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만 제국 - 오가사와라 히로유키 지음, 노경아 옮김/까치 서문 서론 제국의 윤곽 제1장 변경의 신앙 전사들 ━ 봉건적 후국 시대 : 1299?-1453 1. 아나톨리아 북서부라는 무대 2. 오스만 집단의 기원과 그 시조 오스만 3. 14세기의 영토 확장 4. 번개왕 바예지드 1세의 영광과 몰락왕의 어머니로 선택된 노예 5. 공위 시대와 그후의 부흥 제2장 “세계의 왕”으로 군림한 군주들 ━ 집권적 제국 시대 : 1453-1574 1. 정복왕 메흐메드 2세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정복 2. 성자왕 바예지드 2세 3. 냉혹왕 셀림 1세 4. 장엄한 시대 : 술레이만 1세의 반세기 5. 셀림 2세와 대재상 소콜루의 시대 제3장 조직과 당파의 술탄 ━ 분권적 제국 시대 : 1574-1808 1. 새 시대의 개막 ..
국가론 - 장 보댕 지음, 임승휘 옮김/책세상 들어가는 말 서문 제1장 좋은 국가가 지향하는 주요 목적은 무엇인가 제2장 주권에 관하여 해제- 장 보댕과 근대 주권론의 탄생 1. 법철학자이자 현실 정치가 보댕 2. 의 탄생 배경- 종교 전쟁과 국가의 승리 3. 국가와 주권 (1) 국가란 무엇인가 (2) 절대적이며 영속적인 힘, 주권 (3) 주권의 분할 불가능성 (4) 신과 주권자- 주권의 세속성 4. , 절대주의의 바이블? 5. 의 현대적 의미 주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옮긴이에 대하여 해제 127 보댕이 독창적이라고 평가받는 또 다른 점은, 두 시대가 교차하는, 다시 말해 정치와 세계에 관한 두 가지 개념과 두 가지 사상이 교차하는 시기를 산 인물로서 그가 이 양자 곧 전통과 진보를 아우르고 있었다는 것..
국가에 관한 6권의 책 1 : 국가.권리.주권론 - 장 보댕 지음, 나정원 옮김/아카넷 옮긴이 서문 제1권의 주요 내용 “국가에 관한 6권의 책” 서문 제1장 잘 조직된 국가의 주요 목적은 무엇인가 제2장 가정에 관하여, 국가와 가족의 차이 제3장 남편의 권리에 관하여, 이혼법 개정이 유용한가 제4장 부권에 관하여, 옛날 로마 사람들과 같은 부권의 행사가 좋은가 제5장 주인의 권리에 관하여, 잘 조직된 국가에서 노예는 허용되어야 하는가 제6장 시민에 관하여, 백성, 시민, 외국인과 도읍, 도시, 국가의 차이 제7장 보호받는 사람들에 관하여, 동맹체결자, 외국인, 백성의 차이 제8장 주권에 관하여 제9장 공물 군주 또는 가신 군주의 주권자 여부와, 주권 군주들 사이의 명예 권력에 관하여 제10장 주권의 진..
라티오 출판사에서 제공하는 팟캐스트 '라티오의 책들'을 듣고 정리한다. 라티오 출판사에서 출간된 책들에 관한 강유원 선생님의 해설녹음이다. 팟캐스트 주소: https://ratiopress.podbean.com/ 2024.02.17 문학 고전 강의 — 89 제36강(2) 괴테 《파우스트》 ⟪문학 고전 강의 - 내재하는 체험, 매개하는 서사⟫, 제36강(2) 《문학 고전 강의》 제36강 오늘 두 번째이다. 오늘 얘기해서 36강을 마치려고 한다. 지난번에 "이론이란 모두 회색빛이고, / 푸르른 것은 오직 인생의 황금나무뿐이라네."라는 구절까지 읽었다. 파우스트가 메피스토펠레스의 이 이야기를 듣고 결심을 굳힌다. 그래가지고 메피스토펠레스에게 어디로 갈 것인가를 묻는다. 그러니까 메피스토펠레스가 "우선 조그마한..
