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몽유병자들》를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2.13 몽유병자들(마지막) 오늘은 《몽유병자들》 마지막 시간이다. 자기가 읽고 듣고 한 것들은 어딘가에 축적이 된다. 그리고 오래 전에 읽었던 책을, 원전 텍스트를 다시 읽어보면, 꾸준히 어려운 책을 계속 읽으면 안보이던 것이 보고 글의 이치를 느끼게 된다. 오늘은 543페이지 발칸 개시 시나리오, 남성성의 위기, 미래는 얼마나 열려 있었나, 이 부분은 얼마 안되는 분량인데 카드로 만들어 놓아야 하는 부분이 많다. 발칸 개시 시나리오에서 중요한 핵심은 무엇인가. 《몽유병자들》 전체의 내용이 사실 '20세기 읽기'에서 읽고 있..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정치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2.09 정치철학(43) #Miller 51쪽 공동체주의라고 하는 것, 아나키즘을 정치적 권위가 없는 사회의 하나의 사례로서 이야기하는데 근본적으로 어제 《버마 고산지대의 정치 체계》를 소개하면서 이야기했듯이 그것을 생각하고 읽어야 한다. 이 책 《정치철학》에서 정치적 권위가 없는 사회의 사례로 원시사회 등을 거론하고 있는데 정치적 권위가 없는 사회는 없다. 사회라고 하는 것 다시말해 아주 조밀한 혈연집단, 하나의 가족을 제외한 혈연집에서는 정치적 권위라고 하는 것이 아예 발견되지 않는다는 사례라는 것은 경험적인 연구로 이미 논..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몽유병자들》를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2.07 몽유병자들(33) ━ 제2부 6장 데탕트와 위험, 구조적인 적대감과 동맹블록 《몽유병자들》 제6장 마지막 기획: 데탕트와 위험, 1912~1914을 읽는다. 제6장을 읽으면 《몽유병자들》을 다 읽는 셈이다. 《몽유병자들》을 다 읽고나면 《사회사상의 역사》를 읽을 것이다. 제6장은 마지막 기획: 데탕트와 위험인데 여기에 들어있는 섹션들이 데탕트의 한계, '지금이 아니면 안된다’, 보스포루스의 독일인들, 발칸 개시 시나리오, 남성성의 위기, 미래는 얼마나 열려 있었나로 이루어져 있다. 오늘은 데탕트의 한계부터 보스포루스의..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정치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2.06 정치철학(42) #Miller 51쪽 51 국가 없는 삶에 대한 이런 목가적인 그림[국가 없는 소박한 삶에 대한 그림]에서 어디가 잘못되어 있을까? 26 What is wrong with this idyllic picture of life without the state? 51 하나의 주된 문제는 그것이 사회질서를 위한 토대로서 작고 긴밀하게 조직된[작고 꽉 짜여진] 공동체에 의거한다는 점이다. 26 One major problem is that it relies on small, tight-knit communitie..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정치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2.01 정치철학(41) #Miller 50쪽 공동체주의적인 아나키스트는 먼저 공동체가 있고, 그리고 그런 공동체들로 이루어진 사회가 있다. 그리고 그러한 사회가 있으면 훨씬 더 큰 규모로 협조가 가능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 부분을 조금 주해를 해보자면 아나키스트는 공동체주의적인 아나키스트가 있고 시장 아나키스트가 있다고 말하는데, 앞서서 내용상 크게 다르지 않다. 동일한 사태를 이쪽 측면과 저쪽 측면을 본 것일 뿐이지 특징적으로 구별되지 않는다고 말한 바 있다. 왜 그러한가 하면 공동체들로 이루어진 사회가 있다고 할 때 서비..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몽유병자들》를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1.30 몽유병자들(32) ━ 제2부 5장 오스트라이의 곤경 《몽유병자들》 제5장을 끝까지 읽는다. 오스트라이의 곤경, 프랑스-러시아 동맹 이런 것들에 대해서 다루고 있는데 여기에는 역사적으로 벌어진 사건들을 세세하게 서술하고 있는 부분이 꽤 많이 차지하고 있다. 우리가 국제관계론의 관점에서 제2부를 읽고 있기 때문에 그것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사건들이 어떻게 벌어지고, 역사책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내용들이 있다. 그것들은 조금 논외로 두고 핵심적인 부분만 몇 가지 짚어보겠다. 제1차, 제2차 발칸전쟁을 겪으면서 오스트리아가 ..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정치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1.27 정치철학(40) #Miller 50쪽 50 공동체주의적인 아나키스트는 이와 같은 공동체들로 이루어진 사회에서 협조가 훨씬 더 큰 규모로 가능할 것이라고 주장한다[논증한다]. 25 Communitarian anarchists argue that, in a society made up of communities like this, cooperation will be possible on a much larger scale. 존 모나한, 피터 저스트, 《사회문화인류학》을 읽어보면 코뮤니테리안 아나키스트들을 논박할 수 있다. ..