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의 역사 - 김학이 지음/푸른역사 프롤로그 1장 근대 초 의학의 신성한 공포 2장 30년전쟁의 고통과 감정의 해방 3장 경건주의 목사들의 형제애와 분노 4장 세계 기업 지멘스의 감정 5장 일상의 나치즘, 그래서 역사란 무엇인가 6장 나치 독일의 ‘노동의 기쁨’ 7장 나치 독일의 ‘독서의 기쁨’ 8장 서독인들의 공포와 새로운 감정 레짐 에필로그 후기 참고문헌 주 찾아보기 8 감정사란 무엇일까? 그에 대한 답은 문화사란 무엇일까? 라는 질문에 대한 답에서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문화사란 인간과 세계에 대한 해석의 틀로서의 문화가 정치와 경제와 사회의 산물이나 반영이 아니라 고유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구성물이며, 더 나아가서 정치와 경제와 사회를 규정한다고 전제하는 역사학이다. 그렇다면 감정사란 특정한 상..
명상록 수업 - 피에르 아도 지음, 이세진 옮김/복복서가 서문 I. 철인 황제 II. 『명상록』 개괄 III. 정신 수련으로서의 『명상록』 IV. 철인 노예와 철인 황제 ━ 에픽테토스와 『명상록』 V. 에픽테토스의 스토아주의 VI. 『명상록』의 스토아주의 ━ 내면의 성채 혹은 동의의 규율 VII. 『명상록』의 스토아주의 ━ 욕망의 규율 혹은 운명애 VIII. 『명상록』의 스토아주의 ━ 행동의 규율 혹은 인간을 위한 행동 IX. 『명상록』의 스토아주의 ━ 덕과 기쁨 X. 『명상록』을 통해 본 아우렐리우스 결론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6 우선, 현대 독자는 고대 저작이 오래전 처음 나왔을 때부터 지금까지一요즘 나오는 인쇄 출판물처럼—늘 같은 상태였던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고대 텍스트는 인쇄되지 않았..
지정학 - 클라우스 도즈 지음, 최파일 옮김/교유서가 1. 지정학이란? 2. 지적인 독? 3. 구조물들 4. 대중지정학 5. 정체성 6. 사물들 감사의 말|저자 후기|참고문헌|독서 안내|도판 목록 14 지정학은 세 가지 특징을 포함한다. 첫째 지정학은 공간과 영토에 대한 영향력과 권력의 문제를 다룬다. 둘째 지정학은 세계정세를 이해하는 데 지리적 틀을 이용한다. 인기 있는 지리적 모형으로는 '세력권'(sphere of influence), '블록'(bloc), '뒷마당'(backyard), '인접국'(neighbourhood), '주변국'(near abroad) 등이 있다. 셋째 지정학은 미래지향적이다. 지정학은 각국의 이해관계가 근본적으로 불변하기 때문에 일어날 법한 국가 행위에 관한 통찰을 제공한다...
네덜란드 풍설서 - 마쓰카타 후유코 지음, 이새봄 옮김/빈서재 한국어판 서문 들어가는 말 제 1 장 ‘통상’ 풍설서 제 2 장 무역허가조건으로서의 풍설서 제 3 장 풍설서의 관례화 제 4 장 위협은 가톨릭에서 ‘서양 근대’로 제 5 장 별단 풍설서 제 6 장 풍설서의 종언 맺음말 보론 : 통역과 ‘네 개의 창구’ 후기와 참고문헌 찾아보기 17 “제가 네덜란드 풍설서를 재미있는 테마라고 생각한 이유는 그것이 "인간이 타인을 이해하는 역사"의 일부이기 때문입니다. 네덜란드 풍설서가 일본의 역사에 있어서 중요한가를 말하자면 실은 그렇지도 않습니다. 그보다는 오히려 네덜란드 풍설서를 둘러싼 여러 에피소드로부터 인간이 타인을 이해하려고 할 때에 생겨나는 흥정이나 오해 그리고 그것을 넘어서고자 하는 신뢰 관계 등이..
