)“세는 대중을 이기는 자원이다. 勢者 勝眾之資也”(韓非子, 八經)“세가 중요한 것은 군주의 발톱과 이빨이기 때문이다. 勢重者 人主之爪牙也”(韓非子, 人主) 勢 자연의 세: 기존의 객관적 조건 아래에서 권력을 장악하고 그것을 운용하는 것인위의 세: 가능한 조건에서 능동적으로 권력을 운용하는 것 — 진정한 세인위의 세는 두 가지 함의를 포괄한다. 1)총명지세: 천하의 총명을 자신의 총명으로 잘 변화시키고 천하의 이목이 자신의 이목이 되게 해야 한다. 2) 위엄지세: “위엄이..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 - 상 - 유택화 지음, 장현근 옮김/동과서 Reading_20min_20150907: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上)-35 한비의 군주절대 전제주의 정치사상 역사의 종적 횡적 관계로부터 국가의 흥망성쇠를 사색하였다.“지난날 득실의 변화를 관찰 觀往者得失之變”(司馬遷, 史記, 老子韓非列傳)“인의를 사모하여 허약하고 혼란에 빠진 나라가 3진이요, 그러한 것을 그리워하지 않아 질서가 잘 잡히고 강해진 나라가 진이다. 夫慕仁義而弱亂者 三晉也 不慕而治強者 秦也”(韓非子, 外儲說左上)“법을 받드는 사람이 강하면 그 나라는 강하고, 법을 받드는 사람이 약하면 그 나라는 약하다. 奉法者強則國強 奉法者弱則國弱”(韓非子, 有度) 정치사상의 이론 기초 1. 역사진화설물질적 생활조건이 사람들의 도덕정신을 규..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 - 상 - 유택화 지음, 장현근 옮김/동과서 Reading_20min_20150831: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上)-34 商君書(상군서)의 경전사상 경전사상 “국가는 농전을 통하여 안정되며, 군주는 농전을 통하여 존엄해진다. 國待農戰而安,主待農戰而尊”(商君書, 農戰)백성을 농경과 전쟁으로 이끌고 가는 핵심적인 요소는 ‘利’이다. “농사로 마음을 귀결시키면 백성들은 투박해지고 바르게 이끌 수 있다. 순박하므로 쉽게 부릴 수 있으며 믿음이 있어 전쟁을 완수할 수 있다. 歸心於農 則民樸而可正也 紛紛 則不易使也 信可以守戰也”(商君書, 農戰) 定分尙公(정분상공)(명분의 획정과 공의 숭상) “명분이 획정되면 반드시 다스려지는 길을 간다. 명분이 정해지지 못하면 반드시 혼란의 길을 간다. 名分定 ..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 - 상 - 유택화 지음, 장현근 옮김/동과서 Reading_20min_20150824: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上)-33 상군서 정치사상의 기초 원리 1. 역사의 문제 공자, “郁郁乎文哉 吾從周”(욱욱호문재 오종주)(論語, 八佾) 上世, “친족끼리 가깝고, 사적 관계를 좋아한다. 上世親親而愛私”(商君書, 開塞)中世, “현인을 숭상하고 인이 강조된다. 中世上賢而說仁”下世, “고귀한 사람을 소중히 여기고 관리를 존중한다. 下世貴貴而尊官” 하세에는 성인이 제도의 정립을 자신의 임무로 삼는다. 토지·재화·남녀의 구분을 짓는다. 구분을 보장하기 위해서 금하는 바를 세워[立禁], 제도를 수립한다. 제도가 있으면 반드시 집행할 사람이 필요하므로 관을 세운다.[立官] 관리가 통일되지 않으면 혼란에 ..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 - 상 - 유택화 지음, 장현근 옮김/동과서 Reading_20min_20150817: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上)-32 商君書(상군서)의 경전(耕戰)과 법치사상 “이전 세상들의 가르침이 모두 같지 않았는데, 옛날의 무슨 법을 본받는단 말인가. 성왕들이 (옛 예법을) 서로 회복하지 않았는데 무슨 예를 따른단 말인가. 前世不同教 何古之法 帝王不相復 何禮之循”(商君書, 更法) “세상을 다스리는 데 한 가지 방법만 있는 것이 아니며, 나라를 편안케 하는 데 옛 것을 본받을 필요가 없다. 治世不一道 便國不必法古”(商君書, 更法) 商鞅(상앙) 변법의 주요 내용 1. 토지를 농민에게 수여하는 授田制(수전제) — 국가가 세금을 직접 징수2. 출신성분을 가리지 않고 오로지 군공에 의해 직위와 상을 ..