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정치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1.17 정치철학(39) #Miller 49쪽 49 여기서 우리가 취할 수 있는 두 가지 상이한[서로 다른] 방향이 존재한다[있다]. 아나키스트들 자신은 대체로 두 진영으로 나뉜다. 한쪽은 공동체를 지향하며, 다른 한쪽은 시장을 지향한다. 25 There are two different directions we might take here: anarchists themselves fall broadly into two camps. One points towards community, the other towards the mar..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정치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1.17 정치철학(38) #Miller 49쪽 49 그러나 권력이[권위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 좀더 자세히 살펴보기 전에, 우리는 잠시 멈추어 '자연 상태'에서 벗어날 다른 방도가 있는지 알아보아야 한다. 23 But before looking more closely at how authority should be constituted, we should pause to see whether there is any other way to escape the ‘natural condition’. 49 홉스가 말하는 모든 것에..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몽유병자들》를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1.16 몽유병자들(31) ━ 제2부 5장 얽히고설킨 발칸, 불가리아야 세르비아냐, 권력정치 《몽유병자들》 제5장 불가리아야 세르비아냐를 읽는다. 구체적인 내용은 별로 그렇게 신경 쓸 필요는 없는데 몇가지 시사점들이 있다. 요즘에 《동아시아 근현대통사》를 읽으면서 이 시기가 맞물리는 지점이 있다. 20세기에 들어서는, 1800년대에서 1900년대로 들어서는 지점에서. 불가리아야 세르비아냐, 우리에게 제1차 세계대전과 관련해서 세르비아는 중요한 나라로 기억되고 있는데, 불가리아는 그렇게 기억되고 있는 나라는 아니다. 그런데 지도..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정치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1.12 정치철학(37) #Miller 47쪽 47 홉스는 모든 사람이 함께 모여 그날부터 그들을 통치할 주권자[주권]를 세우기로 서로 계약[신약]을 맺는 것을 상상했다[구상했다]. 23 Hobbes envisaged everyone gathering together and covenanting with one another to establish a sovereign who would rule them from that day forward; 홉스에서는 covenant와 contract가 구별된다. 그리고 서양철학뿐만 아니라 ..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몽유병자들》를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1.10 몽유병자들(30) ━ 제2부 5장 얽히고설킨 발칸, 리비아공습과 유럽 열강의 표준 관행 지난주 《몽유병자들》제5장의 머리말에 해당하는 부분을 읽었다. 오늘은 지난 번에 읽은 것에 이어서 리비아공습, 이게 이탈리아-리비아 전쟁 또는 이탈리아-튀르크 전쟁이다. 그 다음에 이어지는 것이 발칸난투극, 갈팡질팡 즉 385페이지부터 429페이지까지를 사태의 전개에 관련되는 것들을 생략한 채 큰 줄기를 잡아서 이 지점에서 무엇을 우리가 주목할 필요가 있는가를 보면서 좀 보겠다. 왜냐하면 지금 "1914년을 앞둔 수년간 근본적인 변..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정치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1.09 정치철학(36) #Miller 47쪽 47 인간의 본성[인간 본성]은 홉스가 묘사하는 것과 같은 게 아니다. 23 Human nature is not as Hobbes portrayed it. 47 그러나 어느 면에서 이 견해는 요점을 놓치고 있다. 23 But in a way this misses the point. 47 비록 홉스가 인간의 본성에 대해 다소 낮게 평가했다 하더라도(그는 언젠가 거지에게 돈을 줄 수밖에 없었는데, 그렇게 한 것은 다만 거지를 바라보는 불편함을 덜기 위해서일 뿐이라고 설명해야 했다), 그..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정치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1.04 정치철학(35) #Miller 46쪽 skill은 대개 기술이라고 번역하는데, 기술이라는 뜻을 가진 단어가 technic도 있다. 그런데 technical는 기술적인, 그런데 skillful은 능숙한으로 번역하는 것이 적당하다. 어떤 단어가 명사로 보면 비슷한 것 같아도 형용사로 쓰일 때를 보면 본래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잘 알 수 있다. skill은 좋은 의미에서 '요령'이다. skill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상황에 따른 대처능력을 말하는 것이다. 46 홉스의 비관주의는 정당한 것이었을까[정당화될 수 있을까]..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몽유병자들》를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1.03 몽유병자들(29) ━ 제2부 5장 얽히고설킨 발칸, 지정학적 균형 체제의 붕괴와 리비아 공습 오늘은 《몽유병자들》은 제2부의 제5장 얽히고설킨 발칸을 읽는다. 