유대교와 헬레니즘 3 - 마르틴 헹엘 지음, 박정수 옮김/나남출판 제4부 유대교의 ‘그리스적 해석’과 예루살렘의 그리스어사용 유대인의 개혁시도 제1장 최초의 그리스 증언들: ‘철학자’ 유대인 11 제2장 유대교의 하나님과 그리스적 신 관념의 동일화 29 제3장 예루살렘의 헬레니즘적 개혁시도와 실패 53 제4장 요약: 개혁시도와 좌절, 유대교적 반작용의 방대한 결과 163 제5장 종합적 개관과 결론 179 부 록 189 옮긴이 해제 209 참고문헌 249 찾아보기 331 제5장 종합적 개관과 결론 179 팔레스타인에서 유대교와 헬레니즘의 첫 만남에 대한 이제까지의 서술이 어떤 일목요연하면서도 반박할 수 없는 일관된 밑그림은 결코 아니었다. 왜냐하면 그것은 복잡한 역사적 실상들이 보통 그러하듯이, 하나의 도..
유대교와 헬레니즘 2 - 마르틴 헹엘 지음, 박정수 옮김/나남출판 제3부 팔레스타인의 유대교와 헬레니즘적 시대정신의 만남과 대결 제1장 구약정경의 후기 히브리문학에서 나타난 이른바 그리스 영향 15 제2장 초기 헬레니즘시기 유대 문학의 발전 21 제3장 전도서와 유대 종교 위기의 시작 35 제4장 벤 시라와 예루살렘의 헬레니즘적 자유사상가의 대결 83 제5장 유대·헬레니즘적 사고의 만남: 유대교의 지혜문학적 사변 139 제6장 하시딤과 유대교 묵시사상의 첫 번째 절정 209 제7장 초기 에센주의 327 제8장 요약: 헬레니즘에 대한 수용과 저항 사이의 팔레스타인의 유대교 421 부 록 439 제8장 헬레니즘에 대한 수용과 저항 사이의 팔레스타인의 유대교 421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왕조시대가 막을 내리고 ..
유대교와 헬레니즘 1 - 마르틴 헹엘 지음, 박정수 옮김/나남출판 추천사 / 김세윤 7 옮긴이 머리말 15 제3판 머리말 29 제2판 머리말 37 제1판 머리말 39 서론 41 제1부 팔레스타인에서 유대교와 초기 헬레니즘 문명의 만남 제1장 팔레스타인의 역사적 틀: 프톨레마이오스와 셀레우코스 왕조의 전략적 요충지 55 제2장 그리스-헬레니즘적 군무(軍務)와 유대인 77 제3장 헬레니즘적 지배하 팔레스타인의 행정과 세금 97 제4장 팔레스타인의 무역, 경제, 사회제도에 미친 헬레니즘의 영향 143 제5장 요약: 팔레스타인의 비종교적 세력으로서의 헬레니즘 문명 211 제2부 헬레니즘의 문화적 위력과 팔레스타인의 유대인에게 미친 영향 제1장 팔레스타인의 유대교와 그리스어 221 제2장 그리스 교육과 교양교육,..
오스만 제국 - 오가사와라 히로유키 지음, 노경아 옮김/까치 서문 서론 제국의 윤곽 제1장 변경의 신앙 전사들 ━ 봉건적 후국 시대 : 1299?-1453 1. 아나톨리아 북서부라는 무대 2. 오스만 집단의 기원과 그 시조 오스만 3. 14세기의 영토 확장 4. 번개왕 바예지드 1세의 영광과 몰락왕의 어머니로 선택된 노예 5. 공위 시대와 그후의 부흥 제2장 “세계의 왕”으로 군림한 군주들 ━ 집권적 제국 시대 : 1453-1574 1. 정복왕 메흐메드 2세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정복 2. 성자왕 바예지드 2세 3. 냉혹왕 셀림 1세 4. 장엄한 시대 : 술레이만 1세의 반세기 5. 셀림 2세와 대재상 소콜루의 시대 제3장 조직과 당파의 술탄 ━ 분권적 제국 시대 : 1574-1808 1. 새 시대의 개막 ..