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 - 상 - 유택화 지음, 장현근 옮김/동과서 Reading_20min_20150810: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上)-31 申不害(신불해)의 術治(술치)사상 신도가 세에 치중했다면, 신불해는 술에 치중했으며, 商鞅(상앙)은 법에 치중했다. 술이란 무엇인가 “술이란 맡은 바에 따라 관직을 수여하고, 이름에 따라 실적을 규명하며, 생사의 칼자루를 쥐고 뭇 신하의 능력을 매기는 것으로 이는 군주가 잡아 가지고 있어야 할 바이다. 術者(술자),因任而授官 循名而責實 操殺生之柄 課群臣之能者也 此人主之所執也”(韓非子, 定法) 술은 법과 다르다. 법의 대상은 전체 인민이지만 술의 대상은 관리와 신료이다. 법은 군주와 신하가 공히 지켜야 하지만 술은 군주가 홀로 잡고 있다. 법은 명확한 규정이고 술은 ..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 - 상 - 유택화 지음, 장현근 옮김/동과서 Reading_20min_20150803: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上)-30 愼到(신도)의 勢·法·術사상 漢書(한서) 藝文志(예문지)에 따르면 “이름은 도이며, 신불해와 한비자보다 앞선 인물로 신과 한이 그를 칭송하였다”고 한다. 철학적으로는 도가에 속하지만 정치사상으로 본다면 법가의 중요한 대표인물이다. 오늘날 통용되는 그의 저술 愼子(신자)는 일곱편과 여러 책에서 인용된 글들만 남아있다. 이 책에서 그는 세를 강조하기도 하고 법을 숭상하기도 한다. 일부에서는 술을 말하기도 한다. 세, 법, 술 세 요소가 모두 구비되어 있다.‘군주는 일이 없고 신하는 일이 있다’ — 신하제어술 “법을 숭상하고 현인을 숭상하지 않음 尙法而不尙賢”(상법이불상..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 - 상 - 유택화 지음, 장현근 옮김/동과서 Reading_20min_20150727: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上)-29 愼到(신도)의 勢·法·術사상 勢·法·術사상 漢書(한서) 藝文志(예문지)에 따르면 “이름은 도이며, 신불해와 한비자보다 앞선 인물로 신과 한이 그를 칭송하였다”고 한다. 철학적으로는 도가에 속하지만 정치사상으로 본다면 법가의 중요한 대표인물이다. 오늘날 통용되는 그의 저술 愼子(신자)는 일곱편과 여러 책에서 인용된 글들만 남아있다. 이 책에서 그는 세를 강조하기도 하고 법을 숭상하기도 한다. 일부에서는 술을 말하기도 한다. 세, 법, 술 세 요소가 모두 구비되어 있다. “세를 중시[貴勢](귀세)하면서도 독단에 빠지지 않았으며, 법을 숭상[尙法](상법)하면서도 가혹한 ..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 - 상 - 유택화 지음, 장현근 옮김/동과서 Reading_20min_20150720: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上)-28 法家의 法(법)·勢(세)·術(술) 중심의 정치사상법가의 기원문제1) 漢書(한서) 藝文志(예문지): 법가는 이관, 즉 사법관에서 나왔다고 주장 2) 劉劭(유소), 人物志(인물지), 流業(유업) 편: “법과 제도를 건립하고 군대를 부강하게 하는 것을 법가라 일컫는다. 관중과 상앙이 그들이다.” 3) 李悝(이리)에서 비롯하였다는 설 법가 사상의 특징1) 법의 작용을 특별히 강조. 법은 시대에 따라 변해야 한다는 것, 즉 변법을 강조함으로써 법과 시대적 요구를 부합시키려 하였다. 입법의 근거로는 다음 다섯 가지를 고려해야만 한다. 順天道(순천도)(하늘의 도에 순응하였는가)..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 - 상 - 유택화 지음, 장현근 옮김/동과서 Reading_20min_20150713: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上)-27 周禮(주례) 중의 국가 체제 사상문헌 성립 사정- 西漢 河間獻王 劉德(서한 하간헌왕 류덕)이 민간에서 수집해온 고서. 국가체제와 관리의 직무에 관한 내용.- 관리를 6대 계통(天官冢宰 地官司徒 春官宗伯 夏官司馬 秋官司寇 冬官考工記)(천관총재 지관사도 춘관종백 하관사마 추관사구 동관고공기)으로 나누고 이 관제를 이용하여 각종 제도와 연계시킨다.