발칸 문제는 읽어보면 알겠지만 발칸 문제라고 하는 것은 꼭 제1차세계대전과만 관계되는 것이 아니라 오늘날 세계정세에도 항상 발칸 문제라고 하는 것이 얽혀있다. 오늘 읽을 부분은 리비아공습이다. 여기보면 '터키해협 문제'라는 것이 있다. 별거 아닌 것 같은데 중요한 문제라는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터키해협 문제, 동방 문제라는 용어들은 국제정치학에서 일상적으..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정치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2.12.23 정치철학(34) #Miller 45쪽 45 홉스가 이런 비관주의적 결론에 도달한 것은 사람들이 본성상 이기적이거나 탐욕스러우며, 따라서 정치권력에 의해 제약받지 않으면 자신들을 위해 가능한 한 더 많이 움켜쥐려고 할 것이라는 그의 믿음 때문이라고 자주 언급되었다. 22 It is sometimes said that Hobbes reaches this pessimistic conclusion because of a belief that people are naturally selfish or greedy, and will..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정치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2.12.16 정치철학(33) #Miller 45쪽 45 그러한 상태에서 노력을 위한 여지는 없다. 그 열매가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토지의 경작이 없다. 항해도, 해상으로 수입될 수 있는 재화들의 사용도 없다. 편리한 건물도 없다. 이동의 도구도 없고, 많은 힘을 필요로 하는 것들을 움직일 도구도 없다. 지표면에 대한 지식도 없고, 시간 계산도 없다. 학예도 없고, 문자도 없고, 사교도 없다. 그리고 가장 나쁜 것은 지속되는 두려움과 폭력에 의한 죽음의 위험이다. 그래서 인간의 삶은 고독하고 가난하고 역겹고 잔인하며 짧다. 2..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몽유병자들》를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2.12.19 몽유병자들(28) ━ 제2부 5장 얽히고설킨 발칸, 3차 발칸전쟁에서 세계대전으로 오늘은 《몽유병자들》은 제2부의 제5장 얽히고설킨 발칸을 읽는다. 384페이지에 나온 것처럼 “1차 세계대전은 3차 발칸전쟁에서 세계대전으로 확대되었다. 이것이 어떻게 가능했을까?" 1차 세계대전이라고 하는 것에 직접적으로 선행하는 전쟁이 3차 발칸전쟁이다. 384~385페이지 한 문단이 제5장에 나와있는 내용 전체를 집약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말하자면 introduction을 써놓고 여기에 있는 내용을 상세하고 논의하고 있는 것이 제5..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정치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2.12.16 정치철학(32) #MIller 44쪽 44 그러나 먼저 이전의 다른 사람들이 그러했듯이, 독자들에게 국가가 존재하지 않는 사회[인간집단]에서의 삶을 상상해보라고 함으로써 정치권력을 변호[옹호]하고자 한다. 21 but first I am going to defend political authority, as others have before me, by asking the reader to imagine life in society without it - 여기서 society는 시민사화, 경제적 활동이 이루어지는 영역을..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몽유병자들》를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2.12.13 몽유병자들(27) ━ 탕헤르 위기(1차 모로코 위기)와 아가디르 위기(2차 모로코 위기) 오늘 《몽유병자들》은 제2부의 제5장 얽히고설킨 발칸을 하려고 했는데, 모로코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지난 주까지 읽었던 제4장 유럽 외교정책의 뭇소리를 보면 모로코 이야기가 나온다. 사실은 263페이지 제3장을 보면 모로코 위기가 사실 두 번에 걸쳐서 있다. 1905년에 있고, 아가디르 위기는 1911년이다. 263페이지를 보면 "1905년 1월 초 프랑스 대표단이 모로코 내륙 도시 페스를 방문해 모로코 군대와 경찰에 대..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정치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2.12.12 정치철학(31) #MIller 43쪽 43 그래서 정치권력[정치적 권위]은 엄밀한 의미에서의 권위 [권위 그 자체]와 강제되는 준수를 결합한다. 21 Political authority, then, combines authority proper with forced compliance. [정치권력은 엄밀한 의미에서의 권위 [권위 그 자체]와 강제되는 준수를 결합한 것이다.] 권위는 추상적인 것까지도 포함한다. 종교적 권위 Religious authority, 지적 권위 Intellectual authority. 그런데 ..