국가론 - 장 보댕 지음, 임승휘 옮김/책세상 들어가는 말 서문 제1장 좋은 국가가 지향하는 주요 목적은 무엇인가 제2장 주권에 관하여 해제- 장 보댕과 근대 주권론의 탄생 1. 법철학자이자 현실 정치가 보댕 2. 의 탄생 배경- 종교 전쟁과 국가의 승리 3. 국가와 주권 (1) 국가란 무엇인가 (2) 절대적이며 영속적인 힘, 주권 (3) 주권의 분할 불가능성 (4) 신과 주권자- 주권의 세속성 4. , 절대주의의 바이블? 5. 의 현대적 의미 주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옮긴이에 대하여 해제 127 보댕이 독창적이라고 평가받는 또 다른 점은, 두 시대가 교차하는, 다시 말해 정치와 세계에 관한 두 가지 개념과 두 가지 사상이 교차하는 시기를 산 인물로서 그가 이 양자 곧 전통과 진보를 아우르고 있었다는 것..
국가에 관한 6권의 책 1 : 국가.권리.주권론 - 장 보댕 지음, 나정원 옮김/아카넷 옮긴이 서문 제1권의 주요 내용 “국가에 관한 6권의 책” 서문 제1장 잘 조직된 국가의 주요 목적은 무엇인가 제2장 가정에 관하여, 국가와 가족의 차이 제3장 남편의 권리에 관하여, 이혼법 개정이 유용한가 제4장 부권에 관하여, 옛날 로마 사람들과 같은 부권의 행사가 좋은가 제5장 주인의 권리에 관하여, 잘 조직된 국가에서 노예는 허용되어야 하는가 제6장 시민에 관하여, 백성, 시민, 외국인과 도읍, 도시, 국가의 차이 제7장 보호받는 사람들에 관하여, 동맹체결자, 외국인, 백성의 차이 제8장 주권에 관하여 제9장 공물 군주 또는 가신 군주의 주권자 여부와, 주권 군주들 사이의 명예 권력에 관하여 제10장 주권의 진..
세네카 비극 전집 3 -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 지음, 강대진 옮김/나남출판 일러두기 5 튀에스테스 11 오이테산의 헤라클레스 75 옥타비아 193 지은이 옮긴이 소개 251 튀에스테스 272 이 작품은 세네카 비극 중 최고 걸작으로 꼽히기도 한다. 플롯이나 인물, 설정, 언어적 표현 등 모든 요소가 효율적으로 결합되어 강력한 인상을 남긴다는 것이다. 이 작품은 세네카의 비극 중 후기에 속하여, 대략 서기 62년쯤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278 이 작품에 그려진 튀에스테스의 성격에 대해서는 여러 해석이 엇갈린다. 그가 스토아적 현자로 그려졌다는 설, 그가 스토아적 인물을 풍자한다는 설, 튀에스테스가 세네카 자신을 반영한다는 설 등이다. 이렇게 여러 해석이 가능한 것은 여기 그려진 튀에스테스에게 그..
세네카 비극 전집 2 -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 지음, 강대진 옮김/나남출판 일러두기 5 메데이아 11 파이드라 77 오이디푸스 151 아가멤논 213 지은이 옮긴이 소개 277 메데이아 229 세네카 비극 중 중기에 속하는 이 작품은 대체로 네로가 황제가 되기 전에 완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작품의 주요 내용은 메데이아가 자신을 배반한 남편 이아손에게 잔인하게 복수한다는 것이다. 이 복수극은 이전에 메데이아가 행했던 여러 범죄와 연관되어 있는데, 이아손은 이러한 범죄에서 이득을 보았었다. 235 메데이아가 독약을 만드는 제4막 내용은 희랍극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면모이다. 여기서 그녀는 자신의 '야만적' 기술에 확신과 긍지를 지닌 것으로 그려졌다. 마지막에 그녀가 아이들을 죽이는 것도 그 냥 복수..