- 서주 초기 周公이 ‘制禮作樂’(제례작악)하여 얻어진 것이라 전해진다.- 전국시대 이후의 작품으로 보는 것이 사실에 가깝다.- 국가체계에 관한 설계도이며, 그 가운데 수많은 고대 자료가 흡수되어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어..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 - 상 - 유택화 지음, 장현근 옮김/동과서 Reading_20min_20150706: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上)-26 應變政治(응변정치)- 역의 가장 현저한 특징은 변화를 연구한다는 것이다.- “문을 닫으면 (고요하고 어두우니) 곤이라 일컫고, 문을 열면 (밝고 적극적이니) 건이라 부른다. 문을 열고 닫는 행동에 따라 (음이 되었다 양이 되었다 하므로) 이를 변이라 일컫는다. (음양의 변화가) 무궁무진 내왕하니 이를 통이라 부른다. 闔戶謂之坤 闢戶謂之乾 一闔一闢謂之變 往來不窮謂之通”(周易, 繫辭上)- “궁하면 변하고, 변하면 통하며, 통하면 영원하다. 窮則變 變則通 通則久”(궁즉변 변즉통 통즉구)(周易, 繫辭下) 應變의 의미- 시대에 대한 순응- “군자는 역을 정리해 때를 밝힌다...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 - 상 - 유택화 지음, 장현근 옮김/동과서 Reading_20min_20150629 :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上)-25 易傳(역전)의 應變(응변)정치사상- 역전은 주역을 해석한 책- 7종으로 총 10편이 있으므로 ‘十翼’(십익)이라고도 불린다. 7종은 다음과 같다.– 彖傳(단전): 상·하로 나뉘며 64괘의 괘명과 괘사를 분석– 象傳(상전): 상·하로 나뉘며 괘의 의의를 해석 괘상(괘의 모양)을 해석하므로 상전이라 한다.– 文言(문언): 乾과 坤 두 괘에 관한 설명– 繫辭(계사): 상·하로 나뉘며 역경의 통론으로 경전의 의의와 기능을 설명. 점치는 법과 우주의 기원도 논의– 說卦(설괘): 八經卦(팔경괘)(건乾, 태兌, 이離, 진震, 손巽, 감坎, 간艮, 곤坤)가 그려내는 사물에 대한..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 - 상 - 유택화 지음, 장현근 옮김/동과서 Reading_20min_20150622 :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上)-24 간략한 소개와 논어를 읽는 방법 양자오(지음), 논어를 읽다 - 공자와 그의 말을 공부하는 법(유유출판사, 2015) 지난 주에 논어에 관한 책이 출간된 것이 있어서 다루어 보려고 한다. 양자오 교수가 쓴 《논어를 읽다》를 가지고 이야기하려고 한다. 양자오가 쓴 책들이 많이 출간되어 있다. 우선 양자오라는 사람이 중국고전을 읽다라는 시리즈로 강의를 계속하고 있는데 자기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역사적 독법이라고 말을 한다. 고전을 그 시대의 원래 배경에 놓고 그 시대의 보편 관점을 무시하지 않고 일단 이해하려고 하는 것이 역사적 독법이다. 원래 태어난 역사적 배경..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 - 상 - 유택화 지음, 장현근 옮김/동과서 Reading_20min_20150615 :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上)-23 荀子의 정치사상 순자 정치사상 총결– 성악론과 인성개조론은 정치사상의 이론적 기초이다.– 외부에 인위적인 규범기준을 둔다. 여기서 인위는 일종의 제도이고, 이런 점에서 순자는 공자의 도덕사상과 구별되는 현실적인 의미에서의 정치사상을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사 이상은 반드시 예와 악으로 조절하고, 민중 백성은 반드시 법률조문으로 통제한다. 由士以上則必以禮樂節之 衆庶百姓則必以法數制之”(유사이상칙필이예악절지 중서백성칙필이법수제지) (荀子, 富國)(부국) 순자의 예치는 좁은 의미의 예와 좁은 의미의 법을 통합한 것으로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 모두를 아우르는 정치사상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