라티오 출판사에서 제공하는 팟캐스트 '라티오의 책들'을 듣고 정리한다. 라티오 출판사에서 출간된 책들에 관한 강유원 선생님의 해설녹음이다. 팟캐스트 주소: https://ratiopress.podbean.com/ 2024.02.13 문학 고전 강의 — 88 제36강(1) 괴테 《파우스트》 ⟪문학 고전 강의 - 내재하는 체험, 매개하는 서사⟫, 제36강(1) 지난번까지 《문학 고전 강의》 제35강을 여러 번에 걸쳐서 도이치의 신헬레니즘에 대해서 이야기했다. 신고전주의라고 말하면 고전주의라는 말이 지나치게 많은 곳에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그리고 도이치 고전주의에서 도대체 무엇을 그 고전의 전거로 삼았는가를 분명하게 보여주기 위해서 신헬레니즘이라는 표현을 썼다. 그런데 괴테는 빈켈만에 대한 굉장한 경외감이 ..
세네카 비극 전집 3 -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 지음, 강대진 옮김/나남출판 일러두기 5 튀에스테스 11 오이테산의 헤라클레스 75 옥타비아 193 지은이 옮긴이 소개 251 튀에스테스 272 이 작품은 세네카 비극 중 최고 걸작으로 꼽히기도 한다. 플롯이나 인물, 설정, 언어적 표현 등 모든 요소가 효율적으로 결합되어 강력한 인상을 남긴다는 것이다. 이 작품은 세네카의 비극 중 후기에 속하여, 대략 서기 62년쯤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278 이 작품에 그려진 튀에스테스의 성격에 대해서는 여러 해석이 엇갈린다. 그가 스토아적 현자로 그려졌다는 설, 그가 스토아적 인물을 풍자한다는 설, 튀에스테스가 세네카 자신을 반영한다는 설 등이다. 이렇게 여러 해석이 가능한 것은 여기 그려진 튀에스테스에게 그..
세네카 비극 전집 2 -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 지음, 강대진 옮김/나남출판 일러두기 5 메데이아 11 파이드라 77 오이디푸스 151 아가멤논 213 지은이 옮긴이 소개 277 메데이아 229 세네카 비극 중 중기에 속하는 이 작품은 대체로 네로가 황제가 되기 전에 완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작품의 주요 내용은 메데이아가 자신을 배반한 남편 이아손에게 잔인하게 복수한다는 것이다. 이 복수극은 이전에 메데이아가 행했던 여러 범죄와 연관되어 있는데, 이아손은 이러한 범죄에서 이득을 보았었다. 235 메데이아가 독약을 만드는 제4막 내용은 희랍극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면모이다. 여기서 그녀는 자신의 '야만적' 기술에 확신과 긍지를 지닌 것으로 그려졌다. 마지막에 그녀가 아이들을 죽이는 것도 그 냥 복수..
세네카 비극 전집 1 -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 지음, 강대진 옮김/나남출판 옮긴이 머리말 5 일러두기 11 헤라클레스 17 트로이아 여인들 95 포이니케 여인들 165 옮긴이 해제: 세네카의 비극 10편에 대하여 203 지은이 옮긴이 소개 299 해제 204 세네카의 비극작품은 현재까지 온전히 전해지는 유일한 로마 비극이다. 세네카의 비극은 얼핏 보기에 희랍 비극 작가들이 이용했던 주제들을 재활용한 듯하지만, 그의 작품을 그가 참고한 것으로 보이는 희랍의 작품들과 대조해 보면 세네카가 희랍 작기들을 무조건 추종한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로마의 다른 비극 작가들이 희랍의 작품을 충실하게, 거의 번역하고 있을 때, 그는 새로운 요소를 도입하고, 희랍 작가들이 시용-했던 요소도 새로운 방식으로 활용했..