세네카 비극 전집 1 -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 지음, 강대진 옮김/나남출판 옮긴이 머리말 5 일러두기 11 헤라클레스 17 트로이아 여인들 95 포이니케 여인들 165 옮긴이 해제: 세네카의 비극 10편에 대하여 203 지은이 옮긴이 소개 299 해제 204 세네카의 비극작품은 현재까지 온전히 전해지는 유일한 로마 비극이다. 세네카의 비극은 얼핏 보기에 희랍 비극 작가들이 이용했던 주제들을 재활용한 듯하지만, 그의 작품을 그가 참고한 것으로 보이는 희랍의 작품들과 대조해 보면 세네카가 희랍 작기들을 무조건 추종한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로마의 다른 비극 작가들이 희랍의 작품을 충실하게, 거의 번역하고 있을 때, 그는 새로운 요소를 도입하고, 희랍 작가들이 시용-했던 요소도 새로운 방식으로 활용했..
기독교 신학과 교회 교리의 형성 - 아돌프 폰 하르낙 지음, 박영범.민유홍 옮김/공감마을 추천사 서문 들어가면서 1 장 - 유대교로부터 기독교의 분리와 교회의 탄생 2 장 - 선포, 신학 그리고 교리들의 근거와 권위 3 장 - 신학과 교리의 전제조건인 선포에 관한 개요 4 장 - 그리스도교신학의 형성 5 장 - 교회 교리의 형성 나오면서 번역을 마치면서 부록 - 교리, 복음을 토대로 한 그리스 정신의 작품? - 하르낙의 『교리사 교본I』을 통해 본 교리와 복음의 이해- 12 기독교의 초기 역사는 지금 우리가 속해 있는 시대의 기독교와 깊이 연관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기독교의 엄숙하고 긴급한 질문들은 어떤 경우든 불가피하게 복음과 기독교의 초기 역사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13 이보다 ..
자기 자신에게 이르는 것들 (명상록 헬라스어 완역본)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지음, 김재홍 옮김/그린비 옮긴이 서문 내 마음의 ‘성채’(城砦)를 찾아서 — 5 일러두기 — 36 마르쿠스 생애와 주요 인물 연보 — 37 제1권 — 49 제2권 — 75 제3권 — 97 제4권 — 117 제5권 — 150 제6권 — 182 제7권 — 215 제8권 — 248 제9권 — 281 제10권 — 309 제11권 — 338 제12권 — 368 찾아보기 — 391 참고 문헌 — 404 2.12 이 모든 것은 얼마나 재빠르게 사라져 버릴 것인가. 그 육신 자체들은 우주 속에 있고, 그것들에 대한 기억은 영원속에 있다. 모든 감각적인 것, 특히 쾌락으로 우리를 매혹시키는 것, 고통으로 우리를 두렵게 하는 것, 허영심의 환..
종교론 - FR.슐라이어마허 지음, 최신한 옮김/대한기독교서회 옮긴이 머리말 ... 5 첫째 강연 : 종교 변증론 ... 15 Ⅰ. 어떻게 해서 슐라이어마허는 종교와 같이 잊혀진 것에 대해 강연하게 되었나? Ⅱ. 슐라이어마허는 왜 하필 교양인들에 대해 묻는가? Ⅲ. 교양인들은 왜 그의 말을 경청해야 하는가? Ⅳ. 슐라이어마허는 종교를 어떻게 변증하려 하는가? 둘째 강연 : 종교의 본질에 대하여 ... 45 Ⅰ. 종교는 사람들이 보통 생각하듯이 지식이나 행위가 아니며, 형이상학이나 도덕, 혹은 이 둘의 합성물도 아니다. Ⅱ. 종교는 우주의 영원하고 이상적인 내용과 본질에 대한, 그리고 무한자와 시간적인 존재 가운데 있는 영원자에 대한 경건한 직관이며 느낌이다. Ⅲ: 교의와 특정한 교의적 개념은 종교의 본질..