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정치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2.12.07 정치철학(30) #MIller 42쪽 42 국가가 정치권력[정치적 권위]을 행사한다고 할 때, 그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20 When we say that the state exercises political authority, what do we mean? 42 정치권력[정치적 권위]에는 두 측면이 존재한다. 한편으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그것을 권위로서, 바꿔 말하면[달리 말해서] 사람들에게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명령할 권리를 가지는 것으로서 인식[인정]한다. 20 Political authority has t..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몽유병자들》를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2.12.06 몽유병자들(26) ━ 군인과 민간인, 언론과 여론, 마지막으로 권력의 유동성 《몽유병자들》을 읽는다. 이번주에는 제4장 유럽 외교정책의 뭇소리에서 군인과 민간인, 언론과 여론, 마지막으로 권력의 유동성을 읽는다. 군인과 민간인의 관계가 어떠했는가를 유럽의 여러 나라들 각각의 사례들을 설명하고, 언론과 여론에 대해서 유럽 여러 각국들은 어떤 식으로 반응했는가를 설명하고 마지막에 정리해서 권력의 유동성이라고 하는 부분으로 집약시키고 있다. 권력의 유동성 부분은 주목해 볼만한 부분이다. 일본의 천황제 파시즘이 전개되는 과정..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정치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2.12.05 정치철학(29) #MIller 42쪽 42 그러나 처음에 서유럽에서, 그리고 다음에는 그 밖의 거의 모든 곳에서 근대 국가가 출현함으로써 정치권력[정치적 권위]의 문제가 지난 500년 동안 정치철학자들을 사로잡게 되었다. 20 The emergence of the modern state, however, first in Western Europe, and then almost everywhere else, has meant that the problem of political authority has preoccupie..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몽유병자들》를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2.11.29 몽유병자들(25) ━ 러시아, 프랑스, 독일, 영국의 의사결정구조 《몽유병자들》을 읽는다. 《몽유병자들》 제2부 분열된 대륙은 3,4,5,6장 이렇게 4개의 장으로 되어있는데, 3장은 유럽의 양극화로 지난번에 읽었고, 4장은 유럽 외교정책의 뭇소리이다. 여기서 주권을 쥔 의사결정자들은 지금 유럽에서 아직은 군주들이 의사결정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주권자들이라는 것이고,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는 누가 통치했는가, 파리에서는 누가 통치했는가, 베를린에서는 누가 통치했는가이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는 누가 통치했는가는 러시아..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정치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2.11.28 정치철학(28) #MIller 41쪽 41 인류 역사의 관점에서 보면 이것은 아주 최근의 현상이다. 19 Looked at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history, this is a very recent phenomenon. 이것이라고 하는 것은 국가가 등장해서 국가에 살고 있는 사람들, 일반적으로 국민이라고 불린다, 시민, 주민, 국민이라고 하는데 기본적인 개념을 다루는 책을 읽을 때는 개념을 정확한 번역어와 정확한 용어를 가지고 사용하는 것이 좋다. 41 인간사회는 대개 훨씬 더 작은 규..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정치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2.11.23 정치철학(27) #MIller 40쪽 2장 정치권력 Political authority Political authority는 정치 권위라고 번역하는 것이 옳다. 권력은 power라고 해야 하고, 권위는 authority라고 번역해야 한다. 권력을 행사하는 힘, 물리적인 힘을 행사하는 힘이 권위이다. 40 만약 누군가가 오늘날 우리는 우리 자신을 어떻게 다스리는가[지배하는가, 통치하는가]━우리는 어떤 제도하에서 함께 사회생활을 하는가[우리는 어떤 질서 아래에서 함께 집단생활을 행위하는가]━묻는다면, 우리의 삶에 영향을 끼..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몽유병자들》를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2.11.22 몽유병자들(24) ━ 주권을 쥔 의사결정자들, 영국, 독일, 러시아 군주국의 세 가지 판이한 유형 《몽유병자들》을 읽는다. 지난 번에는 281페이지에 있는 앙리 메이어가 그린 그림을 길게 설명을 했었다. 그 그림이 1898년에 나온 것이다. 그 그림에 있는 내용이 《동아시아 근현대통사》에 있다. 2장 러일전쟁과 한국병합의 75페이지에 있다. 요즘에 우리가 《몽유병자들》을 읽고 있는 이 부분과 《동아시아 근현대통사》의 1장, 2장의 내용이 겹치는 부분이 있다. 유럽 쪽에서 이 사태를 보고 있는 것과 지금 동아시아에서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