기독교 신학과 교회 교리의 형성 - 아돌프 폰 하르낙 지음, 박영범.민유홍 옮김/공감마을 추천사 서문 들어가면서 1 장 - 유대교로부터 기독교의 분리와 교회의 탄생 2 장 - 선포, 신학 그리고 교리들의 근거와 권위 3 장 - 신학과 교리의 전제조건인 선포에 관한 개요 4 장 - 그리스도교신학의 형성 5 장 - 교회 교리의 형성 나오면서 번역을 마치면서 부록 - 교리, 복음을 토대로 한 그리스 정신의 작품? - 하르낙의 『교리사 교본I』을 통해 본 교리와 복음의 이해- 12 기독교의 초기 역사는 지금 우리가 속해 있는 시대의 기독교와 깊이 연관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기독교의 엄숙하고 긴급한 질문들은 어떤 경우든 불가피하게 복음과 기독교의 초기 역사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13 이보다 ..
라티오 출판사에서 제공하는 팟캐스트 '라티오의 책들'을 듣고 정리한다. 라티오 출판사에서 출간된 책들에 관한 강유원 선생님의 해설녹음이다. 팟캐스트 주소: https://ratiopress.podbean.com/ 2024.02.06 문학 고전 강의 — 87 제35강(5) 괴테 《파우스트》 ⟪문학 고전 강의 - 내재하는 체험, 매개하는 서사⟫, 제35강(5) 오늘은 《문학 고전 강의》 제35강을 마저 다 읽겠다. 제35강은 도이치 고전주의 그리고 도이치 낭만주의에 대해서 설명을 하다 보니까 자잘하게 설명해야 될 것들이 많아서 벌써 다섯 번째이다. 한 챕터를 이렇게 오래 읽는 것이 어떠한가. 이렇게 읽어서 얼마나 우리에게 도움이 되고 쓸모가 있는지는 모르겠고 어쨌든 텍스트 하나 읽어가지고 이해가 늘어나는 것..
자기 자신에게 이르는 것들 (명상록 헬라스어 완역본)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지음, 김재홍 옮김/그린비 옮긴이 서문 내 마음의 ‘성채’(城砦)를 찾아서 — 5 일러두기 — 36 마르쿠스 생애와 주요 인물 연보 — 37 제1권 — 49 제2권 — 75 제3권 — 97 제4권 — 117 제5권 — 150 제6권 — 182 제7권 — 215 제8권 — 248 제9권 — 281 제10권 — 309 제11권 — 338 제12권 — 368 찾아보기 — 391 참고 문헌 — 404 2.12 이 모든 것은 얼마나 재빠르게 사라져 버릴 것인가. 그 육신 자체들은 우주 속에 있고, 그것들에 대한 기억은 영원속에 있다. 모든 감각적인 것, 특히 쾌락으로 우리를 매혹시키는 것, 고통으로 우리를 두렵게 하는 것, 허영심의 환..
종교론 - FR.슐라이어마허 지음, 최신한 옮김/대한기독교서회 옮긴이 머리말 ... 5 첫째 강연 : 종교 변증론 ... 15 Ⅰ. 어떻게 해서 슐라이어마허는 종교와 같이 잊혀진 것에 대해 강연하게 되었나? Ⅱ. 슐라이어마허는 왜 하필 교양인들에 대해 묻는가? Ⅲ. 교양인들은 왜 그의 말을 경청해야 하는가? Ⅳ. 슐라이어마허는 종교를 어떻게 변증하려 하는가? 둘째 강연 : 종교의 본질에 대하여 ... 45 Ⅰ. 종교는 사람들이 보통 생각하듯이 지식이나 행위가 아니며, 형이상학이나 도덕, 혹은 이 둘의 합성물도 아니다. Ⅱ. 종교는 우주의 영원하고 이상적인 내용과 본질에 대한, 그리고 무한자와 시간적인 존재 가운데 있는 영원자에 대한 경건한 직관이며 느낌이다. Ⅲ: 교의와 특정한 교의적 개념은 종교의 본질..