지나간 미래 - 라인하르트 코젤렉 지음, 한철 옮김/문학동네 I. 근대사에 있어서의 과거와 미래의 관계 - 근대 초기의 지나간 미래 - 역사는 삶의 스승인가 - 근대 혁명개념의 사적 기준 - 로렌츠 폰 슈타인의 역사예측 II. 사적 시간규정의 이론과 방법 - 개념사와 사회사 - 역사, 역사들, 시간의 형식구조 - 서술, 사건, 구조 - 우연 - 입장연관성과 시간성 III. 역사적 경험변화의 의미론 - 비대칭적 대응개념의 사적. 정치적 의미론 - 역사의 생산가능성 - 공포와 꿈 - '근대' - 경험공간과 기대지평 해설: 개념의 흔적에 담긴 시간들 라인하르트 코젤렉 연보 경험공간과 기대지평 391 '경험과 기대'라는 개념쌍의 성격은 이것과는 분명히 다르다. 그것은 자체적으로 교차하며, 어떠한 대안도 설정하지..
예술사회학 - 데이비드 잉글리스.존 휴슨 엮음, 신혜경 옮김/이학사 감사의 글 서론: “예술”과 사회학 1부 이론: 과거, 현재, 미래 1. “예술”을 사회학적으로 사유하기 ● 데이비드 잉글리스 2. 예술은 언제 예술이 되는가? 피에르 부르디외의 예술 장 이론 평가 ● 제레미 레인 3. 여성의 예술 실천에 나타난 여성 몸: 페미니즘 사회학의 접근방식 개발 ● 알렉산드라 하우슨 4. 미학의 사회학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 로버트 위트킨 5. 비가시적 미학과 상품 문화의 사회적 작업 ● 폴 윌리스 6. 문화연구와 문화사회학 ● 재닛 월프 7. 예술사회학: 냉소주의와 성찰성 사이에서 ● 데이비드 잉글리스 2부 이론에서 실천으로: 예술사회학의 사례연구 8. 노년을 보는 프레임: 빅토리아시대 회화에 나타난 ..
르네상스 미술가 평전 5 - 조르조 바사리 지음, 이근배 옮김, 고종희 해설/한길사 제5부 리돌포, 다비드와 베네데토 기를란다요(Ridolfo, David and Benedetto Ghirlandaio) 조반니 다 우디네(Giovanni da Udine) 바티스타 프랑코(Battista Franco) 조반 프란체스코 루스티치(Giovan Francesco Rustici) 프라 조반니 아뇰로 몬토르솔리(Fra Giovanni Agnolo Montorsoli) 프란체스코 살비아티(Francesco Salviati) 다니엘로 리차렐리(Daniello Ricciarelli) 타데오 주케로(Taddeo Zucchero)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Michelangelo Buonarroti) 프란체스코 프리마티초(Fra..
성서 종교와 궁극적 실재 탐구 - 폴 틸리히 지음, 남성민 옮김/비아 들어가며 I. 기본 개념들 II. 인간 실존 그리고 존재 물음 III. 성서에 나타나는 인격주의의 토대 IV. 인격주의와 신-인 관계 V. 인격주의와 신적 현현들 VI. 성서에 나타나는 인격주의 관점에서 본 인간 VII. 성서 종교의 주관적 측면에 포함되어 있는 존재론적 문제들 VIII. 성서 종교의 객관적인 측면에 포함되어 있는 존재론적 문제들 해설: 폴 틸리히의 생애와 사상 폴 틸리히 저서 목록 10 저를 비판하는 이들이 내린 결론, 즉 신학은 철학 용어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지 않았습니다. 그런 일은 가능하지 않을뿐더러 바람직하지도 않고, 신학의 자기기만과 낙후를 낳는다고 저는 확신합니다. 오히려 저는 성서의 상징들..
조직신학 서론 -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지음, 박정수 옮김/비아 1. 조직신학의 필요성 2. 그리스도교 신론의 문제 3. 과학적 우주론 시대의 창조론 4. 그리스도론의 체계적 구성 해설: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에 관하여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저서 목록 10 여기서 우리는 이 장의 핵심 주제인 조직신학이 필요한이유를 마주하게 됩니다. 이 모든 일은 결국 진리 물음으로 연결되기 때문입니다. 이스라엘 민족이 섬기는 하느님, 예수가 믿는 하느님이 유일하고도 참된 하느님일 때, 바로 그때라야만 유대인이 아닌 사람도 하느님을 믿어야 할 충분한 이유가 생길 것입니다. 12 진리의 최종 기준을 규정하는 것은 일관성coherence입니다. 일관성은 진리의 속성이기도 하기에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참된 것은 무엇이든 궁극..
철학자들의 신 - 에티엔 질송 지음, 김진혁 옮김/도서출판100 • 야로슬라프 펠리칸의 서문 • 서론 Ⅰ. 신과 그리스 철학 Ⅱ. 신과 그리스도교 철학 Ⅲ. 신과 근대철학 Ⅳ. 신과 현대 사상 • 역자 후기 • 찾아보기 75 그리스인들은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신학보다 더 나간 적이 없습니다. 이것은 그들이 지적으로 나약해서가 아니라, 반대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둘 다 인간의 이성만으로 도달할 수 있는 데까지 탐구했기 때문입니다. 그리스도교의 계시는 존재하는 모든 것의 최고 원인인 누군가, 곧 "나는 있다"라는 말로 가장 잘 표현될 수 있는 누군가를 상정합니다. 이렇게 상정함으로써 그리스도교의 계시는 실존을 실재의 가장 깊은 층이자 신성의 최고의 속성으로 확립하고 있었습니다. 84 유한하고 우..
그리스도교의 신 - 폴 E. 카페츠 지음, 김지호 옮김/도서출판100 서문 1. 유대교와 유일신론의 발전 2. 헬레니즘과 그리스도교의 출현 3. 고전 그리스도교 전통의 전제들 4. 그리스도론과 삼위일체 교리 5. 중세 6. 개신교 종교개혁 7. 계몽주의와 근대 8. 20세기 9. 결론 더 읽을거리 감사의 말 찾아보기 5 이 간결한 책은 그리스도인들이 2천 년 동안 신에 관하여 숙고한 방대한 내용을 조망하기 위한 안내서입니다. 이 책에서 저는 '역사신학'을 시도하려 합니다. 역사 연구라는 점에서 이 책은 성서 시대부터 현재까지 그리스도교의 신 이해가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탐구하기 위해 연대기적 틀을 따릅니다. 신학 연구라는 점에서는 현대 그리스도인들이 신에 대한 신앙의 의미를 어떻게 오늘날에 맞게 표현..
그람시의 옥중수고 1 - 안토니오 그람시 지음, 이상훈 옮김/거름 감사의 말 머리말 서설 초기의 삶 / 지적인 형성과정 / 튜린에서의 사회주의 정치활동 / 「오르딘 누오보」, '피의 시절', 그리고 PCI의 창설 / 보르디가 지도하의 PCI(1921~23) / 이탈리아 당의 공위(空位)(1923~24) / 그람시의 지도하의 PCI(1924~26) / 감옥 1장 현대의 군주 개요 / 마키아벨리 정치학에 대한 간단한 주석 / 마키아벨리와 마르크스 / 독립된 학문으로서의 정치학 / 정치의 요소 / 정치정당 / 세계에 대한 개념과 실천적 자세 : 전체적인 것과 부분적인 것 / '경제주의'의 약간의 이론적. 실천적 측면 / 예측과 전망 / 국가의 경제적.조합주의적 국면 / 상황의 분석과 세력관계 / 관료주의에 대..
중세 유럽의 정치사상 - W. 울만 외 지음, 박은구 외 옮김/혜안 옮긴이의 말 5 제1부 중세 정치의식의 형성과 성장 J. 모랄의 머리글 제1장 ‘중세’ 유럽의 정치사상이란? 제2장 교회, 제국 그리고 게르만족 제3장 그리스도교 공화국 제4장 12세기의 발견 제5장 국가의 출현 제6장 보편제국의 모색 제7장 국가의 성장 제8장 불확실성의 시대 제2부 중세 정치체제의 구조와 이념 W. 울만의 머리글 서론 제1장 중세 정치사상의 토대 : 로마적 배경과 성서적 배경 제2장 서유럽의 형성 제3장 카로링 왕조 이후의 발전 제4장 성직자 정치론의 성장 제5장 신정적 군주와 봉건적 군주 제6장 아리스토텔레스의 부활 제7장 새로운 지향 제8장 인민주권론의 대두 제9장 맺는말 부록1 주요 연구동향 부록2 W. 울만의 ..
중세 3 : 1200~1400 - 움베르토 에코 지음, 김정하 옮김, 차용구.박승찬 감수/시공사 역사 -역사 서문(라우라 바를레타) -사건들 -국가들 -경제 -사회 철학 -철학 서문(움베르토 에코) -지식의 순환과 대학들 -철학과 신학 -지식과 전통의 비교 과학과 기술 -과학과 기술 서문(피에트로 코르시) -수학 -물리학 -유럽의 연금술과 금속학 -신체, 건강, 치료에 대한 지식 -혁신, 발견, 발명 -유럽 밖으로 문학과 연극 -문학과 연극 서문(에치오 라이몬디, 주세페 레다) -인문주의를 향한 중세의 여정 -라틴어와 속어의 종교 문학 -시의 승리 -서술의 취향 -산문의 형태들 -연극 시각예술 -시각예술 서문(안나 오타니 카비나) -유럽의 성당들 -이탈리아 조각 -“라틴어로 그리스를 그리다” -다양한 주..
중세 2 : 1000~1200 - 움베르토 에코 기획, 윤종태 옮김, 차용구.박승찬 감수/시공사 역사 -역사 서문(라우라 바를레타) -사건들 -국가들 -경제 -사회 철학 -철학 서문(움베르토 에코) -유럽의 부활과 지식의 도약 과학과 기술 -과학과 기술 서문(피에트로 코르시) -수학 -의학: 신체, 건강, 치료에 대한 지식 -연금술과 화학 -혁신, 발견, 발명 -유럽 밖으로 -귀금속에 관한 문헌과 마법 문학과 연극 -문학과 연극 서문(에치오 라이몬디, 주세페 레다) -부흥과 혁신 -학교와 수도원의 문화 -궁정, 도시, 국가: 유럽의 문학 -연극 시각예술 -시각예술 서문(발렌티노 파체) -건축 공간 -도상 프로그램 -전례용 도구들과 권력의 표시 -영토와 도시 -문제들 음악 -음악 서문(루카 마르코니, 체칠..
중세 1 : 476~1000 - 움베르토 에코 기획, 김효정 외 옮김, 차용구 외 감수/시공사 -전체 서문(움베르토 에코) 역사 -역사 서문(라우라 바를레타) -서로마 제국의 몰락에서 카롤루스 대제까지 -카롤루스 대제에서 1000년까지 -경제와 사회 철학 -철학 서문(움베르토 에코) -고대 후기에서 중세 사이의 철학 과학과 기술 -과학과 기술 서문(피에트로 코르시) -수학: 고대의 전통 -의학: 신체, 건강, 치료에 대한 지식 -연금술과 화학 -기술: 혁신과 재발견, 발명 -지구의 연구: 물리학과 지리학 문학과 연극 -문학과 연극 서문(에초 라이몬디, 주세페 레다) -고대 세계의 유산과 새로운 그리스도교 문화 -학교, 언어, 문화 -성경 문학과 종교 문학의 종류 -연극 시각예술 -시각예술 서